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내촌호수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진주 내촌호수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진주 내촌호수마을

진주 내촌호수마을

14.9 Km    24492     2024-05-29

경상남도 진주시 대평면 금성로 422-33

내촌호수마을은 대평면 내촌리의 진양호반에 자리한 마을이다. 내촌리는 진양호가 수몰되기 전에는 안말, 마당재, 족정, 들터 등의 마을로 구성된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었다. 하지만 남강댐이 들어서면서 인공 호수인 진양호에 수몰되고 새로이 마을이 조성되었다. 내촌호수마을은 체험 마을로 제일 먼저 손님을 맞이하는 곳은 웰컴센터다. 2층으로 이루어진 펜션형 숙소로, 통나무집이 포근한 잠자리를 제공해 준다. 옆에는 강원도에서나 볼 수 있는 너와집 지붕 형태의 정자도 보인다. 웰컴센터 앞쪽에는 넓은 운동장이 자리하고 있고, 족구장을 비롯해, 야외무대와 다양한 운동 기구가 들어서 있어 체육 활동과 공연을 할 수 있다. 마을 주변으로 산책로와 등산로, 송림산림욕장, 자전거도로 등을 갖추고 있어 진양호 주변을 산책하거나, 자전거 하이킹을 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고, 운동장의 운동 기구 앞쪽으로 이어진 지압보도를 맨발로 걸으면 건강에 좋다. 진양호 주변의 들판에 수많은 코스모스가 심어져 있어, 코스모스가 만개할 무렵에는 코스모스 축제가 열린다.

의령구름다리

의령구름다리

14.9 Km    4     2023-09-27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 644-1

의령천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05년 준공된 의령 구름다리는 총 길이 258m, 주탑 높이는 48m에 달한다. 구조물의 붉은색은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장이자 의령 출신인 곽재우 장군이 여러 전투에서 입었다고 전하는 홍의를 모티프로 했다. 이 외에도 전통복식의 고유 색깔들을 차용해 의령천 주변의 빼어난 경치와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주탑의 18개 흰색 고리는 곽재우 장군과 17 장령을 상징하는 충익사 의병탑을 형상화했다. 또 주탑과 보행로를 따라 400여 개의 LED 조명을 설치해 밤에는 화려한 야경을 뽐낸다. 구름다리 인근에는 수변공원과 인공폭포, 산책로 등이 조성돼 있다. 특히 산책로는 남산 둘레길과 읍내를 연결해 주민들이 즐겨 걷는 코스다.

해드니전골

해드니전골

14.9 Km    0     2024-03-27

경상남도 의령군 홍의로 194 운암사

의령 하면 망개떡, 소바, 국밥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하지만 해드니 전골을 방문하고 나면 앞으로 소고기전골을 추가하고 싶어질 것 같다. 1++등급 국내산 한우를 사용한 맑은 전골은 하얀 국물 베이스고, 영양 전골은 고춧가루가 들어간 붉은 국물 베이스다. 해드니 전골에서는 푸짐한 버섯이랑 야채, 당면이 전골냄비 가득 나온다. 면을 좋아하는 사람은 전골을 반쯤 먹다 사리를 추가해도 좋다. 마지막으로는 뭐니 뭐니 해도 볶음밥이다. 남은 나물 반찬을 같이 넣어서 볶으면 꿀맛이 따로 없다. 아이들도 좋아하는 음식이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재건냉면

재건냉면

15.0 Km    19450     2023-05-12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동성길 28
055-852-2132, 0723

재건냉면의 독특하고도 토속적인 맛의 비밀은 면에 있는데 손님이 주문하면 즉석에서 뽑아내어 면발이 쫄깃쫄깃할뿐 아니라 자르르 윤기마저 흐른다. 육수도 한우의 뼈를 한 솥 가득 넣고 만 하루동안 푹 끓인 후 장으로 간을 맞춘다. 쫄깃한 면발에 육수를 부어 삼십여가지의 갖은 양념이 제맛을 내게 되는데 쇠고기살을 얇게 썰어 계란을 묻혀 육전이 푸짐하게 들어가면서 냉면의 맛을 더해준다. 메뉴로는 물냉면, 비빔냉면, 수육, 육전 등이 있다.

의령 홍의장군 축제

의령 홍의장군 축제

15.1 Km    8118     2024-04-01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8길 44
055-573-1100

의병은 외세의 침입으로 나라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백성들이 스스로 군대를 조직해 오로지 구국의 일념으로 국난을 극복해낸 나라사랑의 상징이며, 홍의장군축제는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전국에서 최초로 의병을 일으킨 망우당 곽재우 장군과 17장령, 그 밖의 수많은 의병을 추모하고 그 정신을 이어받기 위해 매년 의병창의일인 4월 22일을 전후하여 개최하는 전국 초대 규모의 의병축제이다.

