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악스카이 팔각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북악스카이 팔각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북악스카이 팔각정

10.2 Km    67964     2024-05-09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악산로 267

북악스카이 팔각정은 해발 342m 북악산 위에 한국 전통미를 살린 한옥형 정자로서 천혜의 입지조건을 갖춘 서울 도심 속의 관광 명소이다. 1968년 9월에 개통된 북악스카이웨이는 북악팔각정으로 오르는 드라이브 코스로 잘 알려진 명소로 서울의 주산인 북악산의 능선을 따라 동북으로 뻗친 관광도로의 길이가 약 19km에 이른다. 북악팔각정에서는 북한산 비봉과 문수봉이 이어지는 산세가 장관을 이루고, 다른 한쪽은 남산을 바라보고 앉은 서울시의 아름다운 경관이 보인다. 전 구간에 걸쳐 잘 가꾸어진 가로수와 약 10만 그루의 관상수들이 철 따라 꽃을 피워내며 남산의 순환도로와 함께 서울을 한눈에 내려다보는 진경을 만끽할 수 있다. 길의 중간쯤, 능선길 정상에 잠시 길을 멈추고 서울의 진경을 다시 한번 재확인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먼 곳에서 서울을 찾는 내·외국인 방문객들에게 서울을 한눈에 보여주는 관광코스로 한몫하고 있다.

[북악하늘길 1산책로] 북악팔각정~말바위쉼터

[북악하늘길 1산책로] 북악팔각정~말바위쉼터

10.2 Km    29143     2024-05-24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악산로 267

‘북악하늘길 1산책로’는 북악팔각정부터 말바위 쉼터까지의 코스로 북악하늘길 3개의 코스 중 첫 번째 코스이다. 1968년 1.21 사태(북한의 청와대 습격 시도사건) 때 김신조 등 북한 공작원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할 때 이용한 뒤 폐쇄된 길로 일명 북악산 김신조 루트로 불리며 41년간 군사통제구역이었다. 그동안 [걸을 수 없는 길]로 봉인됐던 이 길에 걷기 편한 산책로가 만들어지고 북악산 일대가 2010년 2월 27일, 41년 만에 개방되었다. 이곳은 40여 년간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아 생태적 가치가 높고 자연경관이 우수해 일명[서울 속의 비무장지대]이라고 불릴 정도로 천혜의 자연이 그대로 살아 숨 쉬고 있다. 북악하늘길 산책로는 ‘하늘길’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산허리를 시원하게 감고 돌고 있어 서울 시내와 북한산, 북악산, 인왕산을 바라보며 걸을 수 있다. 수도권 지하철 4호선 한성대역 6번 출구로 나와서 마을버스를 타고 성북구민회관 앞에서 내려서 안내판을 따라 시작하면 된다.

인더가든 212

1.0 Km    1     2020-03-18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6나길 40
010-2894-3351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중앙대 중문 인근에 위치한 게스트하우스이다.

리얼월드 성수

10.2 Km    0     2024-05-29

서울특별시 성동구 연무장13길 8

놀이와 문화가 공존하는 도심 속 신개념 놀이 문화 공간이다. 미스터리 호텔 컨셉의 공간을 돌아다니면서 이색 체험을 할 수 있고 카페와 게임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몽환적인 호텔을 배경으로 다양한 인터렉티브 게임을 경험하며 스토리 속 진짜 주인공이 되어볼 수 있다. 1층 매장에서 다양한 음료를 즐기는 것은 물론, 다양한 인터렉티브 게임을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포토존도 준비되어 있어 인생샷도 찍을 수 있다.

한양갈비

한양갈비

10.2 Km    2     2024-04-1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24번길 115

경기도 안양시 석수동에 위치한 한양갈비는 갈비와 정통함흥냉면의 장인이 30여 년 넘게 업계에서 묵묵히 지켜내며 영업하고 있는 곳이다. 인기메뉴는 돼지갈비와 소갈비로, 고기를 숯불에 구워서 먹는다. 갈비는 생갈비와 양념갈비 중에 택하여 먹을 수 있으며, 생갈비는 신선하고 두툼한 고기에 육즙이 많아 연하고, 양념갈비는 단맛과 짭짤한 맛이 알맞게 조화를 이루고 있어 감칠맛이 난다. 고기의 질이 좋아 부드럽고 양념이 잘 배어 있으며, 양도 푸짐하다. 이곳의 또 다른 인기메뉴인 정통함흥냉면은 담백하고 깔끔한 육수의 맛과 가늘면서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다.

