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사촌리 향나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의성 사촌리 향나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의성 사촌리 향나무

16.0 Km    17816     2024-06-14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만취당길 12

의성 사촌리 향나무는 만취당 앞 골목에 있는 향나무로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의 수관(나무의 가지와 잎이 달려 있는 부분)이 하늘로 날아오르는 모양을 하고 있고 높이는 8m, 줄기둘레는 2.5m이다. 이 나무는 김사원이 후학들을 강학하기 위하여 만취당을 건립할 때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 비록 한 그루의 나무이지만 선조들의 식수관과 자연 애호사상을 본받을 수 있는 현장학습자료의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뜰에 심어온 정원수 식재의 흐름과 향나무 생태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의성 만취당

의성 만취당

16.0 Km    18409     2023-05-04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만취당길 17

*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의성 만취당 *

만취당은 조선시대 퇴계 이황의 제자이며 부호군을 지낸 김사원(金士元) 선생이 선조(宣祖) 15년(1582)부터 3년간에 걸쳐 완성하였으며, 자신의 호를 따서 만취당이라 하였다. 그 후 숙종(肅宗) 32년 (1711)부분적인 보수가 있었고, 영조(英祖)3년(1727)에는 동쪽 방(복제-復齊)을 동왕 40년(1764)에는 서쪽 방을 증축함으로써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전체적인 형태는 'T' 자형이고 우물마루와 온돌방이 꾸며져 있으며, 영주의 부석사 무량수전(국보)과 함께 가장 오래된 사가(私家)의 목조건물로 꼽힌다. 현판의 글씨는 김사원과 동문인 명필가 석봉(石峯) 한호(韓濩)가 썼다.

* 만취당의 구조와 배치 *

만취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이다. 창건 이후 줄곧 김씨 종가의 대청 겸 문중 집회소로 이용하다가 1727년(영조 3) 거실로 사용하기 위해 건물 뒤편 서쪽에 1칸, 동쪽에 2칸의 방을 연결하여 지었다. 평면 형태는 복재와 서소익실이 누각 뒤쪽에 동·서로 붙어 있어 전체적으로 T자형을 이루며, 우물마루와 온돌방이 설치되었다. 누각은 기둥머리에 초익공이 짜여진 5량가구(五樑架構)에 팔작지붕이며, 양쪽 익사(翼舍)는 맞배지붕이다.

안동 사신리 느티나무

안동 사신리 느티나무

16.0 Km    22977     2024-02-02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송두안길 22

안동시 녹전면 사신리에 있는 수령 700년 된 느티나무로 나무 높이는 32m이고, 가슴 높이에서 잰 줄기 둘레는 9.5m이다. 가지 밑의 줄기 높이는 1.9m이고, 가지는 동쪽으로 16.8m, 서쪽으로 15.9m, 남쪽으로 15.9m, 북쪽으로 12.8m 퍼져 있다. 이 느티나무는 마을 한가운데 있는 정자나무로서 마을 사람들에게 녹음을 제공하며 크게 두 개로 갈라져서 자랐으나, 한쪽 큰 가지가 주변 통행을 방해한다고 하여 일제 강점기 때 잘렸다. 그래도 여전히 마을의 수호신처럼 믿고 있으며 정월 보름날에는 온 마을 사람들이 이 나무 밑에 모여서 새해의 행운과 풍작을 비는 제사를 지낸다.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민속적, 생물학적 자료로서 보존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피크닉김밥천국

피크닉김밥천국

1.6 Km    1     2021-03-10

경상북도 안동시 제비원로 249
054-858-2279

다양한 한식을 먹을 수 있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참치김밥이다.

추임새

추임새

16.2 Km    20764     2023-05-17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186-3
054-853-4001~2

추임새는 국악의 고수들이 흥을 넣어주는 단어로서 안동 전통음식점이다.
세계문화유산 답사팀들이 일주일씩 머물렀던 명소, 각계각층의 유명인사들과(방명록 배치) 대학 MT, 연수, 포럼 등 한전 연수원지정 식당으로도 널리 알려진 곳이다.

