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수페스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안동 수페스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안동 수페스타

안동 수페스타

15.7 Km    1     2024-05-23

경상북도 안동시 공단로 171-10 (정하동)
054-840-3425

한 여름 더위를 날리는 시원한 여름 축제이다. 안동문화예술인들의 신나고 감성적인 공연, 인디언텐트와 해먹&파라솔이 펼쳐진 캠크닉, 시원하게 더위를 날려줄 물놀이와 물총싸움, 불꽃놀이와 함께하는 EDM파티, 플리마켓과 푸드트럭&수제맥주까지 낙동강변에서 즐길 수 있다.

신바다횟집

신바다횟집

15.8 Km    2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중앙시장2길 22
054-841-6463

다양한 활어회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모둠회다.

안동 중앙신시장 (2, 7일)

15.9 Km    82     2024-06-11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602 (옥야동)

안동 중앙신시장은 경북 북부 최대 규모의 전통시장으로 다양한 업종들이 상설 영업을 하고 있으며, 매달 2, 7로 끝나는 날짜에는 5일장이 열린다. 중앙 신시장 앞뒤 출구로 이어지는 골목마다 이른 새벽부터 인근 농민들이 직접 재배한 농작물을 가지고 오거나, 외지에서 온 상인들로 긴 노점이 늘어서 있다. 마늘, 말린 고사리와 각종 채소, 생활 소품과 먹거리 등 계절별로 다채로운 상품들이 가득하다. 중앙 신시장은 바닥 시설 보수와 천정 돔 설치로 현대화된 전통시장이며 채소, 생선, 정육, 생활용품, 음식점은 물론 안동 간고등어와 모주 등 안동 특산물도 취급한다.

영호루

영호루

15.9 Km    19698     2023-07-28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로 187-5

오래전부터 안동의 영호루는 경남 밀양의 영남루(嶺南樓), 진주의 촉석루(矗石樓), 전북 남원의 광한루(廣寒樓)와 함께 한강 이남의 대표적인 누각으로 불려 왔다. 창건에 관한 문헌이 없어, 언제 누구에 의하여 건립되었는지 잘 알 수는 없으나 천여 년 동안 그 이름이 전통의 웅부안동(雄府安東)과 함께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영호루는 철근 콘크리트로 된 한식 누각이다.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의 팔작지붕집으로, 북쪽 면에는 공민왕의 친필 현판을 걸고, 남쪽 면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인 ‘영호루’를 걸었다. 내부에는 갑술년 홍수 때 유실되었다가 회수한 현액들과 새로 복원한 현액들을 게판하였다. 현재 게판 되어 있는 시판은 12점이고, 제영 1점과 현판 2점이 있다.

옥야식당

옥야식당

15.9 Km    5902     2023-03-22

경상북도 안동시 중앙시장길 7
054-853-6953

[경상북도 안동시 옥야동에 있는 선지국밥 전문 옥야식당] 안동 중앙신시장 내에 있는 옥야식당은 선지국밥 전문 식당이다. 모든 재료는 국내산을 사용하며, 메뉴는 단일메뉴인 선지국밥을 제공한다. 수요미식회에도 출연한 바 있는 맛집이다.

시골뚝배기시향설렁탕 안동중앙

시골뚝배기시향설렁탕 안동중앙

15.9 Km    2     2022-02-18

경상북도 안동시 중앙시장길 7
054-853-8489

여러가지 시원한 한국의 국물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갈비탕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예천권씨 병암정 및 별묘

15.9 Km    22622     2023-11-20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성현길 22-39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성현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와 사당이다. 1898년 법부대신 이유인이 한양에서 금당실 마을로 내려와 세운 정자로 원래 이름은 옥소정이다. 1920년 예천 권씨 문중에서 정자를 매입하여 병암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건물의 구조를 살펴보면 앞면 4칸·옆면 2칸 반의 규모이며 겹처마에 팔작지붕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별묘는 1920년에 건립되어 1946년에 옮겨 세워졌다. 앞면 3칸·옆면 1칸 반의 규모이며 겹처마에 맞배지붕을 갖추고 있다. 원래는 인산서원의 사당이었으나 서원이 훼철되자 사당만 이곳으로 이건하여 권맹손, 권오기, 권오복, 권용을 봉사하는 별묘로 사용하고 있다. 병암정은 19세기 후반의 구조 양식과 평면 형식 등을 잘 지니고 있으며, 정자 건축의 기능에 적합한 입지 조건은 물론 바위, 연못, 석가산 등의 전통 조경 요소를 제대로 갖추고 있기 때문에 19세기 조경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인정받아 경상북도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예천의 체험장과 마지막 남은 주막에서 막걸리 한잔을...

예천의 체험장과 마지막 남은 주막에서 막걸리 한잔을...

15.9 Km    3983     2023-08-09

예천의 체험여행은 국제양궁장에서의 양궁체험과 곤충생태원에서 곤충생태관과 역사관을 관람할 수 있고 무엇보다 예천의 마지막 남은 주막에서 막걸리 한잔을 즐길 수 있다. 2006년까지 주모할머니가 살아 운영을 했지만 최근 다시 복원되어 새로운 주모가 식객들을 맞는다고 한다. 옛 시절의 향취를 그대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예천권씨종가별당·예천권씨종택

15.9 Km    20469     2024-06-14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성현길 22-39

예천 권씨 종택은 조선 시대 문인인 초간 권문해(1534∼1591)가 지은 집으로 임진왜란 이전에 지어진 것 중에서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오랜 살림집 중 하나이다. 팔작지붕으로 앞면 4칸, 옆면 2칸의 건물로 안으로는 넓은 대청과 옆으로 온돌방이 두 개로 나누어져 있는 구조다. 특히 안채와 마찬가지로 사랑채 또한 언덕에 기대어 만든 건물이라 앞에서 바라보면 아래에서 받치고 있는 석축의 높이가 상당함을 확인할 수 있고, 대청마루 안에서 밖을 바라보면 마치 전망대처럼 마을을 훤히 내려다볼 수 있다. 내부의 장식을 화려하게 한 것도 이 집의 특징인데 고개를 들어 천장을 바라보면 종보 위로 연잎으로 조각한 받침을 올려 종도리를 받치고 있다. 뒤편 서고에는 앞서 소개한 책들을 비롯해 권씨 집안에서 소장하고 있는 많은 문집들이 보관되어 있다. 예천권씨 초간종택 별당 ‘초간정’은 초간종택의 사랑채를 지칭하는 것이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던 것을 1870년에 새로 고쳐 지은 것으로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고 있는 천혜의 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가 보물로 지정되어 있고 정자와 같이 조성된 송림도 명승지로 지정되었다. 예천권씨종가별당·예천권씨종택은 각각 보물,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될 정도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이 외에 예천 권씨 종가 문적, 수령 500년 넘은 향나무 등 다수의 문화재가 있다.

안동간고등어안동특약점 / 안동특산물직판장

안동간고등어안동특약점 / 안동특산물직판장

16.0 Km    3793     2024-06-17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613

경상북도 안동시 안흥동에 위치한 특산물직판장으로 다양한 안동 특산물을 만날 수 있다. 예부터 안동은 내륙지방으로 생선이 귀하여 장기 보관할 수 있는 염장술이 발달하였고 그 중 안동간고등어는 50년 간잽이 이동삼씨의 전통적인 방법과 현대화된 시설이 어우러져 생산된 상품이다. 이 외 안동지역 특산물인 안동소주와 하회동 탈방 구하 김동표선생이 만든 작품 안동하회탈, 안동참마 등을 판매하는 곳으로 매장에서는 물론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구입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