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커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비비커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비비커피

비비커피

10.4 Km    0     2024-02-19

경기도 과천시 찬우물로 21

BB커피는 경기도 과천시 갈현동에 위치한 카페이다. 라탄 조명과 우드톤의 가구들, 곳곳에 놓인 식물들로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아메리카노부터 솔티드카라멜라떼, 비엔나커피 등의 커피류와 밀크티, 착즙주스, 에이드 등의 음료류가 있고, 포르투갈식 에그타르트, 무염 버터로 만든 카야잼토스트, 구운 마늘식빵과 함께 먹는 단호박 스프 등의 디저트도 있다.

보리수한정식

보리수한정식

10.4 Km    1     2023-11-13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91

안양예술공원에 있는 음식점이다. 자연녹지 약 4,290㎡에 3층 규모의 건물과 수만 그루의 나무와 꽃이 있는 정원이 있다. 가족모임을 하기 좋은 공간으로 음식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이다. 특화된 한식 코스요리와 일품요리를 제공하고 있다.

KUTH

KUTH

10.4 Km    0     2023-12-22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 168

KUTH는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에 있는 카페이다. 바이크 카페로 바이크 관련 소품들을 전시해 놓고 관련 용품을 판매도 한다. 2층에도 카페이며 테라스도 있다. 크로풀에서부터 과즙 팡팡 딸기가 씹히는 마법의 딸기 라테가 인기가 좋다.

소피네 잡화점

10.4 Km    2     2023-11-20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11길 22 (동소문동4가)

소피네 잡화점은 공예공방으로, 주인이 직접 만든 치즈, 케이크, 오렌지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진 수제 향초, 비누, 드림캐처 등을 구매할 수 있다. 더불어 커스텀 원데이 클래스를 통해 향초와 향수, 천연화장품 만들기, 비누 만들기, 마크라메 등 생활 속에 필요한 다양한 수공예품들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 화학성분 없이 천연재료만을 사용해 만드는 천연스킨, 초를 태우면 안에 숨겨진 메시지가 나타나는 시크릿 메시지 캔들 등 수강생이 원하는 디자인, 색, 향에 맞춰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세상에 단 하나뿐인 작품을 만들어 볼 수 있다. 커스텀 원데이 클래스의 경우 예약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을 해야 한다.

코업시티호텔오류역

코업시티호텔오류역

10.4 Km    1     2024-01-30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20가길 19 (오류동)

코업시티호텔오류역은 남부순환도로와 오류동역 근처에 위치한 가성비 좋은 호텔이다. 객실은 디럭스 더블, 디럭스 트윈, 온돌방, 이그제큐티브 4가지 타입으로 무료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으며 넓고 편안한 분위기의 가구가 비치되어 있다. 호텔 내에 식당이 있어 조식이 가능하며 셀프 세탁실, 비즈니스 센터와 피트니스 센터, 주차장 등의 부대 시설이 있다. 1층에는 편의점이 있어 이용자의 편의를 돕는다. 수도권 지하철 1호선 오류동역 4번 출구에서 약 19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오류 IC에서 접근성도 좋다. 인근에는 고척스카이돔, 코스트코홀세일, 아이파크몰이 있다.

오래된 시장의 북적임과 들꽃이 가득한 홍릉수목원에서 하루를 보내다

10.4 Km    2699     2023-08-09

서울 약령시의 역사는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국전쟁 이후 전국 농산물과 약재가 모여든 것이 시초다. 서울에서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는 재래시장과 들꽃 가득한 홍릉수목원은 정반대의 느낌이면서 자연스러움이 어딘가 비슷한 구석이 있다. 서울의 오래된 장소들을 찾아보고 어린 시절 즐겨먹던 신당동 떡볶이 골목에서의 점심은 즐거운 하루를 선사할 것이다.

성락원(서울)

성락원(서울)

10.4 Km    35031     2023-03-21

서울특별시 성북구 선잠로2길 47

조선 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상응의 별장이었으나, 의친왕 이강(1877∼1955)이 35년간 별궁으로 사용했던 곳이다. 물이 흐르는 경치에 따라 세 개의 공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자연 지형으로 앞뜰, 안뜰, 바깥뜰로 나눌 수 있다. 앞뜰은 두 골짜기에서 흘러내린 물줄기가 하나로 합쳐지는 쌍류동천과 안뜰 앞을 막아 아늑하게 감싸 만든 용두가산이 있다. 물줄기 속 암벽에 행서체로 새긴 ‘쌍류동천’이란 글은 성락원의 자맥을 보호하는 뜻도 있다고 한다. 또한 쌍류동천 주위와 용두가산에는 200∼300년 되는 엄나무를 비롯하여 느티나무, 소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다래나무, 말채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어 안뜰과 성락원 바깥을 가려주는 구실을 하고 있다. 안뜰은 영벽지와 폭포가 있으며 바깥뜰은 송석과 연못이 있는 지역이다. 서쪽 아래 지역에 늪이 있고, 북쪽에는 물길을 파서 인공폭포를 만들었다. 늪의 서쪽 암벽에 ‘장빙가(檣氷家)’라고 새긴 글씨는 명필 추사 김정희 선생의 것이다. 자연과 인공이 어우러져 그 아름다움을 맘껏 뽐내고 있는 성락원은 조선시대 서울 도성 밖에 위치한 몇 안되는 별서정원의 하나로 가치가 크다.

