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프레이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캠프레이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캠프레이크

캠프레이크

19.4Km    2025-07-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탄기흥로785번길 21-5 (고매동)

경기도 용인 캠프레이크는 신갈저수지 변에 위치해 있는 전망 좋은 글램핑장이다. 기흥 IC, 한국민속촌에서 3분 거리에 있다. 캠핑장 어디에서나 저수지 전망을 즐길 수 있으며 패밀리 글램핑과 커플 글램핑, 글램하우스를 갖추고 있다. 패밀리글램핑과 글램하우스에는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지만 커플 글램핑에는 냉풍기가 있다. 캠핑장 내에 화장실, 샤워실, 개수대, 매점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이용에 불편이 없다.

원평시골장터

원평시골장터

19.4Km    2025-07-18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10 (고매동)

원평시골장터는 머리 고기보다 소 곱창이 많이 들어 있는 순댓국을 맛볼 수 있다. 들깻가루와 밑반찬으로 나오는 부추 무침, 김치, 섞박지와 함께 먹는다. 뚝배기에 보글보글 끓여 나오는 기본 순댓국 외에 암퇘지의 새끼집인 암뽕으로 만든 국밥 메뉴가 있다. 암뽕은 육질이 쫄깃하나 특유의 향이 있어 호불호가 갈리는 메뉴다.

석성산 백령사방면

19.4Km    2024-11-11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성석산 백령사방면은 성석산(471.5m)으로 오르는 최단코스로 아이와 함께 등반할 수 있는 등산로이다. 정상의 일출이 장관이라 새해 첫날 해맞이 장소로 유명하다. 성석산은 용인의 진산[珍山]으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포곡읍 마성리, 처인구 유림동에 걸쳐있다. 용인시에서 10번째로 높은 산으로 성산, 구성산, 보개산으로도 부른다. 성석산은 서쪽은 기암절벽의 웅장함을, 동쪽은 완만하지만 육중한 힘을 보여주는 산으로 바위가 많지만 높지 않고, 정상까지의 거리가 짧은 편이어서 어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다녀올 수 있다. 성석산의 일출은 용인 제 1경으로 손꼽히며, 야간산행도 가능하다. 등산로가 정비되어 있고 쉼터도 잘 조성되어 있으며, 등산 난이도가 낮은데 비해 탁 트인 조망의 정상뷰가 훌륭하기로 유명하다. 정상에 올라서면 동백지구가 매우 가깝게 보이고 수리산, 광교산, 관악산, 청계산, 북한산이 조망되며, 날씨가 좋으면 서해바다까지도 볼 수 있다. 성석산 백령사 방면 등산코스는 백령사 주차장을 들머리로 통화사를 지나 성석산 정상으로 오르는 코스로 왕복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등산 초보자 및 아이를 동반한 가족, 시간적 여유가 많지 않은 등산객들은 완만한 동쪽의 백령사 방면을 애용한다. 산 정상으로 향하는 길에는 보개산성과 봉수대를 만나 볼 수 있으며 정상에 작은 데크와 정자가 있다.

탈영역우정국

탈영역우정국

19.4Km    2025-01-19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20길 42 (창전동)

지하철 6호선 광흥창역 인근 주택가 한가운데에 있는 탈영역우정국은 (구)창전동 우체국 건물을 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리이어콜렉티브]의 장기프로젝트이다. 우체국의 옛말인 우정국으로 공간의 이름을 명하고, 소통의 장소인 POST OFFICE의 [POST]의 다른 뜻인 [이후의], 장르와 영역을 벗어난다는 [탈]의미를 합쳐 [탈영역우정국]이라 명칭 하게 되었다. 탈영역우정국은 건물의 임대기간인 10년 동안을 공간 운영 목표로 물리적 플랫폼과 콘텐츠의 연계, 실험을 통해 경계 없는 예술을 지향한다. 우체국 업무공간이었던 1층과 관사로 썼던 2층의 공간이 있으며 1층은 주로 전시장, 공연장, 상영관, 기타 용도로 2층은 전시 및 소규모 프로젝트와 워크숍 등 프로젝트에 따라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탈영역우정국은 유휴공간을 재활용한 공간답게 건물 내부의 커다란 금고, 폐기물을 태우던 소각로 등 우체국 시절 흔적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대관은 행사의 주최자와 기획내용에 따라 일반 대관과 협력 대관으로 차별화하여 진행된다. 탈영역우정국은 영상, 회화, 설치, 공연, 워크숍, 상영, 강연, 토크 등을 통해 미술계뿐만 아니라 퍼포먼스, 실험 사운드, 실험예술 등 다양한 영역 아티스트들의 실험적인 작품들을 꾸준히 선보이며 인근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을 선보이고 있다. 반려동물들과 함께 갤러리 관람이 가능한 흔치 않은 예술 공간이다.

