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청와대세트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합천청와대세트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합천청와대세트장

합천청와대세트장

8.1 Km    3     2023-01-18

경상남도 합천군 용주면 합천호수로 757

청와대 세트장은 1992년 발간된 청와대 건설지의 내용과 사진을 발췌하여, 실물과 최대한 유사한 형태로 건립하였다. 실제 면적의 68%로 축소 건축하였으며 청와대를 배경으로 한 각종 드라마와 영화 촬영, 회의실, 체험 전시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청와대 세트장은 합천영상테마파크와 이웃해 있어,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시설 중 하나이다. 합천영상테마파크에서부터 청와대 세트장까지 연결된 모노레일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중간중간 멧돼지 동물 조형물이 눈에 띄어 아이들과 함께 둘러보기에도 좋다. 영화와 드라마를 즐기는 이들에게는 색다른 경험을 선사해 줄 것이다.

핫들생태공원

핫들생태공원

835.2952057162864m    3     2023-09-26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영창리

핫들생태공원은 합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관리하고 있는 약 6천 평의 작약 재배단지로 황강마실길 3구간에 위치하고 있어 트레킹 하기 좋은 곳이다. 핫들생태공원 주변에는 합천 황강이 흐르고 있으며, 신소양체육공원이 가까이 있어 축구장, 파크골프장, 자전거도로를 이용할 수 있는 시민공원이다. 작약꽃의 꽃말은 수줍음이라고 하며, 작약꽃이 피는 5월에는 푸드트럭을 운영하고 있으며, 쉼터, 주차장 등 편의 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어 꽃구경하기 좋은 명소이다. 합천에는 황매산 철쭉, 합천영상테마파크, 정양늪생태공원 등 다양한 관광지가 있는 곳으로 관광하기 좋은 고장이다.

합천 백암리 석등

합천 백암리 석등

8.4 Km    16605     2023-08-21

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

석등이 세워져 있는 곳은 백암사 또는 대동사 터라고 전하여 오고 있지만 분명하지 않다. 이 석등도 무너져 흩어져 있던 것을 복원한 것으로 원래의 위치는 알 수 없다. 한국 기본형인 8각 석등이며 상륜부는 결실되었고 하대석의 하단부가 매몰되어 그 이하의 지대석은 알 수 없다. 하대석에는 단엽 팔판(八瓣)의 복련(覆蓮: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연꽃)이 둘려졌고 각 판 내에는 중앙에 화사한 꽃무늬가 조식되었으며 정부(頂部)에는 2단의 받침을 조출(彫出) 하여 간석을 받치고 있다. 화사석은 1석으로 되었고 4면에 화창(火窓)이 있으며 창구 둘레에는 창을 부착시켰던 못 구멍이 남아 있다. 여덟 장의 잎이 달린 연꽃을 조각한 둥근 아래 받침돌 위에 아무런 새김이 없는 8각의 긴 가운데 기둥을 세워 신라 석등의 경쾌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 위로 꽃봉오리 같은 위 받침돌은 안에 얕은 홈을 파서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화사석은 8각으로, 4면은 창을 내고 4면은 사천왕 입상 (四天王像)을 매우 뛰어난 수법으로 도드라지게 새겼다. 화사석은 불을 밝혀두던 공간으로 불빛이 있던 옛 모습을 떠올리면 흥미롭다. 지붕돌은 밑면에 1단의 받침이 있으며, 그 안쪽으로는 홈을 파서 화사석을 끼워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지붕돌의 경사면은 얇지만 뚜렷하게 각을 지어 신라시대의 전형을 이루고 있다. 귀퉁이에는 꽃 조각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깨어져 그 흔적만 남아있다. 꼭대기에는 8잎의 연꽃 문양 조각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아래 받침돌과 위 받침돌을 화사하게 장식하였고, 특히 화사석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과 사천왕상의 배치 등은 주목되는 수법이다.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 중기인 8세기 후반의 우수한 석등이라 할 수 있다. [문화재 정보] 시대 : 통일신라 크기 : 높이 2.53m 간석 높이 111.8cm 화사석 높이 61.5m 종류 : 석등

적사부

84.44620123458347m    0     2023-10-19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동서로 74

경남 합천시 합천읍에 위치한 적사부는 중화요리 4대 문파의 적림길 셰프가 운영하는 중화 음식점이다. 적림길 셰프는 약 40여 년의 중화요리 경력으로 자신만의 노하우를 살린 광동&사천요리가 특기이다. 간짜장, 탕수육, 사천가지새우 등이 유명하지만 적사부의 대표 메뉴는 쇠고기탕면이다. 재료가 소진될 시 조기 마감하므로 사전에 영업 여부를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좋다.

