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수리봉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독수리봉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독수리봉

14.0 Km    0     2023-12-09

충청북도 보은군 회남면 분저리

독수리봉은 대청호 오백리길 제15구간에 위치하여 대청호 인근 분저리 마을을 지나면 볼 수 있는데, 예로부터 독수리가 많이 서식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독수리봉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매우 아름다워 꼭 가봐야 할 명소로, 특히 단풍철에 산 곳곳에서 보이는 절경은 관광객에게 더욱 인기가 많다. 독수리봉 남측 사면에는 삼가천과 북측 사면에는 보청천이 흐르고 있고, 서측의 서원리 계곡과 동측의 어암리 계곡 등 여러 깊은 계곡들이 발달되어 있다. 해발 574M 높이에 있는 보은 독수리봉 전망대는 주변에 솔향이 가득한 소나무 숲이 우거져 있고, 독수리봉에 설치된 나무데크에 오르면 거대한 악어 한 마리와 독수리 형상의 지형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대청호가 생기면서 생겨난 자연의 조각품이라 할 수 있다. 산에 오르는 높이도 적당하고 등산로도 비교적 완만하여 자연을 즐기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평온한 산책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도 가히 최고의 힐링 장소라고 할 만하다.

옥천 후율당

옥천 후율당

14.1 Km    21923     2023-12-13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도이길 42

옥천 후율당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조헌(1544~1592)이 보은 현감을 사임하고 옥천에 낙향하여 살 때 지은 조선시대 사당이다. 스승인 이이를 경모하여 그의 뒤를 잇는다는 뜻으로 자기 호를 이이의 호인 율곡에서 율자를 따서 후율이라고 지었다. 그리고 용촌 밤티〔栗峙〕에 당을 짓고 당의 이름을 후율당이라고 하였다. 조헌은 이이와 성혼에게서 수학하였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후율당에서 의병을 일으켜 1,700여 명을 규합하여 영규대사의 승병과 함께 청주를 수복하는 공을 세웠다. 그러나 그 후 금산싸움에서 700명의 의병과 함께 순국하였다. 후율당도 임진왜란 후 퇴락되어 가던 것을 1854년(철종 5)에 후손들이 옥천군 백양동에 이건하였고 1864년(고종 1)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으며, 1977년 중건하였다. 후율당 내에는 1621년(광해군 13)에 판간한 항의신편 판목 125장과 유림시판 10장, 선조가 내렸다는 조서 1장이 보존되어 있다. 경내에는 금산에서 그를 대신하여 죽으려 했던 아들 완기의 효자각이 있다.

나루터가마솥소머리곰탕

나루터가마솥소머리곰탕

14.1 Km    3     2024-04-09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천고은로 73

나루터가마솥소머리곰탕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남계리에 있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 정보에 소개된 바 있다. 깔끔한 외관과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한우 사골 등을 가마솥에 우려 만든 육수를 사용한 곰탕이다. 양곰탕, 우족탕, 수육 등도 판다. 재료가 모두 소진되면 조기에 영업을 마감한다. 문의청남대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청주고은리고택, 공군박물관, 더플레이그라운드가 있다.

시인 정지용의 향수 속으로

시인 정지용의 향수 속으로

14.1 Km    1272     2023-08-11

옥천은 시인 정지용의 삶과 문학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고장이다. 가수와 성악가가 함께 부른 노래 <향수>는 서정적인 가사가 아름다운데 바로 정지용의 시를 가사로 했다. 정지용 생가와 문학관을 둘러보며 <향수>를 음미해보자.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조헌의 사당인 후율당과 일출이 장관인 용암사도 옥천의 명소다.

배영숙 산야초밥상

14.2 Km    7854     2023-05-24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253
043-543-1136

배영숙 산야초밥상은 보은에 위치한 산야초 건강 음식 전문점이다. 모든 고객들의 건강에 소망을 담아 근방의 풀을 뜯어 반찬을 만들고, 속리산의 100가지 산야초를 모아 발효액을 담가 사용한다고 한다. 이곳 배영숙 산야초밥상에서는 보은의 특산물인 대추로 밥을 지어내는 대추 정식과 함께 속리산 정식, 소나무 정식, 버섯전골 등을 맛볼 수 있다. 또한 정성이 묻어나는 산야초 발효효소를 가미한 대추 장아찌, 대추 약고추장 등도 맛볼 수 있다.

