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8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2024 코스모뷰티서울)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제38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2024 코스모뷰티서울) 정보를 소개합니다.

  • 제38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2024 코스모뷰티서울)
  • 제38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2024 코스모뷰티서울)
  • 제38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2024 코스모뷰티서울)
  • 제38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2024 코스모뷰티서울)
  • 제38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2024 코스모뷰티서울)
  • 제38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2024 코스모뷰티서울)
  • 제38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2024 코스모뷰티서울)
  • 제38회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2024 코스모뷰티서울)

설명

2024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코스모뷰티서울)는 오는 5월 29일(수)~ 31일(금) 3일간 코엑스 1층 A홀에서 개최된다. 코스모뷰티서울은 올해로 38회째를 맞이하는 국내에서 가장 오랜 전통과 노하우를 가진 화장품·미용 산업 전시회로서, ▲화장품, ▲원료/포장/용기, ▲헤어/두피, ▲에스테틱/스파, ▲네일/풋/타투, ▲이너뷰티/헬스 ▲스마트 뷰티, ▲천연/유기농/비건 등 화장품, 뷰티 산업 관련 다양한 업체가 참가한다. 2024 코스모뷰티서울은 약 430개사 540부스로 개최될 예정이며, 폴란드, 중국 국가기관과 함께 이탈리아, 튀르키예, 일본 등 다양한 국가의 해외 기업들도 참가한다. 듀얼소닉, 아이소브, 루이셀, 쿤달, 시크블랑코, 스킨컬처, 그레이스데이, 레스노베 등 국내 유명 브랜드 및 라이징 기업들도 대거 참여한다. 참관객 및 바이어는 5월 27일(월)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등록을 할 수 있으며, 사전등록 시 무료로 입장이 가능하며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다.


문의

㈜한국국제전시 02-761-2512


홈페이지

www.cosmobeautyseoul.com


이용안내

행사 시작일 : 2024년 05월 29일

행사 종료일 : 2024년 05월 31일

행사 장소 : 코엑스 A홀

공연시간 : 10:00 - 17:00

주최자 정보 : ㈜한국국제전시

주최자 연락처 : 02-761-2512

주관사 연락처 : 02-761-2512

이용요금 (이용시간) : 홈페이지 사전 등록자, 초청장 소지자, 바이어/업계 종사자 : 무료
일반관람 : 10,000원


상세정보

행사소개
2024 서울국제화장품·미용산업박람회 (코스모뷰티서울)는 오는 5월 29일(수)~ 31일(금) 3일간 코엑스 1층 A홀에서 개최된다. 코스모뷰티서울은 올해로 38회째를 맞이하는 국내에서 가장 오랜 전통과 노하우를 가진 화장품·미용 산업 전시회로서, ▲화장품, ▲원료/포장/용기, ▲헤어/두피, ▲에스테틱/스파, ▲네일/풋/타투, ▲이너뷰티/헬스 ▲스마트 뷰티, ▲천연/유기농/비건 등 화장품, 뷰티 산업 관련 다양한 업체가 참가한다. 2024 코스모뷰티서울은 약 430개사 540부스로 개최될 예정이며, 폴란드, 중국 국가기관과 함께 이탈리아, 튀르키예, 일본 등 다양한 국가의 해외 기업들도 참가한다. 듀얼소닉, 아이소브, 루이셀, 쿤달, 시크블랑코, 스킨컬처, 그레이스데이, 레스노베 등 국내 유명 브랜드 및 라이징 기업들도 대거 참여한다. 참관객 및 바이어는 5월 27일(월)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등록을 할 수 있으며, 사전등록 시 무료로 입장이 가능하며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다.

행사내용
2024 코스모뷰티서울에는 여러 부대행사와 B2B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부대행사로는 세미나 및 컨퍼런스와 루키 오브 더 이어 (어워즈)가 있다. 세미나 및 컨퍼런스는 3일간 코엑스 3층 각 컨퍼런스룸에서 진행되며 글로벌 마케팅 및 트렌드 세미나 등 다양한 뷰티 전문 세미나들이 진행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코스모뷰티서울의 프리미엄 어워즈, 루키 오브 더 이어 수상 제품을 전시장 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루키 오브 더 이어는 객관적 데이터와 업계 전문 심사위원의 2주 간에 걸친 직접적인 제품 테스트 및 현장 평가로 진행된다. 코스모뷰티서울은 뷰티 산업 B2B 전문 박람회로, 판로 개척을 위한 B2B 프로그램, 상담회도 진행된다. 해외 초청바이어와 국내 참가업체 간에 진행되는 “수출 상담회”, 국내 수입 초청바이어와 해외 참가업체 간에 진행되는 “수입 상담회”, 그리고 참가업체와 온라인 사전등록 바이어간의 자율 상담 프로그램인 “오픈 네트워크”가 있다. 참가업체와의 상담을 희망하는 바이어 및 업계 종사자들은 ‘바이어’로 온라인 사전등록을 진행하면 오픈 네트워크를 통해 자율적으로 원하는 참가업체와 상호 문의 및 미팅 신청을 할 수 있다.

