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에서 청정&낭만 에너지를 꽉 채우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춘천에서 청정&낭만 에너지를 꽉 채우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춘천에서 청정&낭만 에너지를 꽉 채우다!

춘천에서 청정&낭만 에너지를 꽉 채우다!

12.9 Km    1     2023-08-09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사북면 춘화로 330-48

이번 코스은 낭만의 도시 춘천으로의 여행이다! 춘천 고유의 청정한 하늘과 푸르른 강물, 도시가 주는 행복하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제대로 만끽할 수 있는 코스이다. 제일 먼저 삼악산에서 케이블카를 타고 수려한 풍치의 산과 의암호를 가득 눈에 담아보자. 그리고 이어지는 곳곳마다 인생사진을 찍으며 인생 여행지를 마음에 품어보자!

육림고개

육림고개

1.3 Km    1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춘천로151번길 21-2

쇠퇴의 길을 걷던 골목에서 춘천의 명소로 다시 태어난 곳. 육림고개는 지금은 문을 닫은 ‘육림극장’과 춘천중앙시장을 연결하는 고갯길로 1980~1990년대까지 춘천 주요 상권이었다. 하지만 이후 신도심 개발과 상권 이동으로 사람들의 발길이 끊기고 빈 점포가 늘어갔다. 이에 춘천시는 2015년 막걸리촌 특화거리 조성 사업을 시작으로 청년몰 조성 사업 등을 통해 육림고개 활성화를 추진했다. 그 결과 닫혔던 점포들이 하나 둘 다시 문을 열기 시작했고 거리의 풍경이 달라졌다. 낡은 주택을 개조한 감각적인 카페, 신개념 막걸리 바, 청년 농부들이 건강한 밥상을 차려내는 밥집, 유럽 분위기의 홍차 전문점 등 개성 넘치는 젊은 가게들이 들어섰다. 그 사이사이로 오래된 신발가게, 올챙이국숫집, 기름집, 뻥튀기 가게 같은 노포가 자리를 지켜내고 있다. 이렇게 옛것과 새것, 아날로그 감성과 트렌디한 감성이 어우러져 육림고개만의 독특한 풍경을 만든다.

[주요시설&부대시설]
카페, 음식점, 소품샵

탑골가든

13.0 Km    1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남산면 김유정로 427-12

춘천 외곽의 한적한 국도변에 있는 골퍼들 사이에서 소문난 맛집이다. 숯불에 구워 먹는 닭갈비 구이가 맛있는 곳인데, 함께 나오는 더덕구이를 더 많이 먹을 만큼 양념이 맛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숯불 닭갈비 전문점으로, 소금구이 닭갈비와 고추장양념 닭갈비가 대표 메뉴다. 깻잎과 당귀 위에 닭갈비를 올리고, 밑반찬으로 나온 더덕무침을 구워 함께 곁들이면 최고의 조합이라고 한다. 닭갈비 외에도 오리구이와 뼈 없는 닭발, 춘천막국수와 된장찌개도 판매하고 있다.

군자숯불닭갈비

군자숯불닭갈비

13.0 Km    0     2023-11-07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 종자리로 148-8

남춘천 IC에서 아주 가까운 닭갈비 전문식당이다. 닭갈비가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숯불구이와 철판구이 중에 고르면 화로나 철판 테이블에 앉게 된다. 숯불닭갈비는 양념과 간장 두 가지 맛이고 초벌구이 되어 나온다. 먹기 좋게 바로 잘라서 구워준다. 후식으로 막국수를 먹을 수 있고, 철판 닭갈비를 먹게 되면 볶음밥으로 마무리하면 좋다. 수도권에서 동해안으로 가거나 인근 골프장을 가는 인파들이 잊지 않고 들리는 숨은 맛집이다.

국립춘천숲체원

국립춘천숲체원

13.1 Km    2     2024-03-15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 장본2길 331
033-912-9000

춘천의 청정 계곡인 삼한골에 335ha 규모의 숲체원이 들어섰다. 숲체원은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산림복지 시설로 ‘숲을 체험하는 넘버 원’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국립춘천숲체험원은 ‘PLAY’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있는데 ‘Play(즐겨라), Lead(이끌어라), Act(행동하라), You(주인공은 너)’라는 단어의 앞글자를 따서 만들었다. 체험 시설, 숙박 시설, 식당 등의 시설을 갖추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프로그램은 개인, 단체 모두 이용 가능하며 모험숲, 실내암벽, 계곡트레킹 등 산림레포츠 프로그램과 숲해설, 숲오감체험, 자연공예 등 산림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일반 모험 시설을 이용하기 어려운 장애인이나 약자를 위해 특화한 배려숲 프로그램도 별도 운영 중이다. 배려숲은 국내 최초로 휠체어 이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로프 코스 모험 시설로, 휠체어 탑승자는 물론 보호자도 함께 체험할 수 있다. 무장애 덱길도 조성해 보행 약자도 편안하게 숲체원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스칼라캠프장

