자은 백길해수욕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은 백길해수욕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자은 백길해수욕장

자은 백길해수욕장

16.9 Km    24757     2023-06-30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 유각리

자은 백길해수욕장의 광활한 모래밭에 서면 여기가 과연 우리나라인가 싶을 정도로 이국적이면서도 아름다운 바다가 펼쳐진다. 목포항에서 41.3㎞ 떨어진 자은도의 남서쪽 해안에 위치한 백길해수욕장은 3km가 넘는 광활한 해안선을 따라 고운 모래사장이 끝없이 펼쳐지며, 경사가 완만하고 수심이 얕아 가도가도 끝없는 모래밭이다. 백사장 길이는 900m, 폭은 70m(간조시 300m)이고, 특히 모래결이 곱고 송림이 울창하며, 주변에는 갯바위낚시터가 많다.

해수욕장 인근의 폐염전에 자리한 양식장에서는 농어, 숭어, 대하 등의 고급 어종을 양식한다. 백길해수욕장 뿐 아니라 자은도에는 사월포를 비롯하여 분계, 면전, 신성, 양산, 내치, 대섬, 둔장 등 9개의 아름다운 모래사장이 있어 여름휴양지로 최적의 조건을 갖춘 섬이다. 예전에는 뱃길이 멀어 사람들의 발길이 뜸했는데 암태도와 자은도 사이에 은암대교가 개통되고 압해대교 개통후 압해 송공선착장에서 여객선이 운항하면서 많은 피서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 연도교 위에서 바라보는 낙조가 또한 일품이다.

우이도 돈목해수욕장

17.1 Km    25924     2024-06-05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돈목길 33-1

길이 약 1,500m의 돈목해수욕장은 우이도에서 가장 큰 해수욕장으로, 물이 맑고 백사장의 모래가 곱고 단단하며, 수심도 완경사로 깊어지고 만(灣) 안쪽이어서 파도도 약하다. 백사장 끝까지 가면 마치 실크로드에서 본 것 같은 환상적인 모래언덕이 펼쳐진다. 몇몇 사진작가들에게나 알려졌을 뿐 일반인들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이 모래언덕은 조류와 바람의 합작품이다. 사구의 북쪽 지형을 보면 타원형으로 우묵한데 이곳으로 일단 조류에 의해 퇴적물이 밀려와 쌓이고, 썰물 때 드러난 이 퇴적물을 북서풍이 몰아쳐서 위로 치밀어 올린 것이다. 사구의 높이는 80m, 수직 고도 약 50m, 경사면 길이는 약 100m이며, 경사도는 32∼33도 안팎으로 경사가 가파른 이 모래 산을 오르는 일은 아주 쉽지만은 않다. 남쪽 비탈은 경사가 몹시 가팔라서 꼭대기까지 오르려면, 미끄러지기를 수없이 반복해야 하고 반대편인 큰대치미해변 쪽은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고 토질이 단단해서 손쉽게 오를 수 있다. 그러나, 땀을 뻘뻘 흘리며 정상에 오르면, 모래산 너머로 돈목해수욕장과 큰대치미 해변 일대 등 우이도의 절경이 한눈에 펼쳐지며 누구나 그 아름다운 풍경에 감탄하게 된다. 사람들이 오르내리면서 모래가 밀려 내려 모래언덕이 낮아지는 바람에 현재는 훼손을 방지하고자 일반인의 출입을 금지하고 있다. 숲에서 흘러내린 물줄기가 백사장 곳곳에 작은 개울을 이루고 있어서 소규모 담수욕도 즐길 수 있다.