프리스비 (Frisbee) 건대점

프리스비 (Frisbee) 건대점

10.4 Km    12724     2023-12-05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92
02-2218-3195

프리스비 건대점은 국내 최대 Apple 프리미엄 리셀러 매장이다. 최대 규모와 전문성을 자랑하는 No.1 Apple 프리미엄 매장으로 애플의 최신 제품을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는 체험형 스토어의 선두주자이다. 프리스비는 Apple에서 공식으로 인증을 받은 유통 채널이다. 오프라인의 경우 공식인증 리셀러, 프리미엄 리셀러, 숍으로 유형이 나뉜다. 프리스비 건대점은 Apple로부터 Apple 해결 방법, 서비스 및 지원 위주로 우수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받은 매장이다. 프리스비 건대점에서는 아이폰, 맥북, 아이패드뿐만 아니라 다양한 액세서리를 직접 구매하고 체험해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좀 더 Apple의 신상품을 빠르게 만나볼 수 있는 사전예약 이벤트를 통해 가격과 서비스 측면에서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산마을민속촌

산마을민속촌

10.4 Km    0     2024-06-21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476번길 56

산마을민속촌은 경기도 안양시 비산동에 있는 한식집이다. 넓은 매장은 쾌적하며 황토벽과 나무기둥, 서까래 인테리어로 전통적 분위기이다. 구석구석 옛 정취가 묻어나는 모습으로 박물관처럼 볼거리도 많다. 매장 내부는 홀과 함께 온돌방도 있다. 대표메뉴인 보리밥은 기본 반찬 외에 각종 나물과 된장찌개가 나와서 비벼 먹는다. 영양돌솥밥은 조기구이에 12가지 각종 나물까지 나오므로 푸짐하고 누룽지까지 먹을 수 있다. 파전은 오징어를 듬뿍 넣어 두툼하고 바삭하게 부쳐내어 고소하다. 도토리묵도 인기인데 묵과 갖은 야채를 맛있는 양념장에 입맛을 돋우기에 좋다. 산마을민속촌은 색다르게 메뉴에 돈까스가 있어 어린이들과 동반한 손님들에게 인기다. 두툼한 고기를 부드럽고 , 바삭하게 튀겨내고 보리밥과 함께 제공하는데 양도 푸짐하다. 식사 후 영수증을 지참하면 바로 앞에 있는 산마을 카페에서 커피를 할인해 준다. 6km 이내에 백운호수, 국립과천과학관, 평촌중앙공원이 있다.

서울 약령시장

10.4 Km    28640     2023-07-0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약령중앙로 10
02-969-4793~4

약령시(藥令市)는 원래 조선 효종 때 귀한 한약재의 수집을 위해 주요 약재 생산지에 관찰사를 상주시키고 왕명으로 만든 약재상 집결지이다. 그 당시에는 약재의 채취, 수확 시기에 맞추어 춘령시와 추령시로 1년에 두 번 열리는 계절장이었다. 현재는 서울약령시 이외에도 대구, 제천 등 전국에 여러 약령시가 있지만 서울약령시가 규모나 역사로 볼 때 가장 큰 시장이다. 현대적인 서울약령시의 역사는 1960년대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 동부 도심권의 교통 요충지인 청량리역과 마장동 시외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한약 상인들이 하나둘 모여들면서 구성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의 농민들이 생산하거나 채취해온 농산물과 채소 및 임산물들이 옛 성동역(城東驛, 현 한솔동의보감)과 청량리역을 통해 몰려들어 그 반입과 판매를 위해 인근 논을 매립한 공터에서 장사를 벌이기 시작하면서부터 자연히 시장이 형성된 것이 서울약령시의 시초이다.
1960년 6월 공설시장 개설 허가를 받은 후, 서울 시내에서 모든 농산물을 골고루 갖춘 가장 싸게 파는 시장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특히 한약재의 주산지인 강원도 등과 철도 및 도로로 편리하게 연결되면서 급속히 발전하여 1960년대 후반에는 한약재 등의 특종 물품을 취급하는 전문시장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지금과 같은 규모와 상품 구색을 갖추게 된 것은 1970년대이다. 종로 4가와 종로 5가에 모여 있던 전통적인 토박이 약재상들이 이곳으로 이사 오면서 서울약령시가 약재 집산지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1970년대부터는 전국적으로 명성이 알려지면서 시장은 급격히 확대되었고, 1980년 8월에는 시장 근대화 사업을 촉진시켜 근대 시장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1983년부터는 인삼과 꿀까지 취급하면서 서울에서 소비되는 인삼과 꿀의 약 4분의 3, 전국 한약재의 약 3분의 2가 서울약령시를 통해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변천 과정을 거쳐 서울약령시는 전국에서 가장 큰 한약재 시장으로 자리를 잡았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약재시장으로 커나가고 있다. 그래서 중국과 대만, 홍콩, 일본, 뉴질랜드 같은 나라들과 활발한 수출입 활동을 벌이고 있다. 서울약령시장이 ‘서울약령시’라는 정식 명칭을 부여받은 것은 1995년 6월이었다. ‘서울약령시(전통한약시장지역)’로 지정된 이후 한약과 관련된 다양하고 새로운 시설과 제도들을 마련하고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