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문화 정보를 소개합니다.

한얼테마과학·박물관

한얼테마과학·박물관

33544     2023-03-20

경기도 여주시 대신면 대신1로 298
031-881-6319

여주 대신면 옥촌리 폐교된 분교터에 자리잡고 있는 한얼테마과학·박물관은 지하철 1호선 안에 유물 보관작업을 시작해 과학문화관, 전적유물관, 고문서유물관, 카메라유물관, 의학유물관 그리고 산업디자인유물관 총 7개의 박물관으로 이루어진 세계최초의 박물관 단지이다.

국립항공박물관

국립항공박물관

1     2023-03-20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177

국립항공박물관은 국내 최초로 선보인 항공 분야 국립박물관이다. 2020년 7월5일 개관했으며, 한인비행학교 개교 100주년에 맞춰 문을 열었다. 박물관은 항공역사, 항공산업, 항공생활, 야외전시, 기획전시로 나눠지며 국내, 해외의 항공역사를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박물관에는 지금껏 알지 못한 우리 항공사의 보석 같은 전시물과 실물 비행기 16대가 전시되어 있으며, 항공사별 항공기 등록 현황, 조종사, 승무원 현황, 각종 체험 등 우리 삶을 바꿀 미래 항공 기술 발전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아모레퍼시픽미술관

0     2023-03-20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100

서울 용산구에 있는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아모레퍼시픽의 창업자 고(故)서성환 회장이 수집한 미술품들을 전시하였던 박물관을 2009년 아모레퍼시픽미술관 (APMA, Amorepacific Museum of Art)로 명칭을 변경하여 전시 운영 중인 미술관이다. ‘일상 속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열린 공간’을 지향하고 대중과 소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런 목적에 따라 한국 고미술과 국내외 현대미술을 수집·연구·전시하며, 관련 연구자 및 학회, 젊은 작가를 지원한다. 지하 1층 전시실에서는 고미술과 현대미술, 한국미술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기획전시가 열린다. 지상 1~3층까지 이어진 대형 공간 ‘아트리움’ 1층에는 미술관 로비와 뮤지엄숍, 전시공간인 ‘APMA 캐비닛’, 세계의 전시도록 라이브러리(apLAP)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용산의 대표적 건축 명소인 하얀색 백자를 모티브로 건축된 아모레퍼시픽 본사 신사옥 1층에 미술관이 있다.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27299     2023-03-20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76

* 대학 도서관을 넘어 평생교육의 장으로,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은 1979년 개관 후 1984년 지하 1층, 지상 9층의 현대식 건물로 이전하였다. 현재 약 100여만 권의 장서와 3,875석의 열람석을 갖춘 도서관으로 자리매김했다. 도서관에 대한 이용 안내와 학술정보 서비스를 조직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외의 다양한 이용자를 위해 영문 홈페이지와 한의과대학 분관 홈페이지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주요 서비스로는 우리 도서관 검색시스템 이용과 동의대 발행 학위논문 및 학술 간행물 자료에 대하여 디지털화한 원문을 외부 이용자에게도 제공하고 있다. *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평생교육의 장으로 발돋움 * KERIS, KORSA,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의 기관과 학술정보협력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부경지역의 사립 대학도서관 간 대학정보교류협의회(PAUJIS)를 구성하여 자원 공유를 활성화하고 있다. 또한 2000년부터 지역사회 기관 및 주민에게도 도서관을 개방하여 지역의 지식정보센터 및 평생교육의 장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울산북구문화예술회관

30095     2023-03-20

울산광역시 북구 산업로 1000

2003년 9월에 개관한 울산북구문화예술회관은 453개의 좌석을 갖춘 공연장과 전시장, 다목적실, 그리고 100여 문화강좌를 열고 있는 아카데미 강좌가 있다. *개관일 2003년 9월 25일

풍수원유물전시관

풍수원유물전시관

0     2023-03-20

강원도 횡성군 경강로유현1길 50

풍수원 천주교회는 가톨릭 박해를 피해 이주한 신자들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졌다. 풍수원 천주교회당은 한국에서 지어진 4번째 성당이며, 한국인 신부에 의해 지어진 첫번째 성당이기도 하다. 풍수원 본당은 춘천, 원주, 화천, 양구, 홍천, 횡성, 평창, 양평 등 12개 시군의 29개 공소를 관할하다가 1896년 원주 본당이 분할되고 1920년에 춘천 본당, 1948년에 홍천 본당을 분할하게 된다.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에 위치한 풍수원성당은 1982년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풍수원 성당에는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을 맞아 지난 1920년부터 매년 추진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성체현양대회가 열리고 있다. 풍수원유물전시관은 풍수원성당 뒤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2층 3전시설로 구성된 유물전시관이다. 천주교 박해 당시 사제들이 미사를 집전할 때 사용했던 물건과 과거 조상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유물 1,000여점을 전시한다.

