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Km 2024-12-26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중앙길 24
043-853-3903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에 있는 중앙관은 다양한 중국요리를 맛볼 수 있다. 싱싱한 전복이 들어간 해산물 짬뽕이 특히 유명한 곳이다. 특히 능이전복 짬뽕은 얼큰하면서도 깊고 시원한 맛이 느껴져 어른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6.8Km 2025-03-31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장천윗말1길 173
봉학사는 충청북도 충주시 장미산 자락에 자리한 한국불교 태고종 사찰이다. 봉학사는 1895년에 비구니 임광제가 봉루암을 창건한 이후 근대에 중창된 산사이다. 1921년에 임광제가 입적하자 제천 백운사 주지인 윤인선이 이곳으로 와 상주하면서 가람을 정비하여 향화를 이어갔는데, 1955년에 불교 분쟁으로 봉학사를 비구승이 접수하면서 이후 비구승에 의해 관리되었다. 하지만 열악한 환경으로 절 운영이 어려워지자, 3년 후 다시 윤인선이 주석하며 사찰을 꾸려갔으며, 이후 충주 토박이 승려 배해월, 배용운, 배영환이 절을 운영하면서 사찰을 정비하였다. 1974년에는 명담 오길수가 인수하여 장연사(檣蓮寺)로 개칭하고 법당과 요사, 그리고 종각을 개축하여 현재의 사찰 모습을 갖추었다. 1986년에는 선혜 이도현이 절까지의 진입 도로를 마련하였으며, 전화도 가설하여 절로의 진입이 용이해졌다.
7.1Km 2025-01-03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솔고개로 750
센테리움CC는 충북 충주시 노은면에 자리 잡고 있다. 2008년 6월 개장한 이곳은 최고급 양잔디를 심어 사시사철 골프를 즐길 수 있다. 코스 전장은 10,594 yard로 국제 대회를 개최하여도 전혀 부족함이 없으며, 천혜의 자연환경을 그대로 살릴 수 있도록 지형의 특성을 찾아내고, 자연의 기운을 느끼며 플레이할 수 있도록 코스의 디자인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코스마다 즐거움과 긴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밸런스와 난이도를 조절하여 설계되었으며, 다채로운 공략법으로 샷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전적이며 전략적인 골프 코스로 조성하였다.
7.2Km 2025-04-10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지당리 241
충주시 복성저수지 인근에 있는 열린캠핑장은 관광사업자로 등록된 캠핑장으로 오토캠핑장이다. 이곳은 넓은 평지에 사이트를 마련해 놓고 있으며 바닥이 거의 파쇄석으로 되어있어 물 빠짐이 좋고 텐트를 치기에 적합하게 꾸며져 있다. 관리동 안으로 들어가면 실내 놀이터, 개수대, 매점, 화장실, 샤워장이 있고 모두 깨끗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실외 개수대도 편리하게 쓸 수 있다. 여름철에는 야외 수영장도 운영하여 아이들이 맘껏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야외에도 놀이터가 있어 아이들이 즐겁게 놀 수 있다. 캠핑 사이트가 A구간부터 D구간까지 있으며, 지정된 자리가 아니라 오는 순서대로 원하는 곳에 자리를 배정받을 수 있다. 사이트 간 간격이 넓어 프라이빗하고 넓게 캠핑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이 놀 수 있는 놀이방을 단순한 놀이방이 아닌 키즈카페처럼 놀이 기구를 마련해 두어 아이들이 실내에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놀 수 있는 곳이다. 예약은 전화 또는 문자로 받고 있다. 통해 입구부터 캠핑장 내 도로는 포장되어 있지 않고 파쇄석이 대부분이라 운전에 신경 써야 한다. 시내에서 멀지 않아 주말 가족과 함께 바비큐와 불멍을 즐기기 좋은 곳이다.
7.2Km 2025-03-06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장천리
충주시의 남한강 인근 장미산의 능선을 따라 쌓은 둘레 삼국시대 산성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에 산성이 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1992년 조사 결과 성 안에서 발견된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들을 통해 백제, 고구려, 신라가 치열한 영토분쟁을 벌인 지역이라고 볼 수 있다. 봉학사 지역 일부를 빼고는 성벽이 원래 모습대로 남아 있다. 성벽은 돌을 다듬어 직사각형으로 쌓았다. 북쪽 정상 부분의 성벽을 따라 나 있는 좁고 긴 군사용 참호는 주변 성벽의 재료를 이용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 장미산성 위에서는 남한강 물줄기가 한눈에 들어온다. 근처에 중원고구려비와 누암리 고분군 등 충주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알 수 있는 흔적들이 많이 남아있다.
7.2Km 2023-08-11
국토의 한복판에 위치한 충주, 예로부터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잦은 통로 역할을 하다 보니 다양한 시대를 아우르는 풍부한 문화유적들이 천년이 지난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수많은 이야기보따리를 전해준다. 바람을 가르며 물 위로 날아갈 듯 미끄러지듯 충주호를 달려보자.