사천읍성

15.1 Km    18809     2023-10-27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수양공원길 51

사천읍성은 돌과 흙으로 쌓은 성곽으로, 약 1.5㎞의 둘레 중 현재는 3개소 약 300m의 성곽만 남아있다. 1442년(세종 24)에 병조참판 신인손이 왕명을 받아 축조한 읍성이라고 전해지며, 《문종실록》에 의하면 둘레 3,015척, 성벽의 높이 10.5∼11.5척, 성문과 옹성이 각 3곳이라 되어있고, 임금이 백성을 보호하고 왜구를 방어하기 위하여 쌓았다고 한다. 1598년(선조 32) 병마절도사 정기룡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과 명나라 원군이 연합하여 이 성을 탈환하기 위해 혈전을 벌여 왜적을 몰아냈으며, 인근에는 당시 전사한 조선과 명나라 병사가 묻혀 있는 사천 조명군총(경상남도 기념물)이 보존되어 있다. 사천읍성에는 충혼탑, 수양루, 활을 쏘는 관덕정이 있는 산성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시민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수양공원 (구 산성공원)

수양공원 (구 산성공원)

15.1 Km    23457     2023-07-05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수양공원길 51

사천시는 1995년 5월 사천군과 삼천포시가 통합되어 탄생했으며 시내 중심부에 남해 바다인 사천만이 깊숙이 밀고 들어와 시내가 크게 둘로 나뉜다. 이처럼 사천시는 해안평야 지대인 만큼 청동기 시대의 유적,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고인돌이 많다. 산성공원은 조선 세종 27년(1445)에 축성된 산성 일대에 마련한 공원으로 사천시민의 휴식공간 역할을 하고 있다. 공원의 규모는 29,752㎡로 큰 느티나무와 소나무 등의 혼합림이 우거져있으며 사시사철 새소리가 그치지 않는다. 또한, 공원 내의 유서 깊은 수양루는 옛 사천 군청 앞 대로에 있었던 것을 이전한 것으로 무더운 여름에도 누상에서는 시원함을 느낀다.

사천의 과거와 현재를 보다

사천의 과거와 현재를 보다

15.1 Km    75     2023-08-08

이 성은 세종 24년(1442)에 병조참판 신인손이 왕명에 의해 쌓았다고 전해지며, 처음의 기록에는 성 둘레 3,105척, 성벽의 높이 10.5∼11.5척, 성문과 옹성이 각 3곳이라 되어있고, 그 후의 기록에는 성둘레 5,015척, 성벽의 높이 15척, 성문과 옹성이 각 3곳이라 되어있어 후에 증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15.1 Km    25342     2024-06-17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유수길75번길

진주 유수리의 백악기 화석산지는 진주 남강의 한 물줄기인 가화천 강바닥에 형성되어 있으며, 남강댐의 방수로로 사용되는 강바닥이다. 약 1억 년 전 물과 바람 등에 의해 돌이 쌓이면서 넓이 150m, 길이 2㎞로 만들어진 화석 산지에서 지골 화석과 발가락뼈, 좌골 화석 등 100여 점에 달하는 공룡 뼈가 발견되었다. 오래된 토양층이나 나무 그루터기 화석, 화석 숯, 각종 과거 생물의 생활흔적화석 등 다양한 화석들도 발견되었다. 유수리 가화천 일원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신동층군 하산동층의 상부에 해당하는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퇴적층이 하상을 따라 대규모로 노출되어 있어 퇴적환경을 연구하고,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들이 발달하여 있는 자연사 유적지이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밀알영농조합

밀알영농조합

15.2 Km    0     2024-06-20

경상남도 진주시 죽곡길 7

밀알영농조합은 우리밀인 앉은뱅이밀로 요리하고, 먹고, 놀고, 농사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역의 농가와 계약재배를 통해 밀을 생산하고 밀가루, 국수, 빵, 과자 등 다양한 우리밀 식품과 밀키트를 개발하고 판매한다. 체험장은 고소한 냄새를 맡고, 부드러운 밀가루를 만지고 뒹굴며 놀 수 있는 가루방과 통밀방으로 나뉘어져 있다. 밀 수확시기인 6월이면 밀 축제가 펼쳐진다. 수확과 타작을 직접 해보고 이제는 사라지고 없는 추억의 밀서리도 체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