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영 구로디지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올리브영 구로디지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올리브영 구로디지털

올리브영 구로디지털

10.2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4길 43 코오롱싸이언스밸리 1차 1층

-

칼튼호텔

칼튼호텔

10.2 Km    29744     2024-04-17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354-10
02-2604-9229

칼튼호텔은 김포공항에서 차량으로 10분 거리에 위치하였으며 객실 요금 인하하여 부담 없는 금액으로 이용할 수 있다.

청명당안경 한티

청명당안경 한티

10.2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936-31 104호

-

면곡시장

10.2 Km    5     2023-04-13

서울특별시 광진구 답십리로78길 5

1970년대 초반에 골목에 하나 둘 가게가 생기면서 형성된 골목시장으로 체계적인 전통시장이 아닌 난전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소규모 골목시장이다. 면목 4동과 중곡 3동 사이에 있어서 면곡 시장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과거 재래시장의 모습이 많이 남아 있어 옛 향수를 찾아 이 집 저 집 둘러보는 재미에 일부러 골목시장을 찾는 방문객이 많다. 7호선 중곡역과 용마산역 중간지점 늘푸른동아아파트 인근에 있다.

양천구어린이교통안전교육장

양천구어린이교통안전교육장

10.2 Km    30291     2023-12-10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남로 106-23

갈산공원 내에 위치한 양천구어린이교통안전교육장은 어린이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교통사고 사례들을 중심으로 체험교육을 통해서 어린이들이 교통사고 예방법을 배울 수 있는 학습장이다. 이곳에서는 신호등과 횡단보도 바르게 건너기 교육 등 실제처럼 잘 꾸며놓은 교육장에서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유치원생을 비롯해 초등학생들이 많이 찾고 있으며 산 교육의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안실련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할 수 있고, 교육은 하루 2회 오전 10시와 11시에 교육 시간은 50분 정도로 이론교육과 체험교육을 함께 진행한다.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신청하면 [찾아가는 교통안전 교육]과 [온라인 화상 교통안전교육]도 가능하다. 수도권 지하철 2호선 양천구청역 1번 출구에서 600m에 위치하고 있다.

박가뼈다귀감자탕 본점

박가뼈다귀감자탕 본점

10.2 Km    3     2022-10-06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193

박가뼈다귀감자탕 본점은 경의중앙선, 경춘선 중랑 역 4번 출구 한국교통안전공단중랑출장검사장 인근에 있다. 매장 앞에 전용 주차장이 있어 자동차로 이용하기 편리하다. 이곳은 1, 2층 대형 건물에 뼈다귀 감자탕을 전문으로 하는 식당이다. 동네 맛집으로 소문이 나 있어 대형 매장임에도 불구하고 자주 웨이팅이 있다. 동네 주민들에게 최애 맛집이자 여러 언론 매체에서 뼈다귀 감자탕 음식 관련 맛집으로 소개된 곳이다. 대표 메뉴는 뼈다귀감자탕 대, 뼈다귀해장국이다. 특식으로 해물뼈다귀찜과 왕새우튀김, 삼겹살쭈꾸미볶음도 준비되어 있다. 홀은 좌식 테이블과 입식 테이블로 나누어져 있고 어린이놀이 시설도 운영해 가족 모임 장소로 적당하다. 식당 인근에 면목동체육공원, 봉화산옹기테마공원, 의릉경종왕릉(세계문화유산) 등이 있어 식사 전후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음식문화특화거리(깔깔거리)

음식문화특화거리(깔깔거리)

10.2 Km    39     2023-12-05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2길 97-21

구로디지털단지역 인근에 있는 음식 거리이다. 청결하고 간소한 상차림으로 낭비적인 음식문화 개선에 앞장서고 있는 구로구의 우수음식점들이 밀집되어 있다. 깔깔거리의 의미는 음식점은 깔끔하게 음식을 차리고 이용객은 깔끔하게 남기지 않고 먹고 간다고 해서 이 독특한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곳의 음식점 중 손님이 안심하고 믿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점으로 구청에서 인증한 깔깔가맹점에서는 깔끔하게 식사를 마친 손님들에게는 음식값의 2%를 할인(포인트 적립)해 준다. 또 손님이 먹고 남긴 음식은 포장 용기에 싸갈 수 있게 하는 등 음식 문화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깔깔거리 내에는 유명한 맛집들도 많고 주변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회사원들도 많이 찾아오는 곳으로 저녁 시간대에는 많은 유동 인구로 붐비는 곳이다.

대보명가

대보명가

10.2 Km    2     2024-02-05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69

대보명가는 4.19 민주묘지역 2번 출구에서 800여 m 거리에 있다. 이곳은 약과 음식은 근본이 같다는 신념으로 질 좋은 재료들을 철저하게 관리하여 건강식을 내는 음식점이다. 우리의 건강한 음식문화를 바로잡고 알리고자 가성비 음식에 직접 만든 건강에 좋은 발효식품들도 맛볼 수 있다. KBS 2TV 생생정보 등에서 소개된 대보명가의 대표메뉴는 제천약초밥이고, 제천약초쟁반, 제천약초 떡갈비, 오곡전도 별미다.