합천짬뽕

합천짬뽕

866.0878029402808m    2     2022-10-25

경상남도 합천군 문화로 13

합천짬뽕은 주문과 동시에 요리를 시작하는 즉석요리 전문점이다. 면은 일반 면이 아닌 시금치면이며 그것이 이 집의 특색이다. 왕후차돌짬뽕에는 전복과 해물, 차돌박이가 들어가 고급스러워 보이는 비주얼이 인상적이다. 마산에서 싱싱한 해물을 공수한다. 그래서 합천 짬뽕에 들어 있는 해물들은 모두 싱싱하다. 양파랑 다른 채소도 직접 기르거나 근처 농가에서 생산된 걸 사다 쓰고 고춧가루는 아예 계약 재배를 해서 사용한다. 재료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고 주차는 가게 앞 주차공간이 좁아 길가에 주차해야 한다. 일해공원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개금불 어뮤니티

개금불 어뮤니티

8.7 Km    0     2023-09-26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봉곡1길 24-11

개금불 어뮤니티 캠핑장은 3,300여 m²의 넓은 공간에 단 12개의 사이트를 구성해 놓은 캠핑장이다. 그런 만큼 소수 정예 캠퍼들만 이용하여 조용하고 한적한 캠핑을 즐길 수 있다. 텐트 안에서 가만히 눈을 감고 귀를 기울이면, 시원하게 흐르는 개울 물소리, 풀벌레 소리, 바람에 나뭇잎이 스치는 소리, 멀리서 들려오는 풍경소리까지 은은하게 퍼지며 힐링이 되는 캠핑장이다. 또한 이곳은 조경이 아름답다. 잘 정돈된 나무와 넓고 푸른 잔디밭, 아름다운 연못이 어우러져 그림 같은 풍경을 이루고 있다. A 사이트는 넓은 데크와 전망이 좋아 캠퍼들이 선호하고 있으며 B 사이트는 편의시설이 가깝다는 이점이 있다. 두 개 사이트 모두 전망이 좋으며 드넓은 잔디밭에서 마음껏 소리치며 뒹굴고 넘어져도 눈치 볼 필요가 없는 프라이빗 한 캠핑장이다.

일해공원

일해공원

873.0649727058167m    1     2023-12-18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문화로 34

일해공원은 2004년 8월 준공되어 잠정 명칭으로 새천년 생명의 숲이라는 이름으로 개원한 뒤, 2007년 1월부터 일해공원이라는 명칭을 확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해는 전두환의 아호로 대통령 임기 때도 일해재단을 통해서 일해라는 명칭을 사용해 왔으며, 합천군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업적을 기리고 대외적으로 합천을 알리려는 뜻에서 일해공원으로 명명하였다. 일해공원은 경상남도 도비 20억 원을 포함, 총 68억 원이 건립에 투입되었으며, 황강 주변 5만 3724㎡ 부지에 준공된 공원으로, 산책로, 3·1운동 기념탑, 야외공연장, 인라인스케이트장, 잔디광장, 인조잔디구장, 게이트볼장 등이 갖추어진 공원이다. 일해공원에는 합천군민 대종기념비와 대종이 설치되어 있으며, 매년 1월 1일 타종행사가 열리는 곳이며, 잘 갖추어진 산책로와 정원은 나들이하기에 좋은 공원이다.

3.3국밥전문점

3.3국밥전문점

901.055806784512m    2     2022-11-28

경상남도 합천군 문화로 7 3.3숯불가든

합천 군민체육관 맞은편에 있는 3.3국밥전문점이다. 3.3국밥집의 국밥의 경우, 가마솥으로 끓여 낸 국물이라는 사실을 간판 및 입구에서도 알 수 있다. 합천군의 대표 먹거리로 떠오르는 돼지국밥을 비롯해 내장국밥, 순대국밥, 모듬국밥, 육개장 등 다양한 국밥을 만나볼 수 있다. 반찬은 김치, 부추, 쌈장에 버무린 양파와 고추가 나오고 김치는 무와 열무가 들어가 시원한 열무김치 느낌이다. 식당도 깔끔하고 고기에 잡내도 없고 국물도 깔끔하다. 합천 33국밥전문점이 인기가 많은 이유는 국밥도 맛있지만 비빔수육국수 때문이기도 하다. 가게 앞에 주차 공간이 별도로 있어 편하게 주차를 할 수 있다. 일해공원, 대야성, 정양레포츠공원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초계향교

9.1 Km    1564     2024-02-02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교촌3길 18-4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 지내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공립 교육기관이다. 1628년(인조 6)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봉안 및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843년(헌종 9) 현감 김선영이 중수하였으며, 그 밖의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 각 4칸의 동무와 서무, 내삼문, 7칸의 명륜당, 5칸의 풍화루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 10철, 송조 6현의 위패를, 동무·서무에는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함벽루

937.3148281128313m    18196     2024-05-30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죽죽길 80

합천8경중 제5경인 함벽루는, 고려 충숙왕 8년(1321년) 합주지주사 김영돈이 창건했으며 안진이 이 사실을 기문으로 적었다. 이 누각은 여러 차례에 걸쳐 중건되어 지금에 이르렀다. 대야성 기슭에 위치하여 황강의 정양호를 바라볼 수 있게 지어져 오래전부터 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풍류를 즐기는 장소로 이용했다. 이황, 조식, 송시열 등과 같은 조선시대 최고 문인들의 글이 누각 내부 현판에 걸려 있으며, 뒤 암벽에는 함벽루라 새긴 송시열의 글씨가 있다. 누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 2층 규모이고 들보 5량으로 조성된 팔작지붕의 목조기와 누각이다. 누각 처마의 물이 황강에 떨어지도록 배치된 점은 특히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