서근등대

서근등대

17.2 Km    0     2023-12-20

전라남도 신안군 팔금면 원산리 산237

천사대교를 건너 암태도에서 남쪽으로 가면 팔금도가 나오는데 그 서쪽 끝에 서근등대가 있다. 푸릇푸릇 자라난 나무와 풀들, 야생화들 사이에 단정하게 나 있는 길을 따라 산책하 듯 올라가면 하얀 서근등대가 보인다. 서근등대는 ‘팔금 등대’라고도 불리며 1969년 9월 18일 점등한 무인등대로 바다를 오가는 선박들의 좌초를 막고 안전한 길로 안내해 주는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다. 주변 전망대에 오르면 아름다운 섬과 바다의 풍경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데 아름다운 팔금도의 경관과 다도해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514km에 달하는 신안 ‘섬 자전거길 투어’ 코스 중 한 곳으로 자전거길 투어 인증 스탬프를 찍을 수 있다.

김대중 대통령 생가

김대중 대통령 생가

17.9 Km    24782     2023-03-22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후광길 255

하의도가 세간의 큰 관심을 끌게 된 사건 가운데 하나가 바로 파란과 곡절을 상징하는 '인동초, 김대중' 이란 거목을 낳은 고장이라는 것이다. 지난 1992년 대통령 선거 무렵에는 그의 생가 집터가 있는 후광리에 수백명의 국내기자와 외신기자들이 몰려드는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했으며, 김대중 대통령이 태어나서 어린 시절을 보냈던 생가도 지금은 옛 모습을 찾게 되었다.1999년에 종친들이 성금을 모으고 대구 노인복지대학노인회에서 120만원을 모금해 보내오기도 하여 집터만 남아있던 생가의 구조물을 그대로 이용, 어은리마을에 집을 짓고 살던 주민으로부터 다시 집을 사들여, 후광리에 대지 2,466.12m²(746평), 건평 59.5m²(18평)의 목조초가 본체와 창고, 측간으로 구성된 생가를 원형대로 복원(신안군 향토자료 제23호)하여 신안군에 기증하였으며,군에서는 복원된 김대통령 생가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주변에 화장실 등 기본시설을 갖춰 찾아오는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다.

신도

18.4 Km    17016     2023-08-28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신도길 34

섬에 땔나무가 많아 섶(땔나무) 신자를 써서 신도라 한다. 경북 경주에 살던 경주 이씨 이인경이 우연히 이곳에 들렀다가 경치가 좋고 수산자원이 풍부해 정착하기 좋은 곳이라 판단해 최 씨를 부인으로 맞아 정착하였다고 한다. 신도해수욕장의 고운 모래가 유명하고 각종 수산물이 풍부하여 섬 전체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다. 특산물로는 품질이 뛰어난 톳이 있다. 하의도, 대야도, 신도(이상 전남 신안군)는 서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백길천사횟집

백길천사횟집

18.6 Km    1     2024-02-22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서부1길 86-12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백길 해수욕장 입구에 있는 백길 천사 횟집은 수산시장을 방불케 하는 수조에 신선한 횟감과 다양한 해산물들이 있는 생선회 전문 식당이다. 넉넉한 주차공간이 있어 주차가 편하고 넓은 실내공간은 깨끗하고 정갈하게 관리되어 있다. 촘촘히 적힌 메뉴판에는 자연산, 양식, 식사류로 나뉘어 있어 원하는 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광어, 농어, 도다리, 참돔 등 즐겨 찾는 횟감부터, 현지에서 즐길 수 있는 횟감까지 다양한 생선회를 즐길 수 있는데, 특히 밑반찬이 푸짐하고 맛있기로 유명하다. 생선회 외에도 보리굴비, 매운탕, 낙지 호롱이 등 식사 메뉴도 있다.

