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스 인 가배몽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빈스 인 가배몽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빈스 인 가배몽

빈스 인 가배몽

11.1 Km    3767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은행로 68-10
063-231-9793

빈스 인 가배몽은 한옥을 개조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장에서 직접 원두를 볶아 내린 신선한 커피를 제공한다. 빈스 인 가배몽은 매장에서 커피 원두를 따로 판매한다.

청학동버섯전골

청학동버섯전골

11.1 Km    1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331

전주의 화산체육관 건너편에 있는 '청학동 버섯전골'은 1994년부터 30년간 한자리에서 버섯요리로 전주 시민에게 건강한 식사를 제공하고 있다. 한옥 느낌의 인테리어로 꾸며진 널찍한 내부는 테이블 좌석, 좌식 좌석과 룸이 여러 개 따로 마련돼 있어 단체 모임 장소로도 적합하다. 추운 날씨에 따뜻한 국물이 생각날 때 추천되는 청학동 버섯전골은 끼니마다 즉석요리로 만들어져 맛이 신선하고 몸에 좋은 각종 버섯이 푸짐하게 들어간다. 보글보글 끓인 전골 국물은 든든하게 속을 채워주는 건강식이 되며, 새송이 깐풍기, 표고 탕수육, 잡채, 오리훈제 등 다양하고 푸짐한 반찬들이 제공된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

현대옥 본점

11.1 Km    1     2024-01-22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화산천변2길 7-4

현대옥본점은 전주권 콩나물국밥식당들 중 영업력에서 독보적 1등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메뉴는 (토렴응용식)전주남부시장식콩나물이며 (전통직화식)펄펄끓인식콩나물국밥 취급으로 각기 제맛을 가진 두 종류의 콩나물국밥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다. 이 밖에 오징어튀김, 부산땡초어묵, 순대모둠, 아귀순살튀김 등 저렴한 가격대의 다양한 곁들임메뉴와 현대옥스테이크, 햄볶음밥 등 가족외식에 적합한 어린이메뉴들이 있다. 콩나물아이스크림, 콩나물박물관, 콩나물머리핀 등 식도락의 재미와 볼거리가 있다.

부용헌 [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부용헌 [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1.1 Km    10924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향교길 149-3
010-8875-8587

전주한옥마을에 자리한 부용헌은 전주향교와 담장을 사이에 둔 한옥스테이다. 객실은 툇마루방, 대청마루방, 대청마루(대)방, 큰사랑채로 구성되는데, 객실 내부는 쓸데없는 장식을 배제해 깔끔하고 여백의 미가 느껴진다. 전통예절교육, 한지공예 등 전통문화체험을 운영한다. 도보로 전주향교문화원, 전주한벽문화관 등 전주한옥마을 내 주요 관광지를 즐길 수 있고, 차량으로 10~15분 거리에 전주역, 전주고속터미널이 있다.

장현식고택

장현식고택

11.1 Km    1936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향교길 119-6

* 한 가문의 파란만장한 역사를 담고 있는 장현식 고택 *

장현식 선생은 전북 김제에서 만석군의 아들로 태어나 항일 독립운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한 독립운동가로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으며 해방 후에는 제2대 전북도지사(1949.8.17~12.14)를 역임하였다.장현식 고택은 일찍이 여관과 호텔이 없었던 조선시대에 남원 호음실의 박씨 집과 함께 여행객들이 부담 없이 여장을 풀고 쉬어 가는 만석꾼 부잣집이었다. 거의 사흘마다 소 한 마리를 잡아서 과객 접대에 힘써 그들 사이에서 “노자돈 떨어지면 서도 장씨 집에 간다”는 말이 유행할 정도였다고 한다. 장현식 고택은 안채와 사랑채 등 4동을 전통방식으로 지었는데 근대 한옥의 변화를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건축물이다. 목재 가공의 수준이 아주 정교해 전통한옥으로서 건축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호남제일성, 전라감영 역사의 울림

호남제일성, 전라감영 역사의 울림

11.1 Km    1     2024-05-21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로 55 전라감영
063-232-9938

’호남제일성, 전라감영 역사의 울림’은 조선왕조 500년 동안 전라도와 제주도의 정치, 경제, 문화를 아우른 최고의 통치기관 ‘전라감영’에서 하루 동안 역사 해설, 전통놀이, 퀴즈, 체험 등 5가지 문화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역사문화 체험 프로그램이다.

무형유산이음축제

무형유산이음축제

11.1 Km    0     2024-02-0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로 55 전라감영
070-4750-5076, 070-4736-6211

단풍이 물들기 시작하는 9월. 전라감영이 우리의 것으로 아름답게 물든다. 우리의 것에서 느낄 수 있는 익숙하고도 새로운 모습. 9월 9일, 전라감영에서 7가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즐겨볼 수 있다.

전라 감영

전라 감영

11.1 Km    1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로 55 (중앙동4가)

전라감영은 전라도와 제주도를 관할하는 지방통치관서로 지금의 도청에 해당하며 조선 초부터 1896년까지 약 500년 동안 지금의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제주도를 관할하던 감사(관찰사)가 근무하던 곳이다. 조선시대의 전라감영은 정문인 포정문, 감사의 집무실인 선화당, 주거공간인 연신당과 감사 가족의 처소인 내아, 누각인 관풍각 등의 건물 등 모두 40여 채가 있었다. 1896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라감영은 전라북도 도청의 행정업무 공간으로 사용하였으나 근대화 과정에서 대부분 소실되고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선화당도 1951년에 폭발 사고로 불타버렸다. 2015년 옛 도청 건물을 철거하고, 2017년부터 복원 공사를 시작하여 선화당, 연신당, 내아, 관풍각 등을 복원하고 2020년 10월에 1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문을 열었다. 개방된 전라감영은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아 전주대사습놀이 등의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 연신당 뒤에는 전라감영의 유일한 흔적이라 할 수 있는 수명이 200년이 넘는 보호수가 자리하고 있다. 선화당에서는 전라감영의 옛 모습을 디지털 영상으로 볼 수 있으며 문화해설사와 함께하는 정기해설투어는 하루 세 번 선화당과 관풍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문화해설을 듣고 싶은 방문객은 원하는 시간에 전라감영 정문으로 모이면 된다.

전주의 유네스코 보물찾기 코스

전주의 유네스코 보물찾기 코스

11.1 Km    1047     2024-01-18

우리의 문화유산이 전주만큼 많은 도시도 드물다. 한민족의 의식주의 전통이 골고루 삶에 녹아 있다. 한복과 한식, 한옥의 삼박자가 세계에 각광받는 전통문화의 스팩트럼이 되었다. 세계인의 시선이 집중된 전주의 유네스코 문화 유산을 찾아 떠나보자.

크로싱 게스트 하우스

크로싱 게스트 하우스

11.1 Km    2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교동 50-37

나희도와 백이진의 운명적인 만남 두 주인공의 첫 만남은 백이진이 나희도에 신문 배달을 하면서 이뤄졌다. 나희도와 백이진을 비추던 가로등, 백이진이 나희도에게 받은 펜싱 칼을 꽂았던 하얀 대문, 나희도가 깡총거리며 오르락내리락했던 계단까지 드라마 속 그대로다. 게스트 하우스로 운영됐던 곳으로 지금은 휴업 중이다. 지대가 높은 오목대 아래 위치해 전주 한옥 마을이 훤히 내려다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