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대나무축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담양대나무축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담양대나무축제

담양대나무축제

13.0 Km    147438     2024-05-02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죽녹원로 119
061-380-3152

과거부터 마을 사람들이 모여 대나무를 심었던 죽취일(竹醉日)에서 유래한 축제로, 대나무 숲으로 유명한 죽녹원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숲인 관방제림 일대에서 진행된다. 대나무 연만들기, 대나무 물총쏘기, 대나무 뗏목과 카누타기 등 대나무를 이용한 다양한 체험이 가능하고 피톤치드와 음이온을 뿜어내는 대나무 숲을 거닐 수 있다. 죽녹원 인근에 위치한 관방제림에는 수령 300년이 넘는 거대한 고목들이 있다. 잔디밭에서 담양의 먹거리를 즐기며 공연관람도 하고 다양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

카페304 신창점

카페304 신창점

13.0 Km    1     2022-09-19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신로 280-14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 있는 카페304는 깔끔하고 세련된 외관과 편안한 인테리어의 실내 공간이 잘 어우러져 손님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카페다. 직접 로스팅 한 스페셜 커피와 매일 아침 굽는 베이커리를 즐길 수 있다. 로스팅 공장도 직접 운영하고 있어 커피 마니아들 사이에서는 소문난 커피 맛집으로 통한다. 단체석이 구비되어 있어 각종 모임이나 회의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벚꽃 시즌에는 창문 너머로 만개한 벚꽃을 감상할 수도 있다. 주변에 풍영정, 생태휴양공원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즐기기 수월하다.

심신에 좋은 것들은 다 모였다.

심신에 좋은 것들은 다 모였다.

13.0 Km    8109     2023-08-09

푸르른 싱그러움이 가득한 대나무의 고장, 담양.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죽녹원, 메타세쿼이아길과 용마루길, 관방제림, 소쇄원 등 구석구석 아름다운 풍광을 간직하고 있는 멋스러운 곳이다. 바쁜 일상은 잠시 잊고, 천천히 느릿느릿한 마음으로 하늘이 내려 준 담양의 자연과 음식을 음미해보자.

플라타너스 별빛 달빛 길

13.0 Km    0     2023-10-04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죽녹원로 130

죽녹원 앞 영산강 관방제림원에 마련된 300m 길이의 별빛·달빛길은 아름다운 플라타너스 나무 아래 별이 쏟아지는 조명 연출과 스토리가 담긴 로고젝터(바닥에 특정 로고나 문구를 투영해 주는 장치)를 곳곳에 설치했으며, 분수광장 옆에 마련된 초승달 포토존도 있다. 별빛 달빛 길이 있는 담양 관방제림은 가족들과 함께 오거나 연인끼리 데이트를 하러 오는 등 봄, 여름, 가을, 겨울 24시간 산책하기 좋은 곳이다. 별빛 달빛 길에는 밤이면 작은 조명들에서 불이 켜지고 길 따라 가로등 조명이 환하게 켜진다. 여름에는 녹음이 우거진 나무 사이를 걷거나 아름다운 야경과 마음을 달래주는 휴식처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명소다. 산책길 곳곳에 징검다리와 구름다리, 나무데크길과 조각 공원, 분수놀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관광지로는 도보 약 5분 거리에 죽녹원과 메타세콰이아길, 국수거리 등이 밀집되어 있다.

아트센터 대담

13.0 Km    0     2024-06-13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언골길 5-4

죽녹원과 관방천 사이에 자리한 아트센터 대담은 2010년 전라남도 14호 미술관으로 등록되었다. 서양화가 정희남 관장이 사비를 들여 2010년 6월 개관한 이곳은 [함께 느껴요 Eco Life]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운영하는 미술관으로 내실 있는 전시와 아름다운 전경으로 인해 문화명소로 자리매김했다. 대담은 [대나무와 담양], [대범함], [대화와 담소], [세계 속의 큰 담양] 등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곳은 현대미술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기획전을 통해 인근 주민에게는 국제적 수준의 관람 기회와 문화적 혜택으로부터 소외받은 지역 작가들을 지원하여 독자적 전시공간을 확보하고, 국제교류전 등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문화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갤러리와 함께 운영하는 카페는 밖의 경치를 조망할 수 있는 통창으로 탁 트인 공간감을 준다. 프라이빗공간은 숙소공간으로 간단한 조식과 아트체험까지 경험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전통미가 느껴지는 은행나무집, 감나무집, 방앗간집, 아트컨테이너 등 다양한 방문객의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컨셉이 있는 휴식 공간들이 있다. 도자기, 부채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무양서원