신도해변

19.4 Km    27271     2024-06-05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신도길 163

신도는 섬 전체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며, 2개의 자연부락으로 형성된 면적 1.68㎢의 작은 섬으로 섬 전체에 섶(땔감나무)이 많이 있어 섶섬이라 불렀으며 지금은 섶 신(薪)을 써서 신도(薪島)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섬 전체가 자연경관이 빼어나고 중간의 서쪽 해안에 형성된 해수욕장에는 길이 800m의 백사장이 있는데 백사장 주위에는 마치 원시림을 방불케 할 만큼 송림이 울창하다. 신도해변은 국토해양부 선정 동서남해안 수질 우수해변 톱 15에 선정될 만큼 청정해변과 빼어난 해양 풍광을 자랑한다. 또한, 해수욕장 주변의 민가와 솔 숲에서는 민박이나 야영이 가능하고 식수 사정은 좋은 편이며, 민박집에 미리 예약을 하면 흑염소 바비큐와 각종 해조류, 생선도 먹을 수 있고 봄철에 채취해 놓은 돌미역도 구입할 수 있다. 목섬과 대야도에서는 갯바위 낚시도 즐길 수 있는데 주로 농어와 감성돔, 우럭, 장어가 많이 낚인다.

반월도·박지도

반월도·박지도

19.8 Km    20656     2023-03-20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박지도와 반월도는 섬 속의 섬으로, 두 개의 섬이 나무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높은 데서 봤을 때 두 개의 다리가 브이(V)자 모양으로 되어있는 두다리는 안좌도 본섬에서 박지도로, 박지도에서 반월도 잇고 있다. 반월도는 섬의 형태가 사방 어느 곳에서 보더라도 반달모양으로 보이기 때문에 반월도라 부르게 되었다. 반월도의 최고봉인 어깨산(210m)은 산의 지형이 사람의 어깨처럼 생겼다하여 어깨산(견산)이라 한다. 박지도는 박씨가 처음 들어와 살았다고 하여 박지도라 부르게 되었으며, 섬의 지형이 박 모양이라 하여 바기섬 또는 배기섬이라고도 한다. 박지당산은 박지리 뒷산에 당이 있었다하여 이곳을 마을 사람들은 당산이라 부른다.

이러한 섬들을 이어주는 해상목교인 '퍼플교 (약  1,500m)가 있어서 바다 위를 걸어서 섬에서 섬까지 여행하는 이색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반월도와 박지도는 섬 둘레에 아름다운 바다를 따라 해안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걷기도 좋고  자전거를 빌려서 자전거 하이킹도 할 수 있다. 퍼플교라고 명명된 이 다리는 신안 안좌도와 박지도, 반월도​ 한 번의 여행으로 세 개의 섬을 돌아볼 수 있는 특별함이 있다. ​과거, 반월․박지도는 미지의 섬이었지만 전남도가 선정한 ‘가고싶은 섬’으로 지정되어 세상에 알려졌다. 썰물 때면 갯벌로 둘러싸이는데 모래해변은 없지만 인공이 가미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숙자네

숙자네

19.9 Km    1     2024-04-04

전라남도 신안군 구영2길 54-3

신선한 재료로 정성스럽게 만들어 더욱 맛있는 숙자네 대표 메뉴는 장어구이와 장어탕이다. 장어구이는 열기가 식지 않도록 철판에 먹기 좋은 크기로 도톰하게 썰어 나와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돈다. 장어탕은 채 썬 부추와 시래기, 장어 한 마리가 통째로 담겨 나온다. 장어 뼈를 한데 모아놓고 맑은 물에 보관했다가 국물을 우려내는데, 뼈가 우러나도록 공들여 푹푹 끓였기 때문에 국물의 맛이 깊다. 그 외에도 낙지탕탕이와 연포탕, 그리고 꽁치, 고등어, 삼치, 갈치, 굴비 등 다양한 생선구이도 먹을 수 있다. 식당 뒤에 있는 텃밭에서 수확한 신선한 채소들이 찬으로 오르는데, 반찬조차 훌륭하다.

원평해수욕장

원평해수욕장

3.1 Km    0     2024-01-16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원평해수욕장길 64

물고기가 많이 나며 석양이 아름다운 곳이다. 이곳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천일염을 생산했던 소금 산지이기도 하고 겨울철에 재배되는 황금 시금치로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주변에 하누넘해수욕장과 고려 시대에 쌓은 성치 산성, 봉화대, 서산사, 내월리 석장승 등 관광지와 문화유적지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