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매팥빙수단팥죽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할매팥빙수단팥죽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할매팥빙수단팥죽

할매팥빙수단팥죽

11.3 Km    18306     2023-08-02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로90번길 24
051-623-9946

할머니팥빙수단밭죽은 부산시 용호동에 본점을 두고 있는 팥빙수전문점이다. 중소벤처기업 백년가게 인증을 받은 바 있는 전통 있는 음식점으로 여러 매체에 소개되기도 하였다. 직접 삶은 통팥과 잘게 갈린 얼음 위에 우유와 조린 과일을 얹어 제공하는데 많은 재료가 들어가지 않아 팥빙수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다.

해동성취사

11.3 Km    1     2023-11-08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일광로 429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있는 해동 성취사는 2000년에 창건된 사찰로 대웅전, 지장전, 요사채 그리고 동굴 형태의 산신각을 갖추고 있다. 우암 주지스님은 한국 전통 불교 계승에 앞장서기 위하여 소리를 공양하는 범음범패(梵音梵唄)를 이수하고 불교의 가르침을 전해오고 있다. 소리로 부처님 말씀을 전하는 범음범패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오는 한국 고유의 불교음악으로 예불과 불공 의식의 시간이 맞는다면 천상의 소리도 들을 수 있다. 해변가 인근에 위치하여 스노클링, 해루질 또는 노지 캠핑 성지로 많이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취사나 텐트 설치가 금지된 지역이다.

휠라 부산경성대

휠라 부산경성대

11.3 Km    2     2024-03-24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13

-

올리브영 경성대부경대

올리브영 경성대부경대

11.3 Km    0     2024-03-24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12, 21센츄리시티오피스텔 201호

-

에뛰드하우스 경성대

에뛰드하우스 경성대

11.3 Km    0     2024-03-24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11

-

이니스프리 부경대

이니스프리 부경대

11.3 Km    0     2024-03-24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13-1

-

연일시장

11.3 Km    7745     2023-09-11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 24
051-853-7023

연일 시장은 부산 연제구에 위치한 골목 시장이다. 채소, 과일, 건어물, 옷 등 전 품목을 취급하며 부산의 지역적 특성상 특히 생선이 신선하며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넉넉한 인심과 푸근한 친절함에 절로 기분이 좋아지는 곳이다. 연산역에 인접해있어 접근성 또한 좋다.

경성대학교 문화홍보처 박물관

경성대학교 문화홍보처 박물관

11.3 Km    28653     2023-01-26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

* 가야 유물과 민속 유물을 볼 수 있는 곳 *

1972년 3월 영도구 영선동 한성초급대학 박물관으로 개관하여, 1979년 3월 학교가 부산산업대학으로 승격하면서 부산산업대학박물관으로 바뀌었다. 1984년 박물관 안에 민속자료실을 개관하였고, 1988년 5월 경성대학교로 학교명이 바뀜에 따라 경성대학교박물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경성대학교 박물관은 "1997년 문화유산의 해"를 맞이하여 전시실을 새롭게 단장하였으며,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들을 시대순으로 배치하여 전시하였다. 특히, 경성대학교박물관에서 집중적으로 발굴·조사한 김해 금관가야 유물과 조선시대에서 근세에 이르는 민속유물을 전시하고 있는데 금관가야유물은 토기를 통해서 금관가야의 태동에서 쇠퇴에 이르는 변화상을 볼 수 있다.

* 경성대학교 박물관의 전시실과 소장품 안내 *

종합전시실·옥외전시장·수장실·학예연구실·정리실·보존과학실·자료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금속류 2,677점, 옥석류 625점, 토도류 4,647점, 골각기류 41점, 목죽초칠 515점, 피모지직 123점, 서화류 168점, 의상류 17점, 기타 22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그 밖에 철기유물과 장신구류, 각종 희귀유물들도 있다. 민속유물은 선인들의 의, 식, 주 생활상과 농사, 음악, 무속, 죽음에 이르는 생활상을 테마별로 전시하고 있다.

경성대학교 조류관

11.3 Km    19099     2023-09-12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 정보관 지하 1층에 있는 조류관은, 1987년 경성대학교 조류연구소로 출발하여 1997년 조류관으로 설립되었다. 개관 후 관람객 50만 명 이상을 돌파하여 명실공히 국내 최고의 조류전문 전시관으로 각광 받고 있다. 조류(완박제) 265종 1,410점, 조류(가박제) 56종 391점, 알표본 88종 142둥지, 기타(포유류, 어류 등) 28종 55점을 전시하고 있다. 조류관은 조류 표본 소장 관리, 조류의 생태에 관한 조사 연구, 국내외 단체와 정보교환, 연구발표(세미나, 논문) 및 관보 발간, 시민 또는 언론매체에 조류 전반에 관한 자문, 전시관람 운영 활동을 하고 있으며, 고대갈매기, 홍비둘기, 붉은배지느러미 발도요와 같이 다른 곳에서는 보기 어려운 희귀 표본을 이곳 조류관에서 만날 수 있다. 환경부 지정 야생조수 치료센터를 개설하여 야생조수들을 치료 후 자연으로 돌려 보내고 있으며, 조류관은 상시 개방하여 학생들은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아름다운 새를 가까이에서 느끼고 자연과 생태계의 조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마하사(부산)

마하사(부산)

11.3 Km    17752     2024-06-04

부산광역시 연제구 봉수로 138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인 마하사의 창건과 변천은 대웅전 상량문에 자세히 전하며, 5세기 아도 화상이 창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임진왜란 때 사찰 건물이 모두 불탔고, 18~19세기 단계적으로 사찰이 복원되었다. 연제구청에서 지정한 8경에 속하는 명소이다. 1965~1970년 승려 문성이 대웅전·응진전·대방·요사·식당을 중건했고, 1984~1985년 승려 지연이 종각을 세우고 반야암을 중창했으며, 1995~1998년 승려 경민이 대웅전과 삼성각을 중건하였다. 마하사의 가람 배치는 산지 사찰이란 지형과 여러 차례의 개축 때문에 전통적인 가람 배치를 따르지 못했지만 좁은 경내를 잘 정리하고 있으며,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다. 마하사 경내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불상인 마하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과 마하사 응진전 석조나한상, 마하사 응진전 목조석가여래좌상, 불교 미술의 자랑인 마하사 영산회상도, 마하사 응진전 십육나한도, 마하사 응진전 영산회상도, 마하사 현왕도 등 많은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다. <불씨를 구해 준 나한과 동지 팥죽>, <참새를 쫓아낸 나한>, <소리 나지 않은 금구> 등에 마하사의 나한 설화가 나오는데, 여섯 신통과 여덟 해탈을 모두 갖추어 인간과 천인들의 소원을 이뤄주는 복전인 16나한의 신통력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