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꼬막비빔밥풍호맛뜨락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강릉꼬막비빔밥풍호맛뜨락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강릉꼬막비빔밥풍호맛뜨락

10.9 Km    0     2023-11-07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 10

강릉 메이플비치 근처에 위치한 물회와 꼬막비빔밥 전문 식당이다. 완도산 광어를 이용한 물회와 여수에서 생산되는 꼬막으로 만든 꼬막비빔밥이 대표 메뉴이다. 이곳의 물회는 커다란 양푼에 신선한 회와 매콤한 살얼음 양념이 한데 어우러져, 시원한 맛을 준다. 특히 물회의 양이 푸짐한 편이라 손님들에게 든든한 한 끼를 제공한다.

강릉 명주동 거리

강릉 명주동 거리

10.9 Km    9     2023-08-28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명주동

명주동은 고려 시대부터 행정과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명주예술마당, 햇살박물관,작은공연장,강릉커피축제,명주프리마켓 등 각종 콘서트와 공연을 열어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명주동 여행은 골목길을 따라 걸으며 이색카페, 문화공간, 역사를 느낄 수 있는 핫 플레이스로 각광받고 있다.

1938slow

1938slow

10.9 Km    2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141번길 4-6

1938slow는 강릉시 좁은 골목길에 있는 구옥을 개조해서 만든 한옥 카페이다. 고즈넉한 분위기에서 사계절이 변화하는 것을 느끼며 즐길 수 있는 카페이다. 주차장을 갖추고 있지 않아 차를 이용하는 고객은 주변 골목, 건영택배사 주차장, 해람중학교 옆 공영주차장을 이용해 주차한 후 좁은 골목길 끝에 있는 카페를 찾아가야 한다. 반려동물을 동반할 경우, 캐리지를 가지고 가야 한다. 주주베, 차이, 쑥, 커피, 팥을 넣은 우유가 대표 메뉴이고 명란 바게트로 구성된 브런치 메뉴를 즐길 수도 있다. 저녁에는 가벼운 식사 또는 안주를 곁들여 맥주를 즐길 수도 있다. ※ 반려동물 동반가능 (캐리지 이용 조건)

강릉 임영관 삼문

강릉 임영관 삼문

10.9 Km    22553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강릉시 용강동은 오래 전부터 이 지방 행정의 중심지였다.객사는 옛날 중앙에서 오는 관리나 내빈을 대접하고 묵게 하던 시설이다.강릉객사는 고려 태조 19년(936년)에 세워진 목조건물로 그 무게있고 두터워 보이는 아름다움과 섬세한 솜씨가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건축물로 인정되어, 국보로 지정되었다.처음 지어질 당시, 객사의 이름은 임영관이었다. 지금의 현판 글씨는 공민왕이 낙산사 가는 길에 들러서 쓴 친필이다.객사문은 주심포 양식의 건물로, 그 중후미와 구조의 정교함은 우리나라에서 그 유래를 찾아보기 드문 건축물이다. 또한 기둥의 배흘림은 그 어느 건물보다도 심하며, 전체적으로 볼 때 아주 오래된 인상을 주며 장식화 경향이 심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수덕사 대웅전(국보, 1308년 건립)보다 건축연대가 앞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는 객사문만이 남아있다. 절집이 아닌 목조건물로는 이 객사문이 가장 오래 된 것이다.

오월커피

오월커피

10.9 Km    1     2023-12-14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2046번길 11-2 (남문동)

오월커피는 강릉 남문동 카페거리에 있으며,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적산가옥을 리모델링하여 만들어진 곳이다. 커피와 디저트를 판매하는 곳으로 인테리어가 깔끔하고 정갈하다. 소나무의 꽃에서 가루를 추출하여 만든 크림을 이용하여 만든 송화커피가 대표메뉴이고, 바닐라 시럽을 직접 뽑아서 사용한 바닐라 라떼도 은은한 단맛과 바닐라의 향이 가득해서 인기 메뉴 중 하나이다. 커피를 좋아하거나 사진찍기에 좋아 데이트하기 좋다.

강릉대도호부관아 문화유산 미디어아트

강릉대도호부관아 문화유산 미디어아트

10.9 Km    1     2024-02-06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용강동)
033-823-3225

2023 강릉대도호부관아 문화유산 미디어아트는 천 년에 걸쳐 강릉을 지켜온 ‘강릉대도호부 관아’에서 미디어·디지털·IT기술을 활용하여 지역의 역사문화적 스토리를 소재로 한 감동적인 미디어아트 프로그램으로, 문화유산의 특성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예술·전시·체험 연계프로그램 행사다.