스칼라캠프장

13.1 Km    4     2023-07-0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추곡고개길 326-121

스칼라 캠프는 강촌역에서 6km 떨어진 약 6,600㎡ 규모의 대형 캠핑장이다. 클램핑과 데크 사이트 26개, 파쇄석 사이트 57개가 있고 반려견 동반도 가능하다. 산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듯한 탁 트인 산세를 캠핑 사이트에 앉아서 즐길 수 있다. 가을 단풍도 절경을 이루며, 매일 저녁노을과 별 보기도 좋다. 매점에서 간단한 필수품들이 구비되어 있고, 하나로 마트도 가까이에 있어 편리하다. ※ 반려동물 동반가능 (소형견만 가능)

춘천숲자연휴양림

춘천숲자연휴양림

13.2 Km    31812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 종자리로 224-104

2008년 개장한 82ha 규모의 시립자연휴양림으로 산림휴양관, 숲속의집, 글램핑장, 캠핑장 등의 시설을 운영한다.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참나무와 잣나무가 울창한 숲속에서 조용하게 쉬어가기 좋은 휴양림이다. 나무로 지은 숲속의집, 완벽한 시설을 갖춘 글램핑장 등 다양한 취향을 맞춰줄 숙박 시설이 있다. 이곳의 캠핑장은 덱마다 개별 화장실과 샤워실, 개수대를 갖춰 특히 인기다. 시기에 따라 숲해설가와 함께하는 숲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등산로도 있다. 여름철에는 수영장을 운영하며 계곡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토끼 먹이 주기, 트램펄린 등 아이들을 위한 소소한 즐길 거리도 제공한다. 남춘천나들목(IC)과 가까워 접근성이 좋다.

[주요시설&부대시설]
산림휴양관, 숲속의집, 야영데크, 글램핑, 눈썰매장, 어린이방방, 세미나실, 매점, 족구장, 산책로

김청풍부원군묘역

13.2 Km    4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경춘로 667-9

조선 18대 임금인 현종의 장인이자 현종의 아내 명성왕후의 아버지인 충익공 김우명의 묘역이다. 묘역에는 외손이 되는 숙종의 친필 묘비가 있고 망주석, 문인석 한 쌍식과 석등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내에서 일반인 묘로는 유일하게 둥근 돌(월석)이 박힌 묘담장이 둘러져 있다. 경춘선 백양리역에서 강 건너 마주보이는 언덕에 자리 잡고 있는 김우명 묘역은 1976년 6월 17일 강원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묘비는 숙종의 친필로 쓰여 졌으며, 무덤 근처에는 신도비(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근처 길가에 세운 비)가 있다.
(출처 : 강원도청)

춘천숲자연휴양림엔글램핑

춘천숲자연휴양림엔글램핑

13.2 Km    1     2023-07-0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산면 종자리로 224-104

아름다운 자연과 밤하늘에 가득 수놓인 별들을 볼 수 있는 춘천 숲자연휴양림은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에 위치하고 있다. 서울 춘천간 고속도로 남춘천IC에서 , 서울에서 약 40분 거리에 규모 82ha의 물맑고 공기좋은 잣나무 및 참나무 숲속에 조용하고 아늑한 자연휴양림이다. 부대시설로 공용화장실, 공용샤워실, 개수대, 매점, 안내매표소 등이 있다.

구곡폭포 국민여가 캠핑장

구곡폭포 국민여가 캠핑장

13.2 Km    1     2023-10-3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남산면 강촌구곡길 324

구곡폭포 국민 여가 캠핑장은 강촌 구곡폭포 바로 아래에 있다. 구곡폭포 매표소 안쪽에 있어 주차장과 캠핑장의 거리가 멀다. 그러나 전동카트로 짐을 옮겨주는 서비스가 있어 이동이 고생스럽지는 않다. 이곳은 사이트마다 개별 편의시설이 제공된다. 펜션으로 운영되던 시설을 사이트마다 서비스 시설로 제공하는데, 침대를 제외한 주방시설과 화장실, 샤워실, 식기 세트, 요리 도구들이 다 갖춰져 있다. 캠핑장에서 구곡폭포까지는 걸어서 10여 분. 봄과 여름엔 시원한 계곡을 즐길 수 있고 가을에는 단풍과 겨울철엔 빙벽의 장관을 볼 수 있는 캠핑장으로 춘천시에서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