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수페스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안동 수페스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안동 수페스타

안동 수페스타

1.5 Km    1     2024-05-23

경상북도 안동시 공단로 171-10 (정하동)
054-840-3425

한 여름 더위를 날리는 시원한 여름 축제이다. 안동문화예술인들의 신나고 감성적인 공연, 인디언텐트와 해먹&파라솔이 펼쳐진 캠크닉, 시원하게 더위를 날려줄 물놀이와 물총싸움, 불꽃놀이와 함께하는 EDM파티, 플리마켓과 푸드트럭&수제맥주까지 낙동강변에서 즐길 수 있다.

금강옥

금강옥

1.5 Km    1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1길 133-16
054-855-5160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한우다. 소 한마리의 모든 부위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맛 좋고 질 좋은 한우를 맛볼 수 있는 집이다.

킴스하우스 안동

킴스하우스 안동

1.5 Km    0     2024-03-29

경상북도 안동시 한화4길 24-5 (안기동)
0507-1461-4422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위치한 킴스하우스 안동은 전통한옥의 고즈넉함과 현대적 편리함을 더한 독채 한옥스테이다. 실내는 큰 방, 작은 방, 주방, 거실, 욕실로 구성되어 있고, 실내 취사는 불가하지만 토스터기, 전자레인지, 커피포트, 냉장고가 있어 간단한 식사는 가능하다.시내권에 있어 차로 15분 내에 안동 주요 관광명소에 도달할 수 있다. 주차는 주변 무료 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합리적인 가격으로 가성비가 좋다.

이태백숯불구이

이태백숯불구이

1.5 Km    1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1길 133-5
054-858-4525

다양한 돼지갈비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갈비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경복궁

1.5 Km    2     2024-03-08

경상북도 안동시 충효로 4439
054-859-9900

국내산 제철 식재료로 음식을 만드는 매장이다. 대표메뉴는 육회비빔밥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잔잔하루

잔잔하루

1.5 Km    0     2024-03-29

경상북도 안동시 서경지길 70 (태화동)
0507-1419-1071, 010-6533-1033

잔잔하루는 안동 태화동의 조용한 마을 내에 있는 독채 한옥숙소로, 바람에 따라 들려오는 풍경소리가 환영인사를 해준다. 실내는 방 1개, 거실, 주방, 욕실로 구성되어 있는데, 화이트와 월넛 원목의 조화가 깔끔하면서도 차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실내 취사는 불가능지만, 조식으로 트스트와 사과즙을 제공한다. 욕실 옆에는 족욕 공간이 있는데 마당을 바라보며 자연을 벗삼아 하는 족욕이 일품이다. 마당 불멍도 추억을 그려준다.

안동 사신리 느티나무

안동 사신리 느티나무

15.3 Km    22977     2024-02-02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송두안길 22

안동시 녹전면 사신리에 있는 수령 700년 된 느티나무로 나무 높이는 32m이고, 가슴 높이에서 잰 줄기 둘레는 9.5m이다. 가지 밑의 줄기 높이는 1.9m이고, 가지는 동쪽으로 16.8m, 서쪽으로 15.9m, 남쪽으로 15.9m, 북쪽으로 12.8m 퍼져 있다. 이 느티나무는 마을 한가운데 있는 정자나무로서 마을 사람들에게 녹음을 제공하며 크게 두 개로 갈라져서 자랐으나, 한쪽 큰 가지가 주변 통행을 방해한다고 하여 일제 강점기 때 잘렸다. 그래도 여전히 마을의 수호신처럼 믿고 있으며 정월 보름날에는 온 마을 사람들이 이 나무 밑에 모여서 새해의 행운과 풍작을 비는 제사를 지낸다.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민속적, 생물학적 자료로서 보존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후산정사

15.4 Km    1844     2023-09-11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점곡길 15-8

김사원이 세상을 떠나자 그의 덕망을 추모하여 후손들이 안동 도산에 천산 정사를 세웠으며, 1758년(영조 34)에 다시 후산으로 옮겨 세웠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철거되었으나, 1990년 중건 추진회를 발족하여 1991년 7월 후산 정사로 중수하였다. 경내에는 외삼문, 중정당, 사당 등이 세워져 있으며, 해마다 춘추 정일에 유림들이 모여 제사를 지낸다. 향사인물 김사원은 자 경인(景仁), 호 만취당(晩翠堂), 본관은 안동이다. 천성이 어질고 부모에게 효도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과 공경을 받았으며, 자라서는 퇴계 이황의 문하에 들어가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림의 추대로 의성 정제장(整齊將)으로 활약하였으며 전쟁통에 집을 잃은 백성들을 도왔다.

의성 사촌마을

의성 사촌마을

15.5 Km    27353     2023-12-07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점곡길 17-1

의로운 선비가 많다는 의성의 북부 마을인 사촌마을은 안동 김씨, 풍산 류씨의 집성촌이다. 사촌마을 지명이 붙여진 유래는 마을 주변의 협곡에 의해 사토가 퇴적돼 마을의 땅이 비옥하기 때문에 사촌이라고 붙여졌다는 설과 고려 중기 훈신 김방경의 후예인 김자첨이 안동 회곡에서 1392년 입향하여 중국의 사진촌을 본 따 사촌이라 하였다는 설이 있다. 평범한 시골 마을인 듯 보이지만, 김사원과 유성룡 등 40여 명의 과거 급제자가 배출된 의성 지역의 대표적인 양반마을로 유명하다. 훌륭한 선비를 많이 배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과 일제 침략 때는 의병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한 곳으로 유서 깊다. 임진왜란 당시 마을 대부분이 불태워져, 현재 남아있는 사촌마을의 고택은 100여 년 전에 지어진 것들이 대부분이다. 30여 채의 전통가옥을 볼 수 있고, 대표적인 건물로는 1585년 완공되어 김사원이 학문을 닦고 후배들을 기르기 위해 세운 건물인 만취당이다. 사촌마을에는 지형을 보완하기 위해 사촌리 가로숲을 조성하였는데, 김자첨이 이 마을로 이주해 오면서 서쪽이 허하면 인물이 나지 않는다 해 샛바람을 막아 삶의 터전을 보호하려고 심어 둔 500여 그루의 방풍림이 현재의 사촌리 가로숲이 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방풍림 역할뿐 아니라 아름다운 풍경과 계절에 따라 변하는 다양한 매력으로 사람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이 밖에도 의성의진의 의병 투쟁을 알리고 나라를 위해 싸우다 순국한 의병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의성의병기념관과 사촌마을의 경치를 한눈에 담을 수 있는 사촌마을 전망대 등이 있다.

의성 사촌리 가로숲

의성 사촌리 가로숲

15.5 Km    33536     2024-05-28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점곡길 17

의성 사촌마을에 있는 천연기념물 [사촌리 가로숲]은 안동 김씨 김자첨이 안동으로부터 이곳 사촌으로 이주한 후 마을 서쪽의 평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해 방풍림을 조성하며 생겼다. 이주 후 [서쪽이 허하면 인물이 나지 않는다]는 풍수지리설과 샛바람을 막아 삶의 터전을 보호하려는 선현들의 혜안이 담겨있다. 서쪽에 있는 숲이라 하여 [서림]이라고도 부르며 수종은 팽나무,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가 대부분이다. 마을을 조성할 때 심은 나무들로 수령이 600년에 이르고, 길이 1km에 폭 45m 정도의 숲길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