이가바지락칼국수

이가바지락칼국수

10.2 Km    4     2022-12-01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460
02-3661-2077

이가 바지락 손칼국수는 9호선 가양역 10번 출구 인근에 있다. 건물 뒤편에 주차장이 있어 주차하기 편하다. 방송사 맛집 TV 프로그램에 소개된 곳이다. 가게 내부는 리모델링해서 깨끗하고 크진 않지만, 테이블 간격이 잘 배치돼 있어 불편함 없이 식사할 수 있다. 메뉴는 안면도에서 공수해 온 바지락칼국수와 왕만두, 물만두가 있다. 음식을 주문하면 겉절이가 나오는데 원산지가 국내산으로 믿을 수 있고 매일 담가 신선하고 맛있다. 칼국수에 바지락도 푸짐하게 많이 들어 있어 건져 먹는 재미도 있으며 국물 맛이 시원하고 면발도 쫄깃하다. 만두도 수제만두로 한 접시에 4개가 나온다. 모든 음식은 포장할 수 있다. 인근에 허준박물관, 구암 근린공원, 드라마촬영지가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화정박물관

화정박물관

10.2 Km    19618     2023-12-22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8길 3

화정박물관은 1999년 한빛문화재단이 설립한 동아시아 전문 박물관이다. 화정(和庭)이라는 이름은 설립자인 한광호 명예 이사장의 아호에서 유래한 것이다. 한광호 명예 이사장이 지난 40여 년간 국내외에서 수집한 유물을 기반으로 운영하고 있다. 1층은 탕카실을 비롯한 상설전시실로 꾸며져 있으며, 2층은 재단 소장품을 공개하는 특별전을 위한 공간으로, 3층은 서화류를 중심으로 공개하는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개관 이래 국내에서 여러 차례의 소장품 특별전을 열었으며, 해외 특별전으로는 일본의 5개 도시를 순회하며 티베트 미술전을 개최하였다.

남해바다장어민물장어참숯불구이

남해바다장어민물장어참숯불구이

10.2 Km    1     2024-02-14

경기도 광명시 밤일로 18

남해바다장어는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 밤일마을 음식문화거리에 있는 장어요리 전문점이다. 싱싱한 자연산 바닷장어와 국내산 민물장어를 참숯불 구이로 먹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자연산 펄낙지, 주꾸미, 문어, 조개 등 각종 해산물로 만든 다양한 요리도 판매하고 있다. 또한, 계절에 따라 다양한 먹거리를 제공한다. 3월~5월에는 주꾸미 샤부샤부, 5월~11월에는 하모(여수 참장어) 샤부샤부와 하모탕, 7월~9월에는 민어를 맛볼 수 있다. 약 50대 주차할 수 있는 넓은 주차장이 있다. KBS 2TV 생생정보와 SBS 생방송투데이에 맛집으로 소개되었다.

용문집

10.2 Km    1108     2024-03-12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로39가길 32 (마장동)
02-2299-4648

용문집은 1973년 개업 이래 마장동 먹자골목의 명물 고깃집으로서 자리 잡았다. 3대에 걸쳐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내국인, 외국인 관광객 가릴 것 없이 사랑을 받고 있다. 현재 마장동 용문집은 새롭게 지어진 먹자골목 타운 5층과 새롭게 이전한 성동구 마장로 39가길 32 1층에 위치한 2개의 지점이 운영되고 있으며, 새롭게 이전한 매장은 마장역 2번 출구에서 가깝게 자리 잡고 있어 접근성이 한층 향상되었다. 최상급 1++ 한우부터 저렴한 2등급 육우까지 다양한 소고기를 맛볼 수 있으며, 싱싱한 육회/ 육사시미/ 간, 천엽 등을 서비스로 즐길 수 있다. 깔끔하게 정돈된 실내로 가족단위 식사, 단체 회식 장소로도 적합하다.

성락원(서울)

성락원(서울)

10.2 Km    35031     2023-03-21

서울특별시 성북구 선잠로2길 47

조선 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상응의 별장이었으나, 의친왕 이강(1877∼1955)이 35년간 별궁으로 사용했던 곳이다. 물이 흐르는 경치에 따라 세 개의 공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자연 지형으로 앞뜰, 안뜰, 바깥뜰로 나눌 수 있다. 앞뜰은 두 골짜기에서 흘러내린 물줄기가 하나로 합쳐지는 쌍류동천과 안뜰 앞을 막아 아늑하게 감싸 만든 용두가산이 있다. 물줄기 속 암벽에 행서체로 새긴 ‘쌍류동천’이란 글은 성락원의 자맥을 보호하는 뜻도 있다고 한다. 또한 쌍류동천 주위와 용두가산에는 200∼300년 되는 엄나무를 비롯하여 느티나무, 소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다래나무, 말채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어 안뜰과 성락원 바깥을 가려주는 구실을 하고 있다. 안뜰은 영벽지와 폭포가 있으며 바깥뜰은 송석과 연못이 있는 지역이다. 서쪽 아래 지역에 늪이 있고, 북쪽에는 물길을 파서 인공폭포를 만들었다. 늪의 서쪽 암벽에 ‘장빙가(檣氷家)’라고 새긴 글씨는 명필 추사 김정희 선생의 것이다. 자연과 인공이 어우러져 그 아름다움을 맘껏 뽐내고 있는 성락원은 조선시대 서울 도성 밖에 위치한 몇 안되는 별서정원의 하나로 가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