7.2Km 2024-06-10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묘곡내동길 100
충주 고구려천문과학관은 2008년에 문을 연 곳으로, 근처에 충주 고구려비가 있어서 고구려의 기상을 이어받자는 의미로 충주 고구려 천문과학관이 되었다. 1층에는 전시실, 시청각실, 천체투영실이 있고, 2층에는 주 관측실과 보조 관측실이 위치한다. 주 관측실에는 지름 600㎜의 고성능 대구경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고 1층 전시실은 별자리와 천문에 관한 고대인들의 우주관과 우리나라의 고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가 전시되어 있다. 시청각실에서는 다큐멘터리 상영, 특별 전시, 천문 강연 등이 진행된다. 천체투영실은 천장이 반구형의 영사막으로 되어 있어 프로젝트 빔을 이용하여 천체 및 별자리를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2층 주 관측실은 돔형 천장 구조로 되어 있으며, 천정이 좌우로 개방되면 그 틈으로 망원경을 통하여 낮에는 태양의 홍염을, 밤에는 별, 행성, 달, 성운, 성단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설 프로그램인 천체관측 프로그램과 과학특강, 별자리 여행과 같은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우주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7.2Km 2023-08-08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후 세운 기념비로 추정되어지는 충주 고구려비. 국내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구려 석비인 충주 고구려비가 있는 충주로 떠나는 역사 여행 코스. 고구려의 역사 뿐만 아니라 별, 행성, 성운 등을 관측할 수 있는 천문과학관까지 함께할 수 있는 여행 코스이다.
7.2Km 2024-06-19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지당리
충주시 앙성면에 있는 원불사 경내에 봉안된 석불 입상이다. 마을 앞 과수원 근처의 민가 같은 곳에 모셔두었다. 원래의 위치는 확실치 않지만 마을에 불당, 미륵당, 산제당 등 3당이 있어 삼당리라 부르는 것으로 보아 근처의 절터에서 옮겨온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머리에 비나 눈, 먼지 따위를 막아주는 보개를 쓰고 있었으나 보개는 불상에서 분리해놓은 상태이다. 머리는 소발에 육계는 표현되지 않았으며 얼굴은 풍만상이다. 입술은 두꺼우며 눈은 마멸이 심해 잘 알 수 없으나 일직선으로 보인다. 양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하여 밑으로 내렸는데 왼손은 약지와 소지를 구부리고 있다. 목 부분은 보수되었는데 삼도가 확인되며 배면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다. 조선 시대에 조성된 불상으로는 보기 드물게 2m가 넘는 대형의 석불로, 정형적인 모습에서 퇴보하거나 형식화되어 자비와 엄숙함보다는 다소 친근함을 느끼게 하는 모습으로 당시 지방 불상 양식의 일면을 알아볼 수 있는 석불이다. 조각 수법은 전체적으로 서툴고 정교하지 않다. 마을에서는 예로부터 이 불상에 기도하면 아들을 낳는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7.3Km 2025-03-11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장천리
* 두 가지 전설이 전해지는 아름다운 솔밭, 목계솔밭 * 충주시 가금면 장천리 ‘저우네’ 마을 아래편으로 솔 무더기가 있는 곳이 옛 명칭으로 목계나루의 목계솔밭이다. 이곳은 남한강변으로서 제천~장호원 간 국도 38호선이 지나고 있는 곳에 위치해 있다. 목계솔밭에는 100~200년생 소나무가 80여 그루 자라고 있으며 여름철에 휴가를 즐기는 사람들의 쉼터가 되고 있다. 이 목계솔밭은 소나무로만 이루어진 3,800여 평 숲으로 충주시에서 보호수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 목계솔밭에 얽힌 두 가지 전설 * 목계나루 솔밭에는 2가지의 전설이 있다. 그중 하나는 목계나루는 이조 때 내륙 수운로로 성황을 이루었다. 그런데 목계나루는 매년 큰 화재가 나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화재를 극복하기 위해 고민하던 중 한 풍수지리 하는 분이 이곳을 찾아왔다가 불의 기운이 승한 줄 알고 막을 비책을 알려주었다. 그 방법은 물길을 돌리는 것으로 동네 사람들은 강 가운데에 흙을 퍼다가 산을 만들었다. 반년이 넘어 강물을 목계 쪽으로 돌리게 됐고 그 산에는 소나무를 많이 심어 놓았다. 이것이 오늘날의 목계솔 무더기인 것이다. 또 하나의 전설은 옛날 목계를 비롯한 이 지방에 가뭄이 심해서 기우제를 여러 번 지냈으나 아무 효과가 없었다고 한다. 그러던 중 꿈에 한 노인이 현몽하여 “저우내에 용이 머물 수 있도록 솔밭을 가꾸도록 하라.”는 촌장에게 말했다. 송림을 만들어 놓으면 이곳에 가뭄을 타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의 꿈이었다. 그래서 두 마을에서는 마을과 강의 중간 지점에 소나무를 심었다. 그러자 그 순간부터 비가 내려 해갈이 되었다. 이러한 효험을 맛본 두 마을에서는 서로 솔밭을 관리하려고 하였다. 저우내에서는 자기 마을 땅에 있는 것이니 자기네가 관리를 해야 한다고 하고, 목계마을에서는 비록 저우내 땅이지만 자기들이 소나무를 심었으니 자기네가 관리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결국 두 마을에서 서로 실력행사를 하다가 저우내 사람들이 패하고 관리권은 목계 사람들의 손으로 넘어갔다. 그로부터 목계 마을 사람들 손에 의해서 가꾸어지는 솔밭이라 하여 ‘목계 솔밭’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