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당 노을 전망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남당 노을 전망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남당 노을 전망대

남당 노을 전망대

18.7 Km    3     2023-12-11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남당리

남당항 바로 옆에 있는 남당 노을 전망대는 이름 그대로 아름다운 석양을 볼 수 있는 전망대이다. 금빛 모래사장이 길게 펼쳐져 있는 바닷가 중간에 세워져 있는 남당 노을 전망대는 빨간색으로 도색되어 바다색과 인근 산의 초록색과 대비되어 눈에 띈다. 또, 일몰 때에는 붉게 물드는 하늘과 어우러져 그 또한 멋진 풍경을 보여준다. 노을 전망대는 바다를 향해 길게 뻗어져 있어 마치 하늘과 바다를 향해 나아가는 기분을 느끼게 해 준다. 전망대를 걷지 않아도 인근의 서해안 특유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며 맛난 제철 먹거리도 즐기며, 가족과 함께 연인과 함께 백사장을 걷거나, 바다를 바라보고 명상을 즐기는 것만으로도 힐링이 된다. 남당 노을 전망대는 도보로 여행이 가능한 서해랑길63코스이자, 남당항자전거길이고 최고의 드라이브 코스이기도 하다. 주변으로 남당항, 어사어항, 어사리노을공원이 있어 연계해서 둘러볼 수 있다.

오복식당

18.7 Km    0     2024-02-13

충청남도 예산군 역전로 33
041-333-1222

주문과 동시에 제면하여 면발이 쫄깃쫄깃하고, 콩국수와 함께 제공되는 겉절이 김치의 맛이 아주 훌륭하여 예산 현지인들의 입맛뿐 아니라 관광객들의 방문도 끊이지 않는 맛집이다. 식당 맞은편 공터에 주차가 가능하다.

추사고택

추사고택

18.8 Km    39139     2023-09-14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추사고택로 261

조선후기의 실학자이며 대표적인 서예가였던 추사 김정희 선생의 생가인 추사고택은 추사의 증조부인 월성위 김한신이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사고택은 266.11m²(80.5평)으로 솟을대문의 문간채, ㄱ자형의 사랑채, ㅁ자형의 안채와 추사 선생의 영정이 모셔져 있는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옥이다. ㄱ자형의 사랑채는 남쪽에 한 칸, 동쪽에 두 칸의 온돌방과 나머지는 대청과 마루로 되어 있다. 안채에는 6칸 대청과 2 간통의 안방, 건넌방이 있다. 이밖에도 추사 선생의 묘소와 증조부이신 김한신과 부인인 화순옹주의 합장묘 그리고 화순옹주 열녀문 즉, 홍문이 있다. 또한 추사고택에서 북쪽으로 600m쯤 올라가면 천연기념물인 백송을 볼 수 있는데 백송은 중국북부 지방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에 몇 그루 없는 희귀한 수종이다. 예산의 백송은 추사선생이 25세 때 청나라 연경에서 돌아올 때 백송의 종자를 붓대 속에 넣어가지고 와서 고조부 김흥경의 묘 입구에 심었던 것으로, 원래는 밑에서 50cm부터 세 줄기로 자라다가 서쪽과 중앙의 두 줄기는 부러져 없어지고 동쪽의 줄기만이 남아서 자라고 있다. 1980년도에 줄기의 피해 부분을 외과 수술하여 치유하였고, 그 후부터는 철저하게 보호, 관리하고 있다.

역사 속 인물을 만나는 여정

역사 속 인물을 만나는 여정

18.8 Km    3     2023-08-11

조선후기의 실학자이며 대표적인 서예가였던 추사 김정희 선생의 생가인 추사고택은 추사의 증조부인 월성위 김한신이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산 용궁리 백송

18.8 Km    18411     2023-12-04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산 73-28

추사 김정희 선생 고택 인근에 위치한 예산 용궁리 백송은 김정희가 1809년(순조 9) 청나라 연경에서 돌아오면서 가지고 와서, 고조부 김흥경의 묘 입구에 심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이 나무는 자라면서 껍질이 벗겨져 흰색을 띠기 때문에 백송이라고 한다. 수령이 200년을 넘었고 독특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으며 묘지를 보호하는 의미로 심었다는 가치를 인정받아 1962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본래 줄기가 밑에서부터 세 갈래로 갈라져 있었으나 줄기 두 개는 죽고 줄기 하나만 남아 보존되고 있다. 현재 일대에는 공원이 조성되어 조각상 등도 전시되어 있다. 이 일대에는 추사 김정희 선생 고택 외에도 김정희 묘와 화순옹주홍문, 월성위 김한신묘 등 다른 볼거리도 있으며, 그 외에도 신리성지, 합덕성당, 합덕제수변공원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월성위김한신묘

