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연월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카페 연월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카페 연월일

10.8 Km    1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진고개로 129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에 위치한 연월일은 평창 올림픽 개최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여 많은 관광객들이 평창 여행 중 꼭 찾는 카페다. 특히, 탁 트인 창문으로 보이는 논밭 뷰는 걱정 가득한 마음도 편안하게 만들어 준다. 여름에는 초록초록한 파밭과 당근밭이, 가을에는 알록달록 단풍, 겨울에는 새하얀 눈이 내린 눈밭뷰 까지 사계절 아름다운 경치를 보여준다. 카페 내부는 감성 가득한 소품들과 인테리어로 편안한 마음으로 휴식할 수 있다.

오대산 농원식당

오대산 농원식당

11.0 Km    1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진고개로 36-29

평창군 진부면에 위치한 곳으로 맛과 정성을 다하는 한식당이다.
언제 어디서나 고객님 곁에 머물러주는 곳이다.

숲사이길펜션

숲사이길펜션

11.0 Km    1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길 233-2

숲사이길펜션 앞에는 오대천 1급수의 맑은 물이 흐르는 천연 수영장이 있고, 체험학습(물고기와 다슬기잡이, 보드놀이, 썰매타기, 팽이치기)이 가능하다. 뒷편 2.5km 반경내의 계곡 산책로에는 텐트촌이 있고, 각종 산나물과 야생화와 소나무, 낙엽송 우거진 계곡이 흐르는 천혜의 수풀림이다. 펜션 내부는 넓고 아늑한 온돌과 편백나무벽으로 되어 있어 여름엔 시원하면서 겨울엔 매우 따뜻한 휴식처를 제공한다. 대형버스도 문제 없는 넓은 주차공간을 보유하고 숲사이길펜션 아래에는 식당 및 카페테리아, 개별 숯불 BBQ 이용이 가능한 공간이 있다. 또한 "숲 사이길 황토찜질방"은 겨울 스키어들에게 따뜻한 쉼터를 제공한다. 오대산 월정사, 진부KTX, 진부IC는 송어축제장, 숲사이길펜션과 10분 거리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매우 좋다. 인근에 용평, 알펜시아스키장은 20분이내의 거리며, 강릉 경포대와 주문진 30분까지 이동이 가능하다.

오대산삼거리황기찐빵

오대산삼거리황기찐빵

11.3 Km    1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경강로 4125

오대산 삼거리 황기 찐빵은 평창군 진부면에 있는 음식점이다.
가게 내부는 전통찻집처럼 단아한 분위기로 꾸며져 있으며 전통가구의 고풍스러운 디자인을 느낄 수 있다.
황기 찐빵은 무색소 무방부제로 만들었으며 팥, 녹차, 단호박으로 구성되어있다.
매일 정성껏 직접 빚어 만든 찐빵이라 맛이 일품이다.

오대산 설경을 ‘천상의 극치’라 부른다

오대산 설경을 ‘천상의 극치’라 부른다

11.6 Km    3     2023-08-09

겨울에는 겨울에 맞는 여행지가 있다. 오대산 월정사가 그런 곳이다. 오대산 깊숙한 곳에 자리한 암자도, 그곳으로 드는 관문인 전나무 숲길도 하얀 눈이 내리면 설국으로 변한다. 전나무는 가지가 휘어지도록 눈을 이고, 월정사 전각의 지붕도 눈을 품는다. 찬바람 불어도 춥게 느껴지지 않는 오대산의 겨울 풍경 속으로의 여행.

사기막저수지

사기막저수지

11.6 Km    19122     2024-06-0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천면

사기막저수지는 강릉시 사천면 사기막리에 있는 저수지로 수심이 매우 깊고 물이 맑은 계곡형 저수지이다. 용연저수지, 사천저수지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사천천에서 들어온 물로 이루어져 있다. 사천천의 상류를 막아 1980년 4월 21일부터 1985년 11월 30일까지 5년에 걸쳐 관개 개선, 지목 변환, 배수 개선 등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사천저수지의 관개 면적은 344.9ha, 총저수량은 2,106.7천㎥, 유역 면적 2,280ha, 만수 면적 17.3ha, 홍수 면적 18.8ha이다. 제방 길이 165m, 제방 높이 33.6m, 제방 구조는 토제(土堤)이다. 수원공(水源工)은 저수지 1개소이며, 평야부의 보조 시설로는 보 9개소, 용수 간선 4조(條) 19,730m, 용수 지선 7조(條) 4,824ha이다. 사기막저수지에서 용연계곡, 만월산 용연사로 올라가면서 그늘과 숲속 공기 그리고 계곡물 소리를 들으면서 산책할 수 있다. 특히 용연계곡은 옛길이 보존되어 있고 계곡이 깨끗하고 아름다워 국가 지정문화재인 명승으로 지정된 곳이며 많은 소(沼), 담(潭), 폭포가 있어 경관이 아름답다. 사기막저수지는 수심이 매우 깊고, 산과 산 사이에 낀 좁은 곳이라 그늘져 얼음이 두껍다. 겨울철 빙어낚시 포인트가 있어 낚시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사기막저수지 둘레를 탐방하는 라이더의 모습도 간혹 볼 수 있다.

