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오유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오유당

오유당

16.0 Km    2     2023-06-10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백수로7길 15
061-351-1727

오유당은 1924년에 지어진 우리의 전통한옥이다. 한옥체험업으로 등록되었고, 천연염색, 천연비누, 천연샴푸, 바디워시, 초콜릿, 향초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 영광의 백수해안도로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용하고 한적한 마을 한편에 자리잡고 있다.

영광백수식당

영광백수식당

16.0 Km    3     2024-02-22

전라남도 영광군 천마길 9

영광 백수식당은 백수 해안도로를 달리다 보면 마주할 수 있는 곳으로, 고급 조개인 백합을 활용해 다양한 요리를 만날 수 있는 식당이다. ‘식객 허영만의 백반 기행’ 프로그램에도 소개된 곳이다. 내부가 넓고 방으로 된 좌석이 있어 단체 모임에도 적합하다. 주요 메뉴로는 대표 메뉴인 백합죽을 더불어 백합무침, 백합구이, 백합회, 백합탕, 백합낙지탕 등이 있다. 간장게장부터 칠게볶음, 가오리무침, 직접 삶은 족발까지 맛은 기본이고 반찬의 양도 푸짐하여 제대로 대접받는 듯한 느낌을 준다. 대표 메뉴인 백합죽은 생백합과 찹쌀, 멥쌀, 녹두와 함께 채소들을 듬뿍 넣어 만든 죽이다. 신선한 백합을 사용해 비린내가 하나도 없고 고소한 맛을 맛볼 수 있다.

한성식당

한성식당

16.0 Km    0     2024-06-24

전라남도 영광군 천마길 10

백합죽으로 유명한 한성식당은 영광군 백수읍에 있는 예약 없이는 맛보기 힘든 숨겨진 맛집이다. 낡은 간판과 오래된 티브이, 세월이 느껴지는 벽지와 가구에서 오랜 전통을 느낄 수 있다. 간판에는 자연산 활어회 전문이라고 쓰여있지만, 현재는 백반 정식과 백합죽만 가능하다. 매장 내부는 10개 내외의 좌식 테이블로 작은 편이다. 가장 유명한 메뉴인 백합죽은 반드시 예약해야만 주문할 수 있다. 큼직한 백합이 가득 들어가 있으며, 백합 한 알만 먹어도 배가 부를 정도로 많다. 조개의 감칠맛으로 국물을 내어 맑고 개운해 해장용으로도 제격이다. 맛 좋은 백합죽 외에도 밑반찬 역시 20가지 넘게 나오는데, 직접 만든 도토리묵과 장아찌, 미역과 미니 족발 등이 전라도의 푸짐한 인심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무안 용월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16.5 Km    19689     2024-01-23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백로로 266-1

매년 3~4월경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월동한 백로와 왜가리가 이곳을 찾아와 가족을 이루어 번식하는 곳이다. 이곳에 백로가 처음 둥지를 튼 것은 1946년 3월이다. 당시 30여 마리가 찾아왔고, 1950년대는 찾아오지 않았다가 1966년 청룡산 소나무 숲에 백로 2천여 마리와 왜가리 500여 마리, 해오라기 수십 마리가 서식하기 시작했다. 백로는 주로 열대에서 온대에 이르는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번식한다. 이른 봄부터 늦가을까지 하천, 호수, 간석지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주로 소나무, 은행나무 등에 둥지를 만들어 번식한다. 무안 용월리의 마을 앞 저수지에 있는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에는 약 500마리의 왜가리가 4그루의 팽나무에 둥지를 틀고 있다. 또한 마을 앞 청룡산 번식지에는 약 600마리 정도의 백로와 왜가리가 집단 번식하고 있다. 마을에서는 백로가 찾아와 집단 번식을 하면 풍년과 행운을 안겨다 준다고 해서 백로를 길조로 여겨 오늘날까지 보호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희귀조인 해오라기까지 찾아 들어 조류학계의 큰 관심을 끌고 있으며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학마을에 위치한 2층 전망대에 오르면 용암저수지의 아름다운 풍경과 더불어 망원경을 통하여 백로와 왜가리의 모습들을 가깝게 관찰할 수 있다.

밀향기해물칼국수

밀향기해물칼국수

16.6 Km    2     2024-04-17

전라남도 영광군 함영로 3448

밀향기는 전라남도에서 손꼽히는 해물칼국수 맛집이다. 30년째 운영하는 이곳은 정겨운 느낌이 가득하며, 마당에 장독대와 연못이 있다. 현지인은 물론이고, 관광객에게도 맛집으로 입소문이 나있어 점심 저녁 할 것 없이 사람들로 붐빈다. 밀향기의 대표메뉴는 해물칼국수로, 쫄깃하고 얇은 면발에 낙지, 새우, 홍합 등의 다양한 해물과 야채를 넣고 테이블 위에서 직접 끓여 먹는다. 만약 얼큰하게 먹고 싶다면 다진 양념을 추가로 요청하면 된다. 칼국수를 다 먹은 후 국물에 밥을 비벼 죽처럼 먹는 것도 이곳만의 별미다. 녹두전 역시 일반 녹두전과 달리 맛살과 옥수수알이 들어가 있으며, 튀기듯이 구워내어 바삭함이 일품이다.

