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파 순천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네파 순천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네파 순천점

네파 순천점

17.4 Km    0     2024-04-24

전라남도 순천시 시민로 46(남내동)

-

대원식당

대원식당

17.4 Km    26424     2023-02-23

전라남도 순천시 장천2길 30-29
061-744-3582

고들빼기, 갓김치 등과 토속적인 젓갈류를 곁들인 한정식 전문식당으로 홍어, 낙지 석쇠구이, 갈비찜도 유명하다. 2인 식사는 불가능하며, 3인 이상 한상차림으로 준비된다.

순천 고인돌 공원

순천 고인돌 공원

17.4 Km    34039     2023-11-14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고인돌길 543

승주군을 합쳐 면적이 방대해진 순천시는 조계산도립공원과 송광사, 선암사 등의 명찰, 낙안읍성 민속 마을, 대대포구 갈대밭 등이 있어 관광객들을 많이 불러 모으는 곳이다. 송광면의 주암호반에 조성된 고인돌 공원은 주암댐 건설(1984-1991)로 인해 수몰지역에 있던 선사 유적을 한 곳으로 옮겨 복원해 놓은 것이다. 수몰지역으로는 섬진강 지류인 보성강 유역 순천, 보성, 화순 3개 시군 내 인접 9개면 49 개리로 광활한 지역이다. 이 지역에 산재해 있는 많은 문화유적들을 계속 보전, 전승하기 위해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석기 유적 4개소, 집단 취락지 4개소(200기), 고인돌 24개소 400기, 백자 도요지 1개소, 선돌 4기 등이 발굴되었다. 그중 대표적인 고인돌군을 이전, 복원하여 후세들의 역사교육장과 도민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곳 18,000여 평의 부지 위에 공원을 조성하게 되었다. 이곳에는 고인돌 140 여기와 선사시대 움집 6동, 구석기시대 집 1동, 남북방식 모형 고인돌 5기, 솟대, 선돌들이 전시된 야외전시장과, 고인돌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해 놓은 유물전시관, 전남지방 시대별 묘제 변천과 영상실을 겸한 묘제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원 일원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54호로 지정되었다.

닥스(순천)

닥스(순천)

17.4 Km    0     2024-04-24

전라남도 순천시 황금2길 15 1층

-

순천도축장 (순천육류도소매장)

17.4 Km    0     2024-05-14

전라남도 순천시 홍내교길 106

순천 홍내동에 위치한 순천도축장은 당일 도축한 신선한 육류를 접할 수 있는 곳이다. 도축장은 일반인들의 출입이 불가하지만, 도축장 주변에 질 좋은 한우와 한돈 등을 판매하는 정육점들이 많아, 지역주민들이 즐겨 찾는다. 정육점에 마련된 쇼룸에서 미리 손질된 고기를 골라 구매하거나 용도에 맞는 고기를 요청하면, 그 자리에서 해당 부위의 뼈를 발라내 주기도 한다. 육회, 불고기, 벌집삼겹살 등 종류도 다양해 원하는 고기를 마음껏 선택할 수 있다. 합리적인 가격에 품질 좋은 고기를 구매하고 싶다면 방문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목우마을

목우마을

17.4 Km    3     2021-03-13

전라남도 순천시 호남길 5
061-751-1919

현지인의 단골매장으로 고기구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한국식 백반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삼겹살이다. 전라남도 순천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K2(순천 중앙점)

K2(순천 중앙점)

17.4 Km    0     2024-04-24

전라남도 순천시 시민로 52

-

순천 문화원

17.4 Km    2     2023-12-15

전라남도 순천시 장명로 58 (장천동)

애향 문화의 도시이자 교육의 도시 순천은 서울, 경주, 안동에 이어 국가지정 문화재가 많은 곳으로 전통과 역사가 있는 도시이다. 순천문화원은 지역문화를 선도하고 봉사하며, 전통문화 계승발전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순천 지역문화의 보존과 발굴, 문화자원 확보, 향토문화계승, 문화환경 조성을 통한 문화예술 기회 제공 등 지역 사회의 문화원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주민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문화실버스토리텔러 양성 교육을 통해 실버세대와 경력 단절 여성들에게 자부심과 삶의 동기 부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문화유적과 관광지역 탐방을 통한 역사 알리기, 설화이야기책 제작, 지역 풍속 놀이인 별량 장산마을 유두놀이 계승 보존을 위한 사업 등을 진행함으로써 끊임없이 지역문화의 발전을 위해 순천 시민들과 함께 많은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순천만 국가정원

17.4 Km    46623     2024-06-21

전라남도 순천시 국가정원1호길 47

세계 5대 연안습지 중 하나인 대한민국 제1호 국가정원이다. 순천만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성한 순천만국가정원의 순천 도사동 일대 정원부지 112만㎡(34만 평)에는 나무 505종 79만 주와 꽃 113종 315만 본이 식재되어 있다. 봄이 되면 튤립과 철쭉 등이 꽃망울을 터뜨려 장관을 이룬다. 또 나눔의 숲 주변 3만㎡는 유채꽃 단지로 조성했는데, 5월 중순 일제히 만개해 노란 물결이 일렁인다. 시는 주요 동선에 팽나무와 느티나무 등 5만 주를 심어 자연 그늘막을 만들었다. 순천만 정원과 순천문학관 구간(4.64㎞)을 오가는 소형 무인궤도 열차(PRT)도 운행을 하고 있다. 정원을 충분히 둘러본 탐방객은 PRT를 타고 문학관으로 이동해 하차한 뒤 순천만 초입 무진교까지 1.2㎞ 거리를 갈대열차로 옮겨타 이동하면 된다. 순천만국가정원과 습지를 이어주는 하늘택시 스카이큐브 등 친환경 교통수단도 운영한다.

송재 서재필선생 생가와 기념공원

17.4 Km    22391     2024-05-23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용암길 8

송재 서재필선생 생가와 기념공원은 선생의 얼을 기리고 호국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조성된 공간이다. 만 20세 나이로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 등 갑신정변 주역 중의 한 사람이었던 서재필은 갑신정변이 실패하자 미국으로 망명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양의사가 되었다. 미국으로 귀화하였으나, 귀국하여 독립신문을 제작하고 독립협회를 결성하였다, 평생을 독립운동에 몸 바치고, 광복 후에는 미군정청 고문으로 일하다가 미국에서 영면하였다. 서재필 선생의 생전 위업을 기리고자 그가 태어난 문덕면 생가 앞에 1992년 사업을 시작하여 사당 건립, 송재로 개설, 독립문 건립을 하였고, 조각 공원과 유물 전시관, 그리고 생가 등이 복원되면서 기념공원이 되었다. 유물전시관에는 서재필 선생 생전의 유품 800여 점을 전시하고 있으며 기념공원에는 서재필 선생의 동상과 서울에 있는 독립문과 똑같이 재현한 독립문이 세워져 있다. 기념공원에서 약 1.4km 떨어진 가내마을에 서재필 선생의 생가가 있다. 6.25 전쟁으로 60여 호의 마을이 소각되면서 소실되었으나 2003년 중요 건물들을 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 지역은 보성군의 북부 지역으로 천년고찰의 대원사와 향토작가 전시관인 백민 미술관 승주 고인돌공원과 연계되어 교육문화코스로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