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공연/행사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축제/공연/행사 정보를 소개합니다.

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2023-11-13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879번길 18 (강남동)
02-732-9382

2023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는 오늘의 공예, 내일의 전통을 주제로 국내 공예작가 37인과 유네스코 공예 및 민속예술 창의도시 공예작가 10인이 함께 한다. 전통의 기술과 정신을 계승하는 창의적인 공예 작품으로 오늘의 공예와 내일의 전통을 기대한다.

광화문 마켓

광화문 마켓

2024-12-05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로)
02-3788-8168

올해 3회차를 맞이한 광화문 마켓은 서울 야간관광 활성화와 지역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개최하는 행사로,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펼쳐지는 크리스마스 마켓이다. 연말연시 분위기를 즐길 수 있도록 크리스마스 마켓 빌리지를 조성하고, 100여개의 지역 소상공인과 함께 다채로운 시즌 소품, 수공예품, 먹거리를 홍보 및 판매한다.

구팔일 댕댕이 대잔치!

구팔일 댕댕이 대잔치!

2025-03-1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천덕로 880-24
1833-9810

9.81파크 제주가 펫팸족을 위한 특별한 경험, <구팔일 댕댕이 대잔치!>를 진행한다. <구팔일 댕댕이 대잔치!>는 반려견과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특별한 축제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축제 기간동안 반려견과 함께하는 레이싱, 보물찾기, 장애물 체험 등으로 구성된 '반려견과 함께 981 패키지'가 진행되며, 반려견을 위한 특별한 식사와 기프트도 준비됐다. ‘킁킁 어드벤처’는 9.81파크의 아름다운 산책로를 따라 진행되는 보물찾기 프로그램으로, 반려견과 함께 애월 바다와 제주 하늘을 감상하며 산책할 수 있다. 본격적인 액티비티에 앞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몸을 풀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반려견과 함께 레이싱을 경험할 수 있는 ‘RACE 981’도 주목할 만하다. 반려견 전용 시트가 장착된 2인승 GR-D를 타고 보호자와 함께 3코스를 주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주행 후에는 9.81앱에서 주행 영상과 랩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반려견의 달리기 실력을 확인할 수 있는 ‘댕댕 레이스’는 리쉬 없이 보호자가 있는 곳까지 전력 질주하는 경기로, 기록된 시간을 랭킹에 등록할 수 있어 참여자들의 경쟁심을 자극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촉감 레이스’는 온-리쉬 상태에서 보호자와 함께 생소한 촉감과 소리가 나는 바닥 장애물을 통과하는 프로그램으로, 반려견에게 색다른 자극과 즐거움을 선사한다. 댕댕 레이스와 촉감 레이스의 기록 및 영상은 9.81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반려견과 보호자를 위한 특별한 식사도 마련됐다. 카페 놀로의 레시피로 조리된 반려견 전용 식사(멍트볼 1개+멍푸치노 1잔)와, 제주 식재료를 활용한 보호자용 식사(브로콜리지 식사 1개+음료 1잔)를 제공해 맛과 영양을 모두 고려했다. 참가자들에게는 이니스프리 그린펫클럽 기프트가 제공된다. 물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꼼꼼 워터리스 발세정제’를 통해 액티비티 후 반려견의 발을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3월 23일(일)에는 특별한 이벤트가 마련된다. '세계 강아지의 날'을 맞이해 평소 토요일에만 운영되는 '반려견과 함께 981 패키지'가 특별 진행되며, 반려견 행동학 수의사인 설채현 수의사의 특별 세미나도 열린다. 세미나 관련 정보는 추후 업데이트 예정이다. 9.81파크 제주의 <구팔일 댕댕이 대잔치!>는 반려견과 보호자가 함께 특별한 경험을 만들 수 있는 축제로, 참가자들에게 잊지 못할 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9.81파크 공식 홈페이지 및 9.81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콘.zip

강콘.zip

2023-11-13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현암리
1644-4894

강콘.zip이라는 컨셉으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강원 콘텐츠를 한 곳에 모은 콘텐츠 압축 폴더’라는 뜻으로 도내 콘텐츠 기업과 창작자들의 문화콘텐츠 전시와 시연회, 콘텐츠와 관련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관객들은 고전게임 대회, VR체험, 웹툰 체험 등 대중적인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으며, DIY 플랫폼토이, 콘텐츠 모음.zip, 가상 크라우드 펀딩 등 이색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재밌게 즐길 수 있는 행사이다.