카페추자리

카페추자리

19.4Km    2025-04-29

경기도 광주시 오포로 695 (추자동)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에 있는 베이커리 카페로 커피, 라테, 스무디, 에이드, 베이커리 등이 있어 나들이를 겸한 브런치 데이트 장소로 좋다, 1층에는 주문계산대와 빵 진열대가 있고 2층에 소파와 테이블이 있는 공간이 있다. 감성적인 인테리어로 SNS 용 사진을 찍으면 예쁘게 나온다. 다양한 식빵이 있으며 건강빵인 호밀빵은 예약주문만 가능하다. 수제 쨈도 판매한다. 주차장은 두 군데가 있다.

커피몽타주

커피몽타주

19.4Km    2025-09-04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48길 23-12 가람빌딩

커피몽타주는 강동구청역 3번 출구 3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8년 연속 블루리본 서베이에 수록된 커피 맛집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최고 퀄리티의 커피를 맛볼 수 있다. 에스프레소 블렌딩 A Bittersweet Life로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베리에이션 음료들과 더불어 다양한 커피 산지들의 싱글 오리진 브루잉 커피들을 맛볼 수 있다. 다양한 커피 추출 도구와 원두도 판매하고 있다. 주변에 풍납백제문화공원, 몽촌역사관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문화역 서울 284

문화역 서울 284

19.4Km    2025-07-29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

문화역 서울 284는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무대이자 교통과 교류의 관문이었던 구 서울역사의 원형을 복원해 만든 복합문화공간이다. 문화·예술의 창작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플랫폼으로서 전시, 공연, 워크숍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1900년 남대문정차장을 시작으로 경성역을 거쳐 서울역이 됐다가 2004년 구역사가 폐쇄되며 새로운 공간으로 변신했다. 건물 외관은 1925년 경성역을 복원해 재현한 것이다. 유럽 르네상스식의 이국적인 외관으로 붉은 벽돌, 화강암 바닥, 인조석을 붙인 벽, 박달나무 바닥으로 이루어져 있어 인기를 끌었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드라마 <무인도의 디바> 속 목하(박은빈 분)가 꽃을 들고 기호(채종협 분)를 기다리던 곳이다. 옛 서울역사를 복원한 만큼,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서는 삼천포(김성균 분)가 상경한 장소로 등장한다.

2025 아시아프(ASYAAF)

2025 아시아프(ASYAAF)

19.4Km    2025-08-12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 (봉래동2가)
02-724-6317

‘아시아프(ASYAAF, Asian Students and Young Artists Art Festival)’는 지난 2008년 시작해 올해로 18회를 맞은 아시아 최대 청년 작가 아트페어다. 전국 청년 작가들에게 경력에 관계없이 전시 및 작품 판매 기회를 제공하고, 미술에 관심 있는 일반 관람객에겐 참신한 작품을 합리적 가격에 소장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특히 청년 작가의 기회와 성장을 위해 여타 아트페어와는 달리 중간 판매 수수료 없이 ‘작품 판매 수익 전액’을 작가에게 지급해 공익적 가치를 실현한다. 올해는 아시아프 1회가 열린 뜻깊은 공간인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다. 아시아프의 발자취를 되새기는 동시에, 개장 100주년을 맞은 서울역에서 역사와 예술이 어우러지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더담아

더담아

19.4Km    2025-07-18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24 (고매동)

더담아는 용인 기흥에 있는 고기 맛집이다. 저녁이나 주말에는 프리미엄 호주 와규 소갈빗살이나 돼지갈비를 먹으러 오는 고객들이 많다. 고기를 시킨 경우 사이드 메뉴가 매우 알차게 나온다. 롯데 아울렛 근처에 있어 쇼핑 후 들리기 좋은 집이다. 주차장이 넓어 이용이 편리하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서울百화점 - Local to Seoul 100 Diaries

서울百화점 - Local to Seoul 100 Diaries

19.4Km    2025-04-18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 (봉래동2가)
02-3407-3500

경제문화 수도의 첫 관문과 같은 역할을 해온 서울역 개장 100주년을 맞이하여 전국 각지의 명소를 소개하고 앞으로 100년을 이어갈 수 있는 지역별 생활문화브랜드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전시/마켓/체험 행사.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우리나라에 백화점이 처음 등장했던 1920년대의 감성을 되살려, ‘서울백화점’이라는 가상의 공간을 설정했다. 이 백화점이 오픈을 기념하여, 여유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즐기며 새로운 경험을 찾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특별 기획전을 연다. 각 지역에서 탄생한 로컬 브랜드와 문화를 통해 지역성을 탐색하고, 관람객이 직접 해당 지역을 방문하고 싶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판매 공간을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