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북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홍북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홍북식당

홍북식당

17.4 Km    2     2022-11-09

충청남도 예산군 신평2길 26

홍북식당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에 있는 칼국수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는 보통맛, 순한맛, 매운맛으로 구분되는 칼국수다. 굴과 조개가 들어가 있어 시원한 맛을 느낄 수 있다. 굴 철에는 싱싱한 생굴을 맛볼 수 있다. 예산 수덕사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수덕사와 스플라스 온천 워터파크가 있다.

바른찜갈비

바른찜갈비

17.4 Km    0     2023-10-30

충청남도 아산시 신정호길192번길 4

바른찜갈비는 충남 아산시 점양동에 자리 잡고 있다. 대표 메뉴는 매콤마늘찜갈비이다. 이 밖에 간장마늘찜갈비, 물막국수, 비빔막국수, 육회비빔밥, 참숯불석갈비 등을 판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가지기에 좋고, 예약도 가능하다.

보덕사(예산)

보덕사(예산)

17.5 Km    21628     2024-02-02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가야산로 400-74

예산 가야산(678.2m) 서쪽 줄기인 서원산(473.2m) 자락에는 남연군의 묘와 함께 보덕사라는 사찰이 있다. 보덕사는 인근 덕숭산 수덕사의 말사로 보덕사는 한 많은 조선 말기 왕실의 운명이 전설처럼 서려있다. 본래 남연군의 묘 자리에는 가아샤라는 큰 사찰이 있었는데 그 자리가 2대에 걸쳐 황제를 배출한다는 풍수지리적인 설 때문에 흥선대원군은 가야사를 불태우고 그 자리에 자신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를 이장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아들 고종이 왕위에 오르자 이에 보답하는 의미로 이곳에 보덕사를 지었는데, 그 이름도 은덕을 갚는다는 뜻이 담겨있다. 이러한 유래와 걸맞게 예전의 보덕사 건물은 궁전 건축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었지만 6.25전쟁으로 불탔다. 그 후 1960년대 이후에 재건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본전인 극락전과 4채로 이루어진 요사채가 있는데 극락전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그 외에도 가야사에 있다가 이곳으로 옮겨온 삼층석탑과 석등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주변에는 남연군의 묘, 예산 가야사지, 가야산 외에 덕산온천, 충의사(매헌 윤봉길 의사 유적), 윤봉길의사기념관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용현계곡

용현계곡

17.5 Km    2     2023-11-10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용현계곡은 충남 서북부에서 가장 높은 가야산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계곡으로 물이 풍부하고 삼림이 울창하다. 계곡의 길이는 약 5km 정도이다. 계곡과 산이 어우러진 풍경이 아름다워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여름철 휴양지로 관광객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다. 맑은 공기와 깨끗한 물, 조용한 분위기 속에서 해마다 여름철이면 많은 피서객이 몰려 여름휴가를 보낸다. 인근에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이 있어 함께 방문하기 좋다. 용현계곡은 지방도 618호선에서 마애삼존불길로 접어들어 접근할 수 있다. 고속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 서산IC, 당진대전고속도로 고덕IC가 가깝다. 국립용현자연휴양림 외 주변 관광지로는 당간지주와 오층석탑이 있는 보원사, 마애여래삼존상 등이 있다.

오월의 꽃수레

오월의 꽃수레

17.5 Km    0     2023-09-21

충청남도 아산시 신정호길 220

오월의 꽃수레는 신정호수의 풍경을 감상하며 한식을 맛볼 수 있는 한정식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는 꽃수레정식으로, 들깨 샐러드, 해파리 냉채, 소불고기 샐러드, 수제비 들깨탕, 버섯튀김, 잡채 등의 요리와 더불어 7가지 계절 반찬과 된장찌개가 상에 오른다. 이 밖에 제육쌈밥정식, 보쌈정식, 낙지정식도 맛볼 수 있다.내부에 단체석이 마련돼 있어 단체 모임에도 적합하다.