예술고시촌 로컬페스티벌

예술고시촌 로컬페스티벌

2024-10-22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암로22길 51 (신림동)
010-8321-4533

제 4회 예술고시촌 로컬페스티벌은 관악구 최초 6세 ~ 80대까지 함께하는 축제이다. 11월 2일부터 17일까지 광태소극장에서 진행된다. 총 4개의 프로그램이 각각 다른 요일에 진행되며, 홈페이지 내 구글폼 작성을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첫 번째 프로그램 '광태소극장 독립영화관'은 11월 2일 토요일 오후 3시에 진행된다. 두 번째 프로그램 '예술인(시니어, 청년 등) 네티워킹'은 11월 7일 목요일 오후 6시에 진행된다. 세 번째 프로그램 '유초등, 중고등 연극 체험&놀이'는 11월 9일 토요일 오전 10시와 오후 12시에 진행된다. 네 번째 프로그램 '연극 <노인만 사는 세상> 토크 : 무대 너머는 11월 17일 일요일 오후 3시에 진행된다.

2023울산문화박람회X울산에이팜

2023울산문화박람회X울산에이팜

2023-11-03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울산역로 255
052-255-1941

2023 울산문화박람회X울산에이팜은 울산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예술, 문화정책, 전시, 체험, 특화상품 등 5개 구·군의 다채로운 문화를 통해 도시 경쟁력을 확인하고 문화도시 울산의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플랫폼이다. 2012년부터 이어져온 아시아-태평양 지역음악 교류 국제뮤직플랫폼인 울산에이팜(APaMM)과 연계 개최함으로써 문화로 도약하는 울산을 선보인다.

2023 고양 문화예술정책포럼

2023 고양 문화예술정책포럼

2023-11-03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한류월드로 281 (장항동)
010-2814-1055

2023 고양 문화예술정책포럼 <고양시와 케이팝, 새로운 미래를 열다>는 미래를 바꾸는 도시 고양시와 대한민국의 글로벌 문화 대표, 케이팝(K-pop)이 만나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가는 포럼이다. 케이팝은 한국에서 탄생했지만, 현재는 전 세계에서 사랑받고 있으며 K-컬처 기반 문화 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에는 글로벌 팬덤 문화가 새로운 트랜드를 형성하고 있으며, 국내를 찾는 외국인 팬들의 수도 크게 증가하는 중이다. 이에 동시대 케이팝의 현재를 돌아보고, 고양시 음악산업계가 젊은 음악인 성장에 어떻게 기여해 왔는지, 케이팝 팬덤 문화와 새로운 문화사업에 관해 토론하고, 고양시가 케이팝을 통해 끌어 나갈 미래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ㅊㅊ-하다 페스티벌

ㅊㅊ-하다 페스티벌

2024-02-06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로)
070-7500-7190

전통 전반을 다루며 각 장르의 청년예술가들을 모아 '청춘들의 판'을 주도한다.

매년 장르 확장을 해왔으며 2023년 최종 4개의 파트(무용, 기악, 성악, 연희)를 아우르는 구성으로 돌아왔다. 대한민국 대표 청년 전통공연예술 축제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예술가의 전통과 창작 작품을 '이어-가다', '넘어-서다', '벗어-나다'라는 세 가지 파트로 만나볼 수 있다.

제4회 성북청춘불패영화제 “Deep Focus”

2024-10-28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 82 (돈암동)
02-6906-3116, 3117

성북청춘불패영화제는 젊은 영화인들의 창작활동을 지지하며 2021년 첫발을 내디뎠다. 젊음이라는 공통의 조건 속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청춘들의 참신한 발상과 날카로운 시선, 빛나는 이들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하며, 지금 이순간 자신의 몫을 다하고 있는 이들의 불패(不敗)함을 응원한다.

2023 도서관 정책세미나

2023-11-07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 (반포동)
010-2814-1055

코로나19 이후 도래한 ‘뉴노멀 시대’대응, 초고령/초저출산/다문화/지역소멸 등 사회 변화 반영,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본격화 대응, 미래를 준비하는 도서관 정책환경 역량 강화 등을 목적으로 K-도서관 정책 추진 방향을 각급 정책실행 주체와 공유하여 통합적/실질적 이행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 세미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