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수사(서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약수사(서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약수사(서울)

약수사(서울)

10.5 Km    53967     2023-06-19

서울특별시 관악구 약수암1길 28 약수사

약수사(藥水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에 속해있는 사찰로써 산세가 수려하고 숲이 많아 일찍이 남쪽의 금강산으로 불리웠으며 기암괴석이 장대하며, 골이 깊은 경기 오악(五嶽)의 하나인 관악산 언저리 신림동에 위치해 있다. 본래 신림동은 마을에 숲이 무성하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조선시대까지 경기도 시흥군이었다가 1963년에 서울에 포함되었다. 최초 창건연대는 세종대왕 3년에 무명대사가 창건하였다. 그 후(고종 17년)에 명성왕후가 법당을 중창하여 영험한 기도 도량으로, 신심 깊은 기도처로, 시주의 발길이 끝없이 이어졌다고 한다. 그 뒤 1923년경에 화재로 인하여 전소된 것을 당시 주지스님인 영원 대사께서 다시 불사를 일으켜 오늘날과 같은 수행납자들의 공부도량이 되었다. 1995년 설법전 중창불사를 다시 시작하여 1998년에 중창불사를 회향하고 신심깊은 불자들의 기도도량으로, 시민선방으로, 심신수련장으로 휴일에는 관악산을 찾는 시민들에게도 편안한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신선하고 깨끗한 약수는 인근의 시민들과 불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가람 배치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왼쪽에 응향각이 있고, 정면은 설법전이 있으며, 동쪽으로 삼성각이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안에는 본존불인 석가모니 불상과 좌우에 지장보살상, 관음보살상이 모셔져 있다. 그 뒤에는 석가후불탱화, 칠성탱화, 신중탱화, 지장탱화, 산신탱화가 있다.

늘푸른식당

늘푸른식당

10.5 Km    14521     2023-10-06

서울특별시 마포구 굴레방로9길 3
02-362-9604

아현시장 전 골목에는 25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유명한 전집들이 많이 있다. 늘푸른식당도 그중 한 곳으로 동그랑땡, 고추전, 동태전, 꼬치전 등이 함께 나오는 모둠전이 유명하다. 신선한 재료들로 부치는 알록달록 예쁜 빛깔의 전들이 식욕을 돋운다. 갖가지 해물을 넣은 해물전, 녹두빈대떡 또한 인기 메뉴이다.

대청마루

대청마루

10.5 Km    14508     2023-08-02

서울특별시 마포구 굴레방로9길 3
02-363-1617

10여 년 동안 전과 부침개 등을 만들어왔다. 지하에는 20명이 앉을 수 있는 공간도 있다. 서교동 길가에 자리잡고 있으며 김치찌개가 대표메뉴이다.

올리브영 관악 타운

10.5 Km    0     2024-06-12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73

-

봉천중앙시장

10.5 Km    0     2023-12-20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211

1969년에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에 문을 연 건물형 시장이다. 약 40여 개의 점포로 이루어진 소형시장이며 인근에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관악구청)이 있으며,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있어 찾는 이가 많은 시장이다. 작은 도로에서 큰 길가로 이어지는 시장 길에 순댓국집이 인기다.

의열사(용산)

의열사(용산)

10.5 Km    5121     2023-04-12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77-18

의열사는 효창공원 내에 묘역이 있는 애국선열들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 김구, 임시정부 요인( 임정 의정원 초대의장 이동녕, 군무부장 조성환, 비서장 차이석), 3의사(이봉창ㆍ윤봉길ㆍ백정기 선생) 등 7인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60주년인 1979년 4월 13일 합동추모제전을 봉행하고, 해마다 임시정부수립기념일에 연례적으로 제전을 봉행해오고 있다.

* 건립주체자 -문화공보부, 서울특별시(1990.11.01. 건립)

소산서원

10.5 Km    3441     2023-11-17

경기도 시흥시 소산서원길 20

소산서원은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조선 세종 때의 명재상 문효공 하연을 모신 곳이다. 입구에는 한자로 소산서원이라고 쓴 비석이 세워져 있으며 이곳으로 들어가면 효자정각이 있는데, 효자정각은 하연의 셋째 아들인 하우명 선생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각이다. 홍살문을 지내면 소산서원 앞에는 소산서원기실비가 있다. 이 비석에는 하연 선생의 일대기와 소산서원에 대한 기록이 적혀져 있는데, 내용을 보면 하연은 정몽주의 문인으로 21살에 벼슬에 올라 이조판서, 대제학,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의 벼슬을 두루 거친 인물로 황희, 허조와 함께 조선 세종 때의 명재상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서원 좌우측에는 소래산으로 올라가는 등산로가 있는데 등산로를 조금 오르다 보면 우측에 하연선생의 묘가 있다. 소산서원 내에 있는 숭덕재에는 문화해설사가 상주해 있어 원하면 해설을 들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차 한잔도 대접받을 수 있으니, 소산서원 문화 기행을 한 후에 소래산 등산로를 산책하는 것도 좋다.

이봉창의사동상

이봉창의사동상

10.5 Km    5134     2023-12-06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77-18

효창공원 안에 있는 이봉창의사동상은 의사의 숭고한 애국심과 희생정신을 기리고자 동아일보사의 후원을 받아 건립한 동상이다. 이봉창 의사는 서울 용산 문창보통학교 졸업 후 용산역 전철수로 일하다 한국인에 대한 차별 대우에 저항하여 사직하고 일본에 건너가 노동에 종사하며 일인 생활을 익혔다. 1931년 상하이로 건너가 김구 선생과 함께 일본 천황 폭살 계획을 세워 1932년 1월 8일 도쿄 요요키 연병장에서 관병식을 마치고 돌아가는 히로히토를 겨냥하여 사쿠라다문에서 수류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그해 9월 의사는 일본 법정에서 사형선고를 받아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교수형을 받고 순국하였다. 효창공원에는 의열사 등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힘써주신 분들을 위한 공간이 있으니 함께 둘러보면 좋다. 수도권 지하철 6호선 효창공원앞역에서 하차하면 된다.

과학동아천문대

과학동아천문대

10.5 Km    8     2023-08-02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109

서울시 용산구 도심 속 위치한 천문대이다. 아동 과학 서적으로 잘 알려진 동아사이언스에서 운영하는 천문대로 천체 관측관, 보조 관측관, 천체 투영관, 다빈치 룸 등 시설을 갖췄다. 어린이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다.

올리브영 응암역

올리브영 응암역

10.5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475(신사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