요산김정한문학관

3780     2023-03-20

부산광역시 금정구 팔송로 60-6

요산김정한문학관은 한국의 대표적 문인이며 부산 경남의 정신적 지주 가운데 한 분이신 요산 김정한 선생을 기념하고 그의 문학을 기리며 이를 통해 시민정신을 고양하기 위해 건립된 문학관이다. 2층 전시실에는 요산 선생께서 소장했던 육필원고와 창작 메모, 작품집, 직접 제작하신 식물도감 낱말카드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도서관 세미나실, 창작실, 대강당 등을 갖추고 있다.

* 개관일 2006년 11월 20일

국립국악박물관

국립국악박물관

48537     2023-03-20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연건축면적 3,348㎡의 4층 건물로, 1995년 2월 23일 개관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악 전문박물관으로서 역사적·문화적으로 가치있는 각종 국악관련 자료와 유물 6,0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일곱 가지 주제로 꾸며진 여섯 개의 상설전시실에는 각종 국악기와 국악관련 음향․영상 자료 250여점을 전시하고 있으며, 박물관에 마련된 입체영상실에서는 3D애니메이션을 언제나 감상할 수 있다. 흥미로운 테마의 특별․기획 전시도 다채롭게 마련하고 있다.

* 개관일 : 1995년 2월, 2012년 8월 재개관

군산근대역사박물관

군산근대역사박물관

24482     2023-03-20

전라북도 군산시 해망로 240 군산근대역사박물관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은 "역사는 미래가 된다"는 신조로 과거 무역항으로 해상물류유통의 중심지였던 옛 군산의 모습과 전국 최대의 근대문화자원을 전시하여 서해 물류유통의 천 년, 세계로 뻗어 가는 "국제 무역항 군산"의 모습을 보여주는 박물관이다.
* 개관일 2011년 9월 30일

경기도자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

37807     2023-03-20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 727

* 조선 도자 전문 박물관, 경기도자박물관 * 광주 조선관요박물관은 조선시대 왕실이 운영하는 관요가 설치되어 400여 년간 운영되던 고장인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백자를 연구하고 조선 관요 유적의 발굴과 학술연구사업, 전통 도자문화 교육 등 한국 전통도자를 연구하는 전문 도자박물관이다. 한국 전통 도자기의 육성·발전을 위하여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전' 이라는 전통 도자공모전을 격년제로 개최하며, 이를 통해 오늘의 한국적 특성에 맞는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를 선보이게 될 것이다. 2개의 대형 전시실과 기획전시실, 다목적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규모의 야외 조각 공원과 장작가마, 한국정원, 다례시연장 및 광주지역에서 생산되는 도자기를 판매하는 도자쇼핑몰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광주 조선관요박물관은 조선 500년의 역사를 이어온 순백자, 청화백자, 철화백자, 분청사기 등 조선시대 관요에서 생산된 전통도자기와 그 전통을 계승하는 현대작가들의 작품들을 상설 전시하며 우리의 전통 도자문화와 역사를 조명하는 기획 전시·특별전시를 통해 살아 숨 쉬는 우리의 도자전통을 느끼게 해 줄 것이다. * 도자의 다양한 정보를 만난다 * 경기도자박물관은 전시실은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층에는 도자문화실과 기획전시실, 2층에는 상설전시실이 운영 중이다. 도자문화실은 관람자에게 도자개념, 역사, 기법 등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경기도자박물관에서는 국내외 도자의 역사와 전통을 테마별로 조명하는 기획전시를 연중 2회 이상 실시하고 있다. 1층 기획전시실은 물론 2층 상실전시실 등 다양한 공간을 활용하여 개최되는 기획전시를 통해 상설전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볼거리와 학습자료를 제공한다. 상설전시실은 제1실과 제2실로 나뉘는데 제1실에서는 한반도 자기문화의 발전과정을 한눈에 살펴 볼 수 있으며, 상설전시 제2실에서는 한국도자의 미래발전방향을 제시한 도예작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