무양서원

13.0 Km    26188     2024-06-03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

광주의 옛이름 "무진의 볕"이라는 뜻을 지닌 무양서원은 고려 인종때 탐진 최씨 문중이 전국 유림의 호응을 얻어 세운 사원이다. 고려 인종 때 어의 최사전과 그의 후손 최부, 최희춘, 나덕현 다섯분의 신주를 모신 서원이다. 강당인 이택당을 중심으로 왼편과 오른편에 합의문과 합인문이 있다. 합의문을 지나면 오른편에 동재인 성지재가 있고 왼편에는 서재인 낙호재가 있다. 내삼문인 삼오문을 지나 높은 땅 위에 담장이 있는 무양사가 자리잡고 있는데, 이것은 사당안에 함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무양서원에 이르는 마을은 토담길로 단장되어있으며 입구의 광장과 주차장은 이곳을 찾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주위의 오래된 거목들은 마치 유생들의 기상을 펼쳐놓은 듯 아름드리 펼쳐있어 무양서원의 나이를 말해주는 듯하다.

바칼

바칼

13.1 Km    1     2022-09-19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로138번길 31-5

바지락칼국수의 줄임말인 '바칼'은 2006년 개업한 바지락칼국수 전문점이다. 매일 신선한 바지락과 미더덕(오만둥이)을 산지 직송으로 공수받아 사용하고 있다. 매일 직접 면을 뽑아 사용하고 있어 신선하면서도 쫄깃한 면발을 맛볼 수 있다. 신창동 칼국수 맛집으로 소문난 식당인 만큼 웨이팅은 필수다. 배추김치와 깍두기는 셀프로 가져다 먹을 수 있어, 부족함 없이 편하게 즐길 수 있다. 대표 메뉴인 바지락칼국수에는 바지락과 미더덕이 듬뿍 들어있어 바다향을 진하게 느낄 수 있다. 주변에 용수어린이공원이 있어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기에도 좋다.

광주 정신건강 문화행사

광주 정신건강 문화행사

13.1 Km    1     2024-02-06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062-600-1952

광주광역시에서는 세계 정신건강의 날(10.10.)을 기념하여 10월 9일부터 10월 20일까지 "이제는 마음에 투자하세요" 라는 주제로 2023 광주 정신건강 문화행사를 개최한다.

정신건강 홍보주간 행사로 온라인 웹페이지를 통해 정신건강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이벤트 참여가 가능하며, 특히 10월 16일에는 광주광역시청 대회의실에서 “정신건강의 날 기념식 및 특별강연”이 진행된다.

제11회 도서관 문화마당

제11회 도서관 문화마당

13.1 Km    5     2023-04-24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광주광역시청
062-413-1274

도서관 문화마당은 광주광역시 공공, 작은도서관 및 독서단체가 협력하여 독서의 중요성을 알리고 독서진흥을 유도하기 위한 시민 참여형 행사이다. 주제는 '모두가 그린 도서관'으로 40여개 기관들이 모여 다양함 참여 부스를 시민 대상으로 운영하며, 강연 및 공연도 함께 진행 될 예정이다.

담양향교

담양향교

13.1 Km    3739     2023-06-12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향교길 19

담양향교는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고려 충혜왕 때 설립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본격적인 건물창건은 1398년(태조 7) 대성전이 설립되면서부터이다. 1674년(숙종 즉위년) 부사 이헌유(李憲儒)가 중건하고, 1747년(영조 23) 부사 안정헌(安廷헌)이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3칸의 대성전, 각 3칸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7칸의 명륜당, 내신문(內神門)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및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