강릉 서부시장

강릉 서부시장

11.0 Km    12220     2023-10-26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155번길 6
033-648-9136

서부시장은 강릉시 용강동에 위치한 1977년에 개설된 상가형 중형시장이다. 1982년 노후된 구 시장 건물을 철거하고 재개발하여 아파트와 시장이 공존하는 복합건물로 형성되었으나 내부시설은 근대화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2004년에서 2005년까지 환경 개선 사업을 시행하였고 2020년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여 서부시장만의 특색을 담은 즐길 거리가 많은 전통시장으로 변모하고자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서부시장은 대지면적 3,707㎡에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전기, 통신, 소방, 소화, 가스, 기계설비 및 건축공사를 시행하였으며 서부시장 번영회를 중심으로 활성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지하 1층에는 컴퓨터 도매상가가 있고, 지상 1층에는 의류, 기름집, 그릇, 식품점 등이, 2층에는 각종 동호회 사무실 등이 자리하고 있어 다른 시장들과 비슷하게 소규모의 지역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지상 3, 4층에는 아파트로서 상인들이 입주하고 있다. 2020년 7월부터 강릉시와 현대자동차, 공공미술 프리즘,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민관협력 사업인 CCC(Culture Connect City)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CCC라운지를 마련하고, 오랫동안 시장을 지켜온 상인과 강릉 지역 로컬 크리에이터가 힘을 합쳐 기존 상품을 트렌드에 맞게 재탄생시키는 [소셜 커넥터 프로젝트]도 진행되었고, [CCC 페스타] 행사도 진행하고 있다.

강릉단오제전수교육관

강릉단오제전수교육관

11.0 Km    17738     2024-06-12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단오장길 1

단오제전수교육관은 2005년 11월 25일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된 국가무형문화재 강릉단오제의 전승 활동과 일반인들에게 상시 단오제 관람, 전통문화교실 운영, 시민문화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부지면적 6,408㎡, 연면적 2,163㎡으로 본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공연동은 지하 1층, 지상 2층 453석 규모이다. 본관동에는 강릉단오제 홍보전시실, 전수교육실, 강릉단오제위원회, 강릉단오제보존회 등이 있고, 공연동에는 기획공연 및 대관공연을 할 수 있다. 교육프로그램으로는 전통문화교실과 강릉단오제 역사 탐방이 있는데, 전통문화교실은 강릉시민을 대상으로 사물놀이, 장구, 피리, 태평소, 관노가면극, 모듬북, 한국무용, 강릉농악, 민요 8강좌가 운영되고 있다. 강릉단오제 역사 탐방은 강릉단오제의 문화유적을 답사하며 현장에서 해설을 통해 강릉단오제의 문화적 의미를 찾아가는 현장 체험 교육 프로그램이다.

강릉단오제

강릉단오제

11.0 Km    143106     2024-03-28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단오장길 1
033-641-1593

강릉단오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자 천년의 전통을 가진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매년 50만명이상의 관광객이 찾고 있다. 2024 강릉단오제는 솟아라, 단오라는 주제로 오는 6월 6일부터 6월 13일까지 8일간 진행된다.강릉단오제는 전통 문화의 정수인 ‘제례’와 신과 사람이 소통하는 ‘굿판’, 전국 최대 규모의 난장이 펼쳐지고, 국가 지정 문화재행사, 시민참여행사, 민속놀이 행사 등 풍성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강릉문화재야행

강릉문화재야행

11.0 Km    7307     2024-02-06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033-823-3225

문화재야행은 문화유산이 밀집된 거리를 중심으로 공연·체험·예술 등 다양한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문화유산 활용도를 높이고, 문화유산의 의미와 가치향유를 통해 보존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강릉시는 2016년부터 문화재청 문화재야행사업에 함께하고 있다.

강릉문화재야행은 매년 강릉대도호부관아와 서부시장 일원을 중심으로 펼쳐지며 밤을 테마로한 8가지 프로그램(야경, 야로, 야사, 야화, 야설, 야식, 야숙, 야시)이 준비되어있다. 각 프로그램은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 등 특색있는 콘텐츠를 통하여 문화유산의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고, 강릉시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