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매산 모산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황매산 모산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황매산 모산재

11.8 Km    7420     2023-11-07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로 607

모산재는 잣골듬이라고도 부르고, 신령스러운 바위산이란 뜻의 영암산으로 부르기도 한다. 산이나 봉이 아닌 [높은 산의 고개]라는 뜻의 재라는 것이 특이하다. 산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바윗덩어리로 보이는 모산재는 한폭의 한국화를 연상하게 한다. 각양각색의 형태를 한 바위들과 그 바위틈에서 살아가는 소나무의 모습이 화폭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하다. 황매정사, 쇠사다리, 돛대바위, 무지개 터, 황매산성, 순결바위, 국사당을 잇는 산행 코스가 유명하며, 주 능선 부분은 풍화작용으로 넓은 평지를 이루고 숲이 우거져 있으며, 정상에는 한국 제일의 명당자리로 알려진 무지개 터와 바위 끝부분이 갈라진 커다란 순결바위가 있다. 순결바위는 평소 생활이 깨끗하지 못한 사람이 이 바위의 틈에 들어가면 빠져나오지 못한다는 설이 전해진다. 모산이라는 말은 띠의 산을 의미한다. 농가에서 옛날부터 도롱이 등의 물건을 만들 때 사용한 띠는 풀 중에 가장 순결한 풀이라고 전해진다. 모산재는 순결한 산을 의미하며 정상 부근에 순결바위가 있음이 우연이 아니다. 매년 5월 황매산 철쭉제가 개최되고 있다.

합천수피아캠핑

합천수피아캠핑

11.8 Km    2     2023-02-02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합천호반로 954

합천 수피아캠핑장은 방갈로와 오토캠핑장이 함께 운영되고 있는 캠핑장이다. 사이트가 계단형식으로 되어 있어 독립적인 공간이 보장되어 이웃과의 프라이버시가 지켜지는 캠핑장이다. 사이트가 넓어 타프와 돔 텐트를 치고도 남을 정도로 여유가 있어 아이와 놀이를 즐기기 좋다. 캠핑장은 조용하고 아기자기하다. 미니 매점과 미니 도서관, 미니 커피숍 등 공간 활용을 잘한 캠핑장이다. 사장님이 내려주시는 커피는 공짜로 마실 수 있다. 단 여름에는 얼음값을 내야한다. 여름에는 어린이들을 위한 미니수영장도 있어 더위를 날려 보내기에 문제없다. 캠핑장 한쪽으로는 해먹장이 설치가 되어 있어, 어린이들은 해먹 위에 누워 독서를 하며, 부모들은 달콤한 단잠의 유혹에 빠져들기도 한다. 미니수영장이 성에 차지 않을 경우, 캠핑장에서 15분 정도 떨어진 곳에 물놀이시설이 있는 물놀이터가 있다. 워터파크에 온 것처럼 잘 꾸며져 있어 한 번쯤 가보길 추천한다.

평천서원

11.9 Km    2207     2023-11-06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왕산로 439-13

생초면 평촌마을 인근에 자리 잡고 있는 평천서원은 1694년(숙종 20)에 처음 창건하였고, 배현경, 배신침, 배세겸 등을 배향하고 있다. 창건된 후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서원 일대가 1990년대에 고속도로 교착지로 편입하게 되어, 생지봉 임당선생묘소 산록으로 옮겨 세우고 평천서원으로 복원하였다. 평천서원 기문에 의하면 본 서원은1788년(정조 12)에 열읍 사림의 공의로 산음현 서모음에 배신침과 배세겸 양 부자를 봉향하기 위하여 창건하였으며, 1819년(순조 19)에 배현경을 추향하였다고 하였다.

대포리민씨고가

대포리민씨고가

12.0 Km    0     2023-10-04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명지대포로236번길 7

대포리 민씨고가는 경남 산청군 생초면 대포리에 자리 잡고 있다. 조선 말기에 지은 것으로 추정하며, 1986년 경상남도 지정문화재 163호로 지정되었다. 한 칸으로 구성된 가옥의 첫 대문을 지나면 보이는 대문채가 인상적이다. 'ㄱ'자로 꺾인 부분이 맞배지붕으로 구성되며 대청이 만들어져 있어서 사랑채 용도로 사용되지 않았을까 추측된다. 안채는 앞면 4칸, 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며 'ㄱ'자형 평면을 갖추었다. 곳간채는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다. 대문채는 앞면 6칸, 옆면 1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생초면 대포마을

생초면 대포마을

12.1 Km    23930     2023-03-30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명지대포로236번길 167-6

대포마을은 2006년 농림부지정 녹색농촌체험마을 및 농협중앙회 농촌체험마을 선정이 된 마을로, 경호강변을 끼고 완만한 구릉에 들어선 50여채 안팎의 정갈하고 단아한 자연마을이다. 쌀, 마늘, 양파를 친환경으로 농사짓는 이 조용한 곳을 산책하다 보면 고려 공양왕때 예의판서를 지냈으나, 조선의 개국으로 초야에 은둔한 민안부의 절의를 기리기 위해 세운 대포서원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고옥 십여채를 만날 수 있다.천연환경의 자원을 활용하여 승마체험, 고구마수확 등 농사체험, 약초한과체험 등 여러가지 체험프로그램이 있어, 마을을 찾는 분들이 지루하지 않는 농촌여가를 즐길 수 있는 웰빙공간이며, 더불어 마을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활용한 약초한과라는 믿을 수 있는 농심의 정과 더불어 건강까지 지킬 수 있는 미래추구형 농촌마을이다.