조금나루해수욕장

조금나루해수욕장

16.7 Km    38855     2024-05-30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송현리 1070-3

조금나루 해수욕장은 무안읍에서 남서쪽으로 망운면 송현리에 있다. 마을 끝에 툭 불거져 긴 백사장에 울창한 송림까지 겸비한 천혜의 해수욕장이다. 바다 위 섬처럼 연결된 조금나루 해수욕장은 일출과 일몰을 함께 볼 수 있는 곳으로 특히 이곳에서 바라보는 서해의 낙조는 매우 아름답다. 노지에 있고 규모가 작지만 조용하고 분위기 있는 장소라 아는 사람들만 찾았었는데 최근에 점차 입소문이 나면서 차박과 캠퍼들의 성지로 불리고 있다. 소나무 숲 사이로 공간이 넉넉하여 하룻밤 야영하며 바닷가의 정취를 즐기기에 좋다. 인근 횟집에서는 이 지역만의 별미인 기절 낙지와 각종 생선회를 맛볼 수 있다. 무안낙지공원은 조금나루 해수욕장 주변에 무안의 특산물인 낙지를 알리고자 조성된 캠핑공원으로 카라반 트레일러가 예약제로 운영 중이다. 공원의 가운데에는 높이 14m의 낙지 모양 전망대 겸 미끄럼틀이 자리 잡고 있어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도 이용할 수 있다.

궁지골 농원

궁지골 농원

16.7 Km    5     2023-05-15

전라남도 영광군 묘량면 밀재로7길 140

궁지골 농원은 영광군 덕송로에 있는 캠핑장으로 10,000여 m² 면적에 사이트는 데크와 자갈 두 종류로 이뤄져 있다. 캠핑장 입구로 접어들면 한적한 시골길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데 캠핑장 역시 사람이 많지 않아 한적하고 좋다. 특히 사이트 간격이 넓어 텐트를 설치하기에 여유롭다. 어린이들이 맘껏 뛰어놀 수 있도록 1일 15팀 이하로만 입장을 허용하고 있다. 탁 트인 전경과 산속 공기, 저수지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어우러져 어린이들이 자연 속에서 뛰어놀기에 안성맞춤인 곳이다. 특히 여름과 가을에 빛을 발하는 캠핑장이다. 여름엔 물놀이장에서 수영하거나 계곡 물놀이를 즐기고, 가을엔 오색 단풍을 바라보며 운치 있는 캠핑을 즐길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캠핑장 가까이에 감나무, 대추나무, 밤나무 등이 있어 직접 열매를 따 먹을 수 있는 재미도 느낄 수 있다. 또한 인근에 저수지가 있어 낚시를 즐길 수도 있다.

조금나루해변

조금나루해변

16.9 Km    2     2023-04-26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조금나루길 297

조금나루 해수욕장은 무안읍에서 남서쪽으로 12km 정도 떨어진 망운면 송현리에 자리 잡고 있다. 마을 끝에 툭 불거져 나온 4km가 넘는 긴 백사장에 주변을 둘러싼 울창한 송림까지 겸비한 천혜의 해변이다. 원래는 조금(조수(潮水)가 가장 낮을 때를 이르는 말)에 한 번씩 배를 타고 건너야 하는 섬이었으나 지금은 육지와 연결되어 아무 때나 통행이 가능하다. 조금나루해변 근해에 어류가 풍부해 선착장에서 낚시도 가능하고, 해변 근처에는 횟집이 많아 먹거리도 풍부하다. 해변 입구에 자리 잡은 조금나루 유원지에서는 넓은 캠핑장이 무료로 운영되고 있어 많은 캠핑족을 만날 수 있다.

이흥서원

17.2 Km    1832     2024-01-24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영광로7길 46-79

진주강씨 강석덕, 강희안, 강희맹, 강귀손, 강학손 다섯 선생을 봉안하고 제향하는 서원이다. 경내의 건물로는 이흥사, 경앙문, 모현당, 숭의문, 팔룡당 등이 있다. 강당인 모현당은 원래 정조 24년(1800)에 이흥재로 건립됐으나, 모현당의 중수기와 상량문을 보면 1918년 중수, 1933년 증축 중수한 뒤 1958년 다시 중수하였다. 모현당은 유림의 회합과 학문강론 및 숙소로 사용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1940년대 초부터 이흥학원이 개설되어 1951년 운영하였으며, 한국전쟁 때는 인민위원회 사무실로도 사용된 적이 있다. 모현당 건물 곳곳에서 근현대적인 장식기법이 확인되는 등 역사·건축적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민속촌 영광점

민속촌 영광점

17.5 Km    2     2022-10-31

전라남도 영광군 신남로1길 54-22

민속촌 영광점은 돼지, 소갈비를 판매하는 고기 전문점으로, TV 프로그램에도 소개됐다. 특히 영광의 9미(味) 중 네 번째 음식인 청보리 한우를 생고기로 맛볼 수 있어 유명해졌다. 영광 버스터미널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으며, 야외에는 인조 잔디로 꾸민 공간에 어린이 장난감이 가득한 놀이터가 있어 가족 단위 고객이 특히 많이 방문한다. 메뉴는 청보리 한우 생고기를 포함해 한우 육회, 안창살, 생갈비, 살치살 등 다양한 구이 메뉴가 있다. 돼지고기는 매운 돼지갈비찜, 돼지갈비, 삼겹살 등이 있어 취향껏 고르면 된다. 생고기는 윗 등심살 앞부분에 붙어있는 부위로 당일 도축한 소의 우둔살을 한 입 크기로 썰어서 제공한다. 특제 생고기 양념장이나 소금 기름장에 찍어 먹으면 생고기의 찰기가 느껴지면서 비린 맛이 없고 담백함이 별미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