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우와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우와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시우와당

시우와당

6.5Km    2022-12-26

경상북도 경주시 첨성로99번길 21
010-3060-4470

황남동에 위치한 가족이 운영하는 아담한 전통한옥이다. 객실은 1층 2인실, 2층 2인실, 2층 4인실로 총 세 개로 다른 한옥스테이와 달리 객실이 연속하여 붙어있지 않아, 소음이 적고 프라이빗하다. 대릉원, 첨성대, 동궁과 월지, 오릉, 교촌마을, 황리단길 등 주요 관광지가 도보 5-20분 거리 내외에 있다.

경주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 세계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 세계유산]

6.5Km    2024-11-13

경상북도 경주시 태종로 757

2000년 11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경주역사유적지구(慶州歷史遺蹟地區)>는 신라시대(新羅, 57-935)의 고도인 경주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있는 유적 지구(地區)이다. 유적의 성격에 따라 모두 5개의 역사 유적지구로 나뉜다. 첫번째로는 신라 불교미술의 보고인 남산(南山)지구이다. 경주 남산은 야외박물관이라고 할만큼 신라의 숨결이 살아 숨쉬는 곳으로 신라왕조가 종말을 맞았던 포석정(鮑石亭, 사적)과 탑곡 마애조상군(塔谷 磨崖彫像群, 보물), 천룡사지 삼층석탑(天龍寺址 三層石塔, 보물), 칠불암 마애석불 (七佛庵 磨崖石佛, 보물), 불곡 석불좌상(佛谷 石佛坐像, 보물) 등 37개의 불교유적이 흩어져 있다. 두번째는 신라 천년왕조의 궁궐터인 월성(月城)지구이다. 계림(鷄林, 사적), 신라왕궁의 별궁터였던 동궁과 월지(東宮과 月池, 사적), 그리고 동양최고의 천문시설인 첨성대(瞻星臺, 국보) 등이 있다. 세번째, 신라 왕과 왕비, 귀족들의 고분군(古墳群) 분포지역인 대릉원(大陵苑) 지구이다. 구획에 따라 노동리 고분군(路東里, 사적), 노서리 고분군(路西里, 사적), 황남리 고분군(皇南里, 사적), 오릉(五陵, 사적), 재매정(財買井, 사적) 등이 있는데 무덤의 발굴조사에서 당시의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는 금관(金冠), 천마도(天馬圖), 각종 토기(土器) 등 귀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네번째로는 신라 불교의 정수인 황룡사지구에는 황룡사지(皇龍寺, 사적)와 분황사 석탑이 보존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왕경(王京) 방어시설의 핵심인 산성지구로 400년 전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명활산성(明活山城, 사적)이 속해있다.

※ 경주역사유적지구에는 총 52개의 지정문화재가 세계문화유산지역에 포함되어 있다.

[ 남산지구 (사적) ]
- 보리사마애석불(지방유형문화재), 미륵곡 석불좌상(보물),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 석불좌상(보물),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천룡사지 삼층석탑(보물)
- 남간사지 당간지(보물), 남간사지 석정(지방문화재자료), 경주남산리 삼층석탑(보물)
- 경주배리 석불입상(보물), 윤을곡 마애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삼릉(사적)
- 불곡 석불좌상(보물),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보물), 칠불암 마애석불(보물)
- 탑곡 마애조상군(보물),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보물)
-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지방유형문화재), 삼릉계곡 마애 석가여래좌상/선각여래좌상(지방유형문화재)
- 삼릉계곡 선각 육존불(지방유형문화재), 입곡 석불두(지방유형문화재), 침식곡 석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 열암곡 석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약수계곡 마애입불상(지방유형문화재)
- 백운대 마애석불입상(지방유형문화재),포석정지(사적), 경주 남산성(사적), 서출지(사적)
- 신라일성왕릉(사적), 신라정강왕릉(사적), 신라헌강왕릉(사적)
- 신라내물왕릉(사적), 지마왕릉(사적), 경애왕릉(사적), 경주나정(사적)
- 경주남산동 석조감실(지방문화재자료)

[ 월성지구 ]
- 계림(사적), 경주 월성(사적), 동궁과 월지(사적), 첨성대(국보)
- 내물왕릉계림월성지대(사적 및 명승)

[대릉원지구]
- 미추왕릉(사적), 경주 대릉원 일원(사적), 오릉(사적)
- 동부사적지대(사적), 재매정(사적)