위치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513 (삼성동)

2025 제17회 서울건축문화제

2025 제17회 서울건축문화제

2025-08-27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37 (계동)
070-4580-7436

2025 제17회 서울건축문화제는 서울성: 다층도시를 주제로 서울의 정체성과 지역성을 미래지향적으로 재조명한다. 서울건축문화제는 서울시 건축상 수상작 전시회에서 출발, 수상자들만의 행사로 끝나지 않도록 2010년부터 시민과 함께할 수 있는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서울건축문화제로 확대 개최하였고, 매년 전시, 강연, 포럼, 답사 등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종합적인 건축문화 행사로 기획·운영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건축상을 수상한 서울시의 아름다운 건축물들을 확인할 수 있는 전시회는 물론, 건축 문화를 보다 재밌게 즐기기 위한 시민참여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다. 시민참여 프로그램은 총감독 주제전 '토크콘서트' , 서울특별시 건축상 수상작을 투어하는 '건축문화투어' , 건축상을 수상한 건축가가 수상작에 관해 설명하는 '오픈클래스' , 건축상 수상 건축가의 설계사무소 탐방하는 '오픈오피스'로 다채롭게 구성되었다.

춘천 ONE도심 페스타

춘천 ONE도심 페스타

2025-08-27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시청길 11 (옥천동)
010-9776-2721

춘천 시민들의 꿈과 삶이 시작됐던 70년의 역사, 소통의 중심,예술이 흐르는 춘천원도심의 8개 상권을 ‘Revival’을 위해 지역상인들과 춘천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축제이다. 다양한 공연, 마켓, 야시장, 팝업부스, 방탈출 카페, BBG가든, 체험 프로그램, 경품 이벤트 등을 준비했다.

2025년 APEC 정상회의 기념공연 <서라벌 풍류>

2025-08-26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로 446 (신평동)
02-580-3276

<서라벌 풍류>는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기념하여, 8월 23일부터 10월 29일까지 개최지인 경주에서 한국 전통공연예술의 정수를 선보이는 특별한 무대이다. 전통음악과 무용, 연희 등 다채로운 전통프로그램을 만날 수 있는 육부촌(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 공연과 전통의 깊이에 현대적 감각을 더한 창작 국악을 즐길 수 있는 경주 교촌마을 공연, 국립국악원,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등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공연단체의 초청공연이 첨성대 야외무대에서 펼쳐진다.

제17회 푸른하늘의 날 기념행사(Racing for Air)

제17회 푸른하늘의 날 기념행사(Racing for Air)

2025-08-25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지하12 (을지로1가)
02-2088-7388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하여 9월 3일(수) 서울광장에서 열리는 환경부 수도권대기환경청 '푸른하늘의 날 기념행사' 이다. 푸른하늘을 지키기 위한 우리의 질주를 주제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공연 프로그램, 전시 등을 진행하는 행사이다. 무대 프로그램으로는 푸른 하늘을 지키는 목소리의 어린이 주인공들의 본선이 진행될 예정이며, 모든 연령이 참여할 수 있는 '푸른하늘 퀴즈쇼'를 진행한다. 사전 등록을 진행한 사람들에게 모두 '양우산'을 증정하고 1등에게는 푸른 하늘상 상금 50만원(1명), 2등에게는 깨끗한 공기상 상금 20만원(3)명, 추첨을 통한 행운상(3명)의 상품을 증정한다. 또한, '푸른 하늘 뮤직쇼'를 통한 푸른 하늘, 깨끗한 공기를 주제로한 공연이 진행되며 KCM 공연, 밴드 공연이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푸른 하늘 어린이 웅변대회'와 '하늘사랑 그림공모전' 시상식을 진행한다. 텀블러를 소지한 관람객에게는 '음료 무료 제공'과 '텀블러 꾸미기'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으며, 푸른 하늘 360도 포토존(이벤트 진행), 하늘사랑 그림공모전 수상작 전시를 진행한다.