덕수궁

덕수궁

1.0 Km    66041     2024-06-10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사적 덕수궁은 본디 왕궁이 아니었다. 원래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1454∼1488)의 집이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 때 왕궁이 모두 불타서 1593년 행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선조임금은 의주로 피난 갔다가 한양으로 환도한 뒤 덕수궁에서 머물렀다. 선조의 뒤를 이은 광해군은 1608년 이곳 행궁에서 즉위한 후 1611년 행궁을 경운궁이라 고쳐 부르고 7년 동안 왕궁으로 사용하다가 1615년에 창덕궁으로 옮기면서 이곳에는 선왕인 선조의 계비인 인목대비만을 유폐시켰다. 1618년에는 인목대비의 존호를 폐지하고, 경운궁을 서궁이라 낮추어 부르기도 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고 인조가 이곳 즉조당에서 즉위하고 창덕궁으로 옮긴 이후 270년 동안은 별궁으로 사용되었다. 1897년 고종황제가 러시아 공관에 있다가 환궁하면서 이곳을 다시 왕궁으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그때부터 다시 경운궁이라 부르게 되었고 그 규모도 다시 넓혔다. 그리고 고종 황제는 1907년 순종에게 양위한 후, 왕궁을 창덕궁으로 옮긴 후에도 이곳에 거처하였는데, 이때부터 고종 황제의 장수를 비는 뜻에서 덕수궁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런 까닭에 요즘 와서는 경운궁이라는 본래의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덕수궁엔 지난날 많은 건물이 있었으나 현재 18,635평의 경내에 남아 있는 것은 대한문, 중화전, 광명문, 석어당, 준명당, 즉조당, 함녕전, 덕홍전 및 석조전 등에 불과하다. 덕수궁은 특히 구한말 비운의 황제 고종이 일제의 압박으로 양위를 강요당하고, 한 많은 여생을 보내다가 1919년 1월 22일 덕수궁 함녕전에서 일제에 의해 독살당하여 돌아가신 것으로 알려져 3·1 독립운동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던 곳이다. * 대한문 - 대한문은 현재 덕수궁의 정문이다. 이문의 원래 이름은 대안문(大安門)이고, 궁궐의 동문이었다. 대안문은 1906년에 다시 지으면서 ‘대한문’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현판 글씨는 당시 한성부 판윤을 지냈던 남정철이 썼다. * 광명문 - 이 문은 왕의 침전인 함녕전의 정문으로 광무 8년(1904)에 큰불이 나서 타 버린 것을 같은 해에 다시 지었다. 1938년 석조전을 미술관으로 개관하면서 정동에 있던 흥천사(興天寺)의 범종과 창덕궁 보루각에 있던 자격루를 지금의 자리로 옮길 때 같이 옮겨 세웠다. * 석조전 - 대한제국때 외국 사신들을 접견하던 곳이다. 광무 4년(1900)에 착공하여 융희 3년(1909)에 준공한 석조 건물로, 조선왕조에서 마지막으로 지은 큰 규모의 건물이었다. 건물의 외관은 19세기 초 유럽에서 유행했던 신고전주의 양식을 따른 것으로 정면에 있는 기둥의 윗부분은 이오니아식으로 처리하고 실내는 로코코풍으로 장식하였다. 전체는 3층인데 1층은 접견 장소로, 반지하층은 시종인들의 대기 장소로 사용되었고, 2층에는 황제가 거처하였다. 광복 후에는 미소공동위원회 회의장, 국립박물관,국립현대미술관, 궁중유물전시관 등으로 사용하였다. * 함녕전 - 보물로 지정된 함녕전은 1897년 건축하여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건물로, 1904년 화재로 인해 소실된 것을 같은 해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고종황제는 1919년 1월 21일 이 함녕전에서 돌아가셨다. 그 후 비어 있던 이곳에 당시에 사용하던 가구, 서화, 집기 등을 배치하여 100여년 전의 궁중 생활상을 새롭게 재현하였다. * 중화전 - 대한제국(大韓帝國)의 정전으로 조선 제26대 왕 고종(高宗, 1852~1919 재위 1863∼1907)의 근대 국가 건설에 대한 자신감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특히 정전 안에서 어좌(御座) 바로 위의 닫집을 보면 용을 한 쌍 볼 수 있는데 이는 정전 천정의 용과 같은 문양으로 덕수궁이 대한제국 황제의 황궁이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지금 남아 있는 중화전은 1902년에 중층으로 건립되었으나 1904년 화재로 소실된 후 1906년 단층으로 중건된 것이다. * 중명전 - 중명전(重明殿)은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Seredin Sabatin)의 설계로 1897년부터 1901년에 걸쳐 건립된 황실도서관이다. 지상 2층, 지하 1층의 서양식 건물로 처음에는 수옥헌(漱玉軒)이라 불렀다. 2009년 12월 복원을 거쳐 2010년 8월부터 전시관(‘대한제국의 운명이 갈린 곳, 덕수궁 중명전’)으로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 * 그 밖에 석어당, 준명당, 즉조당, 정관헌, 덕홍전, 보루각 자격루 등이 있다.

덕수궁 대한문

덕수궁 대한문

1.0 Km    23223     2024-03-06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전인 중화전이 건립되기 전까지는 인화문을 사용했으나 1902년 궁궐을 크게 중전 하면서 중화전과 중화문, 그리고 와삼문인 조원문을 세워 법전의 체제를 갖추었다. 그리고 인화문의 자리에는 건극문을 세우고 조원문 동쪽에 대한문을 세워 정문으로 사용했다. 1904년 (광무8)재건하면서 대한문으로 고쳐 불렀다. 정동(正東)에 동향한 정문(正門)으로, 석계(石階) 위에 삼문(三門)을 만들어 세웠다. 지금의 문은 도로 확장에 밀려 뒤로 물려졌고 석계는 노하(路下)에 매몰되어 있다. 지붕은 우진각기와지붕이다. 보통 정문은 돈화문(敦化門) · 홍화문(弘化門)과 같이 중문이나 이 문만은 단층이 되었는데 이는 중화전이 단층으로 재건됨에 따른 조화를 이룬 구성이었다고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