사명당 대선사 진영

11.6 Km    1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조선 중기의 고승이자 의병장인 사명당의 진영으로 강원도유형문화재이다. 의자에 앉아 있는 전신교의 좌안칠분면상의 그림인데, 화기가 없어 제작시기와 작자를 정확히 할 수 없으나, 범일국사의 진영과 같은 시기(1788)에 같은 작자에 의해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그림의 보존상태가 훼손이 없이 깨끗하고 조선후기의 진영의 전형적인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므로 그 보존가치가 크다 이 진영은 원래 범일국사진영(강원도유형문화재)과 함께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영은사의 칠성각에 봉안되어 있던 것인데, 1999년 6월 18일 월정사성보박물관으로 옮겨 전시중에 있다. 화기가 없어 제작 시기나 작자는 알 수 없으나 범일국사의 진영과 같은 시기(1788년)에 같은 작자에 의해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밀부와 밀부주머니

11.6 Km    1     2023-08-0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강원도 문화재자료인 밀부와 밀부주머니는 조선 예조에서 월정사 주지에게 사여한 유물로 사슴가죽 주머니와 띠로 구성되어 있다. 작은 원형 동판에 명문을 앞뒤로 새기고 나무 상자에 넣었으며, 이것을 가죽 주머니에 넣었다. 앞면에는 ‘강원도오대산중대적멸궁수호선교병팔도석품제일도원장밀부자’, 뒷면에는 ‘예조판하 경신정월일국신교시시상언내신주급신도’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월정사성보박물관은 강원도 남부 60여개의 사찰의 불상, 불화, 불교장엄구, 불교의식구 및 경전류의 성보를 전시, 연구, 보존, 관리를 하고 있는 불교전문박물관으로 장대한 역사를 말해주듯 국보 상원사중창권선문, 보물 월정사석조보살좌상, 보물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에서 출토 된 사리구 12점, 보물 상원사 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 23점, 밀부와 밀부주머니, 강원도 유형문화재 등 620여점의 우수한 성보문화재를 소장 하고 있다.

평창 운흥사 천룡탱화

11.6 Km    1     2023-07-1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평창 운흥사는 주위 경관이 매우 아름다워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찾는 관광지의 하나로 꼽히면서 시인 묵객이 즐겨 찾는 곳이었으며, 지금도 이곳을 찾으면 반드시 들러 보는 곳이 되었다. 운흥사의 천룡탱화는 우리나라의 우수한 문화적 수준을 알 수 있는 문화재이다. 그 시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더욱 주목할만하며 오랜 세월과 함께 우리나라의 유구한 역사가 담긴 보물 같은 문화재이다. 주변의 장릉, 청령포, 강원도 탄광문화촌 등도 방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월정사 템플스테이

11.6 Km    2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033-339-6606

월정사는 오대산에 자리한 천년고찰로 643년,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했다. 절은 팔각구층석탑과 석조보살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아름드리 전나무 1,700여 그루가 늘어선 전나무숲길로 이름났다. 유서 깊은 절은 템플스테이를 상시 진행한다. 고즈넉한 산사에서 스님의 일상을 체험하고 한국 불교문화를 배우는 시간은 자신을 돌아볼 기회가 된다. 월정사 템플스테이는 크게 체험형과 휴식형, 두 가지로 나뉜다. 영어·중국어·일본어 템플스테이도 마련했다. 체험형 템플스테이는 주말 동안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는 데 주력한다. 공양(절에서 먹는 식사)과 예불(부처에게 절하는 의식), 108배 염주 만들기, 침묵 명상, 스님과 차를 마시며 이야기하는 차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짜여 있다. 108배 염주 만들기는 절을 한 번 할 때마다 염주를 한 알씩 꿰는 수행법이다. 휴식형 템플스테이는 1박 2일 동안 산사에서의 휴식에 중점을 둔다. 공양 등 일부를 제외하면 전나무숲길을 산책하거나 명상하며 자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