안동간고등어터줏대감

안동간고등어터줏대감

16.2 Km    1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17
054-823-1500

안동의 대표음식인 안동찜닭을 맛 볼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안동찜닭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하회동탈방

하회동탈방

16.2 Km    10876     2023-12-14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06
054-853-2938

하회동탈박물관은 하회마을에서 전승되어 이어오는 하회별신굿 탈놀이에 사용되는 탈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여러 가지 탈들을 수집 전시하는 곳이다. 하회동탈박물관에서 운영하는 ‘하회동탈방’은 하회탈 전문 제작실로 하회별신굿탈놀이와 강릉관노가면극에서 사용되는 나무탈을 주로 만들고 있다.

하회세계탈박물관

하회세계탈박물관

16.2 Km    23264     2024-01-15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06

하회마을 입구에 위치한 하회세계탈박물관은 1995년도에 개관한 한국 최초의 탈 전문 박물관이다. 하회마을에서 전승되는 하회별신굿탈놀이 탈 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여러가지 탈들을 수집, 전시하고 있다. 상설전시실 5개관과 특별전시실 1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시실 내에는 탈 써보기, 탈 트릭아트, 탈 캐릭터 본뜨기, 포토존, 탈 도장 모으기 등 무료 체험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박물관을 좀 더 즐겁고 풍성하게 즐길 수 있다.

안동 하회촌

안동 하회촌

16.2 Km    55062     2023-11-16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14-6

안동 하회촌은 민속마을권, 부용대권, 병산서원권으로 세 구역을 합한 곳을 이르는 말로 낙동강을 끼고 있는 수백만 평에 이르는 광활한 지역이다. 민속마을권인 하회마을은 지금부터 약 600여 년 전 공조전서였던 류종혜공이 이 마을에 터를 닦은 후 그의 후손들이 대대로 살아오던 마을로 현재는 풍산 류씨가 마을 가구 수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는 전형적인 동성 부락 마을이다. 하회마을 전체가 문화재라 할 정도로 문화유적들이 많이 남아 있다. 낙동강물이 동쪽으로 흐르다가 S자형을 이루면서 여기서 마을을 감싸 돌고 있으며 마을 중심부에는 류씨들의 집인 큰 기와집이 자리 잡고 있으며 원형이 잘 보존된 초가집들이 둘러싸고 있으며 마을 내 영모각, 탈놀이 전수관, 만송정 숲 등이 있다. 부용대권은 안동하회마을의 서북쪽 강 건너 광덕리 소나무 숲 옆에 있는 해발 64m인 절벽 정상에 위치한 부용대 주변을 말한다. 부용대란 중국 고사에서 따온 것으로 부용은 연꽃을 의미하기도 하고, 하회의 북쪽에 있는 언덕이라는 뜻의 북애라고도 불렸다. 부용대에서는 하회마을 전체를 조망할 수 있고 아래로 낙동강이 굽이쳐 흐르는 곳에 옥연정사와 겸암정사, 화천서원이 자리하고 있다. 병산서원권은 하회마을을 중심으로 화산 반대편에 위치한 병산서원 주변을 말한다. 낙동강 건너 병풍 모양의 아름다운 병산을 바라볼 수 있는 2층 누각의 만대루와 광영지, 입교당이 있는 향사의 기능을 갖춘 조선시대 대표적인 사립교육기관이다.

하회 솔밭식당

16.3 Km    0     2024-01-08

경상북도 안동시 전서로 214-6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장터에 위치한 하회 솔밭식당은 하회별신굿 탈놀이 공연장 및 하회마을 도보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관광지 접근성이 좋다. 안동찜닭, 간고등어정식 등 안동 대표음식을 판매하고 있으며, 간고등어정식을 주문하면 10가지 이상의 다양한 밑반찬이 함께 제공된다. 찜닭과 간고등어정식을 한 번에 맛볼 수 있는 세트메뉴를 판매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파전, 감자전, 묵무침 등 안주류도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