속리산옛고을

속리산옛고을

14.2 Km    17599     2023-06-22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250
043-543-3930

속리산옛고을은 충북 보은군 속리산 인근에 위치한 산채음식 전문점이다. 속리산산채거리에서 20년 장인이 만드는 전통 있는 음식점으로 알려져 있다. 황토와 통나무로 꾸민 내부가 아늑하면서도 따듯한 느낌을 주준다. 대표 메뉴는 산책정식이며 이 외에도 자연산 버섯을 이용한 건강식 메뉴가 다양하다.

속리산 산채비빔밥 거리

속리산 산채비빔밥 거리

14.2 Km    32303     2024-06-07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속리산 산채비빔밥 거리는 정이품송공원에서 법주사로 가는 길 사이에 있으며 속리산터미널, 속리산조각공원과 가깝다. 공기 좋은 곳에서 자연경관을 즐기면서 먹는 맛있는 산채비빔밥은 산해진미가 부럽지 않다. 그중 봄에 먹는 산채비빔밤이 가장 맛있고,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있기로 유명하다. 봄에 새싹을 내민 부드럽고 연한 산나물과 약초 등이 맛을 돋운다. 산채비빔밥 거리의 시작은 197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에 두세 집이 영업을 하던 것이 1980년대 후반에 10여 개로 늘어났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90여 집으로 늘어난 것이다. 산채비빔밥 거리에 있는 식당들은 약초와 산나물 등을 합쳐 20여 가지의 재료를 넣어 비빔밥을 만드는데 그 재료와 요리법을 특허등록까지 했다고 한다. 주변 속리산 일대의 관광지들을 둘러보고 이곳을 방문해 식사하기 좋다.

경희식당

경희식당

14.2 Km    24482     2024-05-17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7길 11-4
043-543-3736

속리산 법주사 관광단지 안에 있는 전통 한정식 전문음식점으로 식당을 처음 연 남경희 할머니의 성함을 따서 지은 70년 전통의 식당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인증한 백년가게로, 1950년부터 대전에서 한정식집을 개업하여 유성 군인 휴향소로 옮겼다가 1974년에 속리산으로 들어왔다. 남경희 할머니는 충청북도 향토음식 기능보유자이며 계절에 따라 속리산에서 나는 자연산 식재료로 만든 음식들을 선보인다. 자체 농장인 경희농원에서 직접 기른 채소를 사용하고, 고춧가루, 고추장, 된장, 집 간장도 직접 담가 옛날 고향 맛을 느낄 수 있다. 한 상에 차려져 나오는 반찬은 표고버섯, 쇠고기편육, 두릅나물, 자연산 고사리, 감장아찌, 자연산 싸리버섯, 머위나물, 표고전, 밤조림 박정과 들깨송이튀각 등으로 무려 40여 가지나 되어 가히 상다리가 휘어질 정도이다. 여기에 겨자장과 강된장 등은 이 집만의 독특한 요리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우리 고유의 요리법을 기본으로 하되 다소 현대화하여 덜 맵고 덜 짜게 만든 음식으로 우리나라 사람뿐만 아니라 외국인들에게도 더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정성이 깃든 맛을 느낄 수 있다. 한정식 특성상 2인 이상 주문이 가능하며 식당 주변에 속리산 조각공원 및 오리길, 법주사 등 둘러볼 곳이 많이 있다.

영남식당

영남식당

14.3 Km    18883     2023-08-16

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로 256
0507-1367-3924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에 위치한 산채요리 전문점으로 산채비빔밥과 함께 산채정식을 주메뉴로 하고 있다. 밑반찬 종류도 다양하고 그 맛이 깔끔하여 방문객들의 만족도가 높다. 자연산 버섯들로 요리한 영남 정식, 대추 정식(된장), 속리산 정식(청국장), 산채비빔밥, 더덕구이 등 다양하고 푸짐한 향토음식들이 준비되어 있다.

속리토속음식점

속리토속음식점

14.3 Km    30554     2023-04-24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261
043-543-3917

속리토속음식점은 충청북도 보은군에 위치한 속리산 맛집이다. 산에서 직접 채취해 말린 산더덕과 당귀, 오가피 등 여러 약재와 토종닭, 그리고 영양만점 송이버섯을 넣어 푹 고아 낸 송이백숙이 인기이다. 20여 가지의 나물과 버섯을 넣어 비벼 먹는 산채비빔밥도 맛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