2025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초청공연 <어둠에서 피어난 민중의 노래, 그리스 레베티코>

2025-08-22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서학로 95 (동서학동)
02-2039-0342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레베티코’. 8명의 그리스 레베티코 연주자들이 선사하는 특별한 무대가 오는 9월, 전주에서 펼쳐진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초청공연은 2014년부터 시작된 명품 공연사업으로, 전통과 격조를 갖춘 수준 높은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레베티코는 사회 속 소외된 이들의 진솔한 삶을 노래하는 도시 대중 음악으로, 그리스의 고단한 역사 속에서 태어나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는 음악이다. 이번 공연은 레베티코가 담고 있는 그리스의 역사와 정서를 한층 깊이 있게 접하며, 생생한 현지의 음악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2025 제주식품대전 with 맥주축제

2025 제주식품대전 with 맥주축제

2025-08-2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로 93 (색달동)
064-805-3353

2025 제주식품대전 with 맥주축제는 제주의 특색있는 식품과 세계 각국의 맥주를 결합한 문화콘텐츠를 통해 관광객 유치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박람회이다. 식품대전은 제주 식품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다양한 제주 식품을 한 곳에서 직접 만나보고 구매할 수 있어 매년 도민들에게 사랑받는 행사이며, 부대행사로 진행되는 맥주축제는 약 20개국 맥주를 홍보하고 판매하는 축제의 장을 만들 예정이다. 이 외에 다양한 현장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어 먹거리, 즐길거리가 풍성한 행사로 진행 될 것이다.

2025년 제1회 한국 마늘 산업 박람회

2025년 제1회 한국 마늘 산업 박람회

2025-08-21

경상북도 영천시 운동장로 60 (교촌동)
044-868-6332

‘제1회 한국마늘산업박람회’는 국내 최초로 개최되는 마늘 산업 전문 박람회이다. 본 박람회는 전국 마늘 주산지와 관련 산업계가 한자리에 모이는 대규모 행사로, 마늘의 재배, 가공, 유통, 수출 등 산업 전반의 정보를 공유하고 최신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이다. 전국 주요 마늘 품종을 비교할 수 있는 품평회와 가공·유통 기업이 참여하는 전시회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반 소비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참여형 콘텐츠도 구성되어 있다.

GES2025 (게임 e스포츠 서울)

GES2025 (게임 e스포츠 서울)

2025-08-21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81 (을지로7가)
02-2124-2907

게임 e스포츠 서울(GES2025)은 2025년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는 글로벌 게임·e스포츠 축제이다. 서울특별시와 서울경제진흥원이 주최하며, 전시·체험, 인디 및 대형 게임쇼, e스포츠 대회(이터널리턴 내셔널리그, 서울컵 등), 공모전, 팬사인회, 뷰잉파티, 네트워킹 프로그램 등이 구성된다. 약 100여 개의 게임·e스포츠 기업과 4만여 명의 관람객이 함께하는 이번 행사는 최신 기술과 창의적 콘텐츠를 공유하고, 다양한 세대가 함께 즐기며 건전한 게임문화 확산과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고메 잇 강남 서울야장

고메 잇 강남 서울야장

2025-08-26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513 (삼성동)
070-7734-7796

도심 한가운데에서 펼치지는 레트로 감성의 F&B 야장 페스티벌 이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야외 포차의 매력, 트렌디한 미식문화를 결합한 도심 속 리츄얼 공간이다. MZ 세대와 외국인 방문객이 많은 코엑스 한복판에서, ‘야장’이라는 공간 속에 서울의 정취를 녹아내며,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도심형 푸드 페스티벌이다.

2025 문화공간 어디쉐어 <공주 하숙동 1번지> 시즌2

2025-08-20

충청남도 공주시 당간지주길 21 (반죽동)
041-852-1321

공주의 교육유산으로 자리해 온 하숙문화는 단순한 주거 형태를 넘어, 청춘의 배움과 우정,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 따뜻한 정서를 간직한 소중한 기억이다. 하숙동 1번지는 이러한 하숙문화의 역사와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조명하여, 과거를 직접 체험하고 공감할 수 있는 다채로운 즐길거리를 마련한다. 추억의 고고장을 통해 그 시절 젊은이들이 즐기던 음악과 춤의 열기를 되살리고, 하숙집의 따스한 밥상을 떠올릴 수 있는 먹거리와 간식을 맛보기도 한다. 또한 교복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시절의 설렘과 풋풋한 감정을 느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시민과 공주시 방문객 모두 하숙문화에 담긴 지역적 가치와 감성을 오감으로 경험하며, 잊혀져 가는 문화유산을 새로운 방식으로 공유하고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