우명리 정씨고가(효리댁)[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우명리 정씨고가(효리댁)[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2.1 Km    5706     2023-04-13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효리길 6
070-4257-4110

경상남도 함양군 우명리에 위치한 정씨고가(효리댁)는 예부터 학자를 많이 배출한 고택으로, 경상남도문화재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사랑채와 여인들만 묵던 안사랑채 공간을 구분해 남녀가 사는 공간을 나누었고, 학자들이 모여 공부하는 별채를 따로 두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들러 역사와 전통, 여유를 느낄 수 있도록 2013년에 개방하였다. 텃밭에서 채소를 수확하고, ‘선비체험’도 할 수 있다.

거창 무릉리 정씨고가

12.2 Km    16122     2023-12-19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무릉3길 19-16

거창 무릉리 정씨고가는 장예원판결사 정응두의 현손이자 장사랑을 지낸 산수정 정형초가 건립한 것으로, 현재의 건물은 1924년에 중수한 것이다. 건물구성은 안채, 사랑채, 대문채 등으로 되어 있고, 안 사랑채는 헐리고 일부 변경된 구조로 남아있다. 건물 배치는 경사지에 기단을 높게 축조하여 대지의 안쪽 높은 곳에 안채, 바깥쪽 낮은 곳에 사랑채를 배치하였다. 안채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ㄷ자형’ 평면의 3량 구조 맞배지붕의 홑처마이며, 정면 4칸, 측면 2칸의 ‘一자형’ 평면에 양 끝 협칸을 앞으로 돌출시켜 ‘ㄷ자형’ 평면을 만들고 있다. 사랑채는 익공계 3량 구조로 ‘ㄱ자형’ 평면에 정면은 팔작지붕이고, 측면은 맞배지붕으로 처리하였다. 앞으로 돌출된 대청은 누마루 형식으로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부는 대청의 외부에 마루를 두르고 계자난간을 설치하였다. 사랑채는 건물 주인의 호를 따라 산수정이라 명칭 했으며, 약간의 변형이 있긴 하지만 18세기 건축 수법을 잘 유지하고 있다. 대문은 정면 3칸의 맞배지붕 솟을대문으로, 대문의 좌우에 방과 광을 1칸씩 두었다. 건물은 높은 계단을 통해 올라가야 하는데, 언제나 아래에서 위를 올려다보게 하여서 사대부 가문의 권위적 위압감을 충분히 나타내고 있다. 현재 후손이 기거하면서 관리, 보존하고 있다.

우명리정씨고가(효리댁)(우명리 정씨고가)

12.3 Km    1     2020-03-25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효리길 6
010-5356-4116

‘소가 우는 마을’이라는 뜻을 지닌 우명리는 풍수지리학상으로 보면 소가 편안하게 누워 반추하고 있는 모습의 지세라고 하는데, 농사를 지었던 옛날 사람들에게 소는 풍만과 평화의 상징이었다. 그렇기에 예부터 땅이 비옥하고 풍요롭기로 마을 안에서도 소의 젖줄 역할을 하는 학자의 집이 바로 우명리 정씨 고가다.

구천서원(함양)

12.3 Km    1670     2023-11-22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효리길 30-17

구천서원은 조선 전기 학자들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함양 지역 유림이 뜻을 모아 1701년에 창건하였다. 박맹지(?~1492), 양관(1437~1507) 등 위패를 모시고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지만, 후손들이 제와 비를 세우고 조선시대에 유교적 제사 의식에서 제기에 술을 담아 신위 앞에 올리는 절차인 작헌례를 행한다. 구천서원 건물은 1984년에 복원된 것이며, 입구의 홍살문을 지나 소로를 따라 수십 미터 들어가면 구천서원이 자리 잡고 있다. 솟을대문 양식으로 된 정문(청순문)을 지나 경내로 들어서면, 강당 건물(정면 5칸, 팔작지붕)이 있다. 구천서원 내에는 1919년에 세운 여섯 선생의 기록과 관련된 「구천서원 유허비」가 있으며, 강당 뒤편으로 위패를 모신 사당이 자리 잡고 있다.

대포서원

12.3 Km    2361     2024-01-26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명지대포로236번길 183

고려의 충신인 민안부의 절의를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대포서원은 1693년(숙종 19)에 유림들이 세웠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 그 뒤 1874년(고종 11) 유림과 후손들이 숭절사, 숭의재, 동재 · 서재 등을 고쳐 세웠다. 민안부는 고려 공양왕(재위 1389∼1392) 때 예의판서를 지냈으나, 조선의 개국으로 72현과 함께 두문동에 들어갔다. 후에 산음현의 대포리로 내려와 은둔하여 살며 고려에 대한 충성과 의리를 지켰다. 대포서원 인근에는 경호강이 흐르고 있으며, 한의학의 고장 산청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산청 동의보감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