서산 보원사지

17.5 Km    38197     2023-12-05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이곳은 백제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보원사가 있었던 터로 천년의 세월과 많은 불교 문화재를 품고 있다. 이곳의 주요 문화재는 사찰의 규모를 짐작케 하는 4m 높이의 당간지주와 오층석탑, 석조, 법인국사탑과 법인국사비가 있는데 모두 보물로 지정되었을 정도로 그 가치가 크다. 한때 사찰에 머문 승려가 천여 명에 이르렀다고 하는데, 지금의 기준으로 보아도 깊은 산속에 자리한 절터가 한눈에 아우르지 못할 만큼 크다. 보원사지에서 출토된 금동여래입상과 철조여래좌상, 철불좌상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지만 지금도 절터 곳곳에서 천년 고찰의 위용을 짐작하게 하는 흔적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1987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특히 백제시대에는 이 지역이 중요시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수덕사의 말사로 재건되어 가고 있다. 주변에는 같은 백제 불교 문화재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있고, 그 외에도 용현계곡, 가야산, 고풍저수지 등이 있다. 그리고 서산 아라메길 천년미소길과 천년미소길 순환 코스가 경유하므로 연계하여 관광해도 좋다.

덕산향교

덕산향교

17.5 Km    17436     2023-12-08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덕산향교길 88-34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근대 교육이 본격화되면서 교육적 기능은 폐지되었다.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덕산향교는 처음 건립한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인조 때 세운 것으로 전한다. 대성전은 숙종 8년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1987년에 다시 한번 보수했다. 건물 배치는 외삼문 없이 앞쪽에 바로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어 전학후묘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명륜당은 앞면 7칸, 옆면 1칸 규모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덕산향교 앞의 평지에는 공자상이 세워져 있으며 여름에는 향교 주변으로 배롱나무가 붉은 꽃을 피워 그 풍경이 아름답다. 덕산향교는 매년 2월과 8월에 석전을 봉행하고 있다. 또한 매년 가을 선진 지역을 답사하고 전임 강사를 초빙 교양 강좌를 개최하는 등 지역 사회 유림 활동에 힘쓰고 있다.

국립 용현자연휴양림

국립 용현자연휴양림

17.6 Km    53727     2024-05-20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마애삼존불길 339

서산 최고봉인 가야산(678.2m)의 북쪽 줄기는 석문봉(656.8m)을 거쳐 일락산(521.4m)~상왕산(309.6m) 줄기와 옥양봉(621.2m)~수정봉(453.3m)으로 갈라지는데 그 능선 사이에 용현계곡이 있다. 그리고 그 한가운데 자리한 심산유곡의 경치를 자랑하는 국립산림휴양림이 있다. 이곳은 계곡물이 맑고 깨끗하며 참나무류가 울창한 휴양림 내에는 산림문화휴양관 등 숙박시설, 야영장, 숲속교실 등의 시설이 있다. 그리고 능선을 따라 연결되는 등산로와 임도는 서산목장길과 연결되어 산책과 등산이 용이하고 능선 위에서는 멀리 서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 이곳은 또한 서산 아라메길, 천년미소길 순환코스의 경유지이기도 하여 연계하여 관광하면 좋다. 그 외에도 주변에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서산 보원사지, 개심사, 고풍저수지 등이 있다.

뜨끈이집

뜨끈이집

17.6 Km    3531     2023-12-14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덕산온천로 331-6
041-338-3993

한우의 고향 충남 예산 덕산에 위치한 뜨끈이집은 프리미엄 명품 한우를 엄선해 오랜 숙성과 육수로 풍미와 식감을 느낄 수 있는 우거지 선짓국, 한우 곰탕 등이 유명한 음식점이다.

연춘

연춘

17.6 Km    29171     2023-03-17

충청남도 아산시 신정호길 67
041-545-2866

신정호반의 낭만과 어우러진곳에 1936년부터 3代를 이어오고 있는 향토식당이다. 온양온천에서 가까운 신정호수변에서 장어구이, 닭구이를 전문으로 한다. 이곳 연춘은 우선 건물이 볼만하다. 일제강점기때 지어진 목조 건물로 충청남도의 향토지적재산으로 선정되어 있다. 그래서 인지 오래전부터 각종 언론을 통해 유명해진 곳으로 초기에는 조병옥박사부부가 즐겨 찾았고 박정희대통령과 김영삼대통령도 즐겨 찾던 곳이다. 이 집의 또 하나의 장점은 호수변의 시원한 그늘아래서 식사를 할 수 있다. 구이요리들은 주방에서 구워져 나오고 식탁에서는 식지않게 연한 불에 데우기만 한다. 그럼에도 최근에는 닭구이가 더 유명해져 있다. 우연히 장어구이 소스에 닭을 굽게 된게 닭구이를 개발해낸 동기라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