[황룡사지구]
- 경주 황룡사지(사적),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산성지구]
- 경주 명활성(사적)

시즈닝

시즈닝

6.5Km    2024-02-20

경상북도 경주시 첨성로99번길 25-2

시즈닝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다. 한옥이어서 외관이 고풍스럽고, 내부는 차분하고 깔끔한 느낌이다. 파스타와 스파게티 맛집으로 알려져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한다. 대표 메뉴는 새우와 칠리소스가 어우러진 프라운 라이스다. 고추기름과 새우로 맛을 낸 크림 파스타도 별미다. 이 밖에 세 가지 버섯과 오일로 만든 트러플 파스타, 베이컨과 라구 소스 등으로 요리한 라구 파스타 등도 맛볼 수 있다. 경주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대릉원돌담길, 첨성대가 있다.

소옥

소옥

6.5Km    2024-08-01

경상북도 경주시 포석로1050번길 29

소옥은 황리단길에 있는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소갈비찜이다. 이 밖에 옥 갈비찜, 감태 주먹밥 등을 맛볼 수 있다. 전용 주차장은 없지만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공영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음식점 주변에는 첨성대, 경주 교촌한옥마을, 국립경주박물관 등 경주의 유명 관광지가 많다.

신라제면

신라제면

6.5Km    2024-07-05

경상북도 경주시 첨성로81번길 22-11

신라제면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다. 한옥으로 지어진 덕분에 외관에서 고풍스러운 멋이 풍긴다.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도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낙지볶음과 칼국수가 어우러진 신라칼낙지다. 이 밖에 생바지락 칼국수, 감자전, 고기만두, 김치만두 등을 판다. 경주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첨성대를 비롯해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교촌한옥마을 등 경주의 유명 관광지가 많다.

여미온 황리단길점

여미온 황리단길점

6.5Km    2025-01-15

경상북도 경주시 첨성로81번길 22-12

여미온 황리단길점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위치하고 있다. 한옥으로 지어진 덕분에 외관에서 고풍스러운 멋이 풍긴다.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도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경주한우를 얇게 잘라 부쳐낸 고소한 육전과 육회비빔밥이다. 이 밖에 육회, 육회물비빔냉면, 양념 소갈비 비빔밥 등도 있다. 황리단길에는 먹거리와 볼거리가 다양한데 한옥을 테마로 한 카페들이 많고, 첨성대, 대릉원 등 문화재를 함께 관광하기 좋다.

델레테테

6.5Km    2025-03-06

경상북도 경주시 첨성로99번길 25-6 (황남동)

델레테테는 경북 경주 황리단길에 위치한 카페로 유럽풍의 인테리어와 아늑한 분위기로 많은 방문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주변에 대릉원, 첨성대, 월정교, 경주 동궁과 월지(안압지) 등 유명한 역사 유적지가 있어 관광 코스로 인기가 좋다. 델레테테는 경주 여행 중 휴식을 취하거나 인생샷을 남길 수 있는 장소로 각광 받고 있으며, 특히 젊은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있는 인기 카페이다.

경주 재매정

경주 재매정

6.5Km    2024-11-12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경주 재매정은 신라의 김유신 장군 집에 있던 우물이다. 화강암을 벽돌처럼 쌓아 올려 만들었는데, 이 일대가 장군의 집이 있었던 자리로 추정된다. 김유신 장군이 오랜 기간을 전쟁터에서 보내고 돌아오다가 다시 전쟁터로 떠날 때, 자신의 집 앞을 지나면서 가족들을 보지도 않고 우물물을 떠 오게 하여 말위에서 마시고는, “우리 집 물맛은 옛날 그대로구나”하고 떠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1993년 발굴조사에서 재매정을 중심으로 사방 70m 지역을 발굴하였다. 우물의 깊이는 5.7m이며, 가장 넓은 부분은 1.8m이고, 바닥의 지름이 1.2m로 벽돌같이 다듬은 돌로 만들었다. 우물 옆에 비각이 있고 비각안에 조선 고종 9년(1872)에 이만운이 쓴 비석이 있다.

휴휴당

6.5Km    2024-11-27

경상북도 경주시 첨성로99번길 25-10

1970년대 한옥을 수리한 모던 한옥 스테이이다.

락희원

6.6Km    2024-11-26

경상북도 경주시 포석로1050번길 43
010-4145-6295

경상북도 경주에 위치한 락희원은 전통한옥민박으로 황토방을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