월성위김한신묘

18.8 Km    16591     2023-12-04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추사 김정희 선생 고택 근처에 있는 이 묘소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정효공 김한신(1720~1758)의 묘이다. 김한신은 1732년에 영조의 둘째 딸 화순옹주와 결혼하여 월성위에 봉해졌으며,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그는 글씨를 잘 쓰고 시를 잘 지었으며, 도장 새기는 재주도 뛰어나 인보(임금의 도장)를 새기기도 하였다. 그가 38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부인인 화순옹주는 슬픔을 이기지 못해 곧 그를 따라 세상을 떠났다. 현재 묘역에는 그와 화순옹주가 합장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양반이라 하더라도 묘막을 설치할 수 없었으나, 정조가 김한신에 대한 안타까움에 특별히 예외를 두어 묘막을 설치하였다. 이 근처에서 살고 잠든 추사 김정희는 김한신의 증손자이기도 하다. 이 일대에는 추사 김정희 선생 고택 외에도 김정희묘, 화순옹주홍문, 예산 용궁리 백송 등 다른 볼거리도 있으며, 그 외에도 신리성지, 합덕성당, 합덕제수변공원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남당항

18.8 Km    42272     2024-05-10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남당리

남당항은 광활하게 펼쳐진 천수만과 어우러진 수산물의 보고로 대하, 우럭, 새조개, 꽃게, 새우 등 사시사철 싱싱한 수산물이 있고, 주변에는 많은 횟집이 산재해 있어 홍성은 몰라도 남당항은 알 정도로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특히 천수만 최고 별미인 새조개가 유명해 미식가들을 유혹한다. 잔잔한 은빛 수면으로 석양이 아름다우며, 괭이갈매기 등 철새 도래지인 천수만과 대나무가 많이 자생한다고 하는 죽도와 멀리 안면도가 보여 해안 경관이 한눈에 들어온다. 대하, 새조개, 넙치, 우럭 등이 많이 잡혀 1996년부터 매년 9~10월에 대하 축제가 열려 볼거리와 먹을거리가 풍성해서 해마다 관광객이 늘고 있으며, 겨울철 별미인 새조개 축제가 열리는 곳으로 유명하다.

충남 해안으로 떠나는 겨울 맛 기행

충남 해안으로 떠나는 겨울 맛 기행

18.8 Km    12307     2023-08-10

겨울 서해안은 맛있다. 꽃게를 필두로 새조개와 굴 등이 그 뒤를 잇고 찬바람에 살이 단단해진 바닷고기는 그 어느 때 보다 달디 달다. 찬바람과 함께 떠나는 겨울 서해안 맛기행, 이 계절에만 즐길 수 있어 더욱 소중하다. 홍성과 보령, 충남이 품은 서해안 따라 떠나는 맛기행. ‘맛’은 기본, 겨울 바다 구경은 보너스다. 이 여행은 찬바람이 불어오는 12월 즈음부터 봄이 오기 전까지 즐길 수 있다.

차이한

차이한

18.8 Km    1     2024-04-01

충청남도 서산시 동서1로 4-9

차이한은 충청남도 서산시 석림동에 위치한 중식당이다. 이곳은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손님이 붐비는 곳으로, 현지인들 사이에서도 유명한 짬뽕 맛집이다. 벌교에서 생산하는 국내산 꼬막만을 매일 오전에 직송으로 받아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손질하여 짬뽕에 사용하고 있다. 짬뽕의 국물은 국내산 생표고를 우려내어 시원함을 살렸다.

안흥일품꽃게장

안흥일품꽃게장

18.8 Km    0     2024-02-27

충청남도 서산시 양열로 212

안흥일품꽃게장은 충청남도 서산시 석남동에 있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에 출연한 바 있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간장게장정식이며, 양념게장정식, 돌게장정식, 어리굴젓정식. 새우장정식, 꽃게탕 등도 맛볼 수 있다. 서산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중앙호수공원, 송곡서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