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래횟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돌고래횟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돌고래횟집

돌고래횟집

17.9 Km    2     2021-03-13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영호길 42-13
061-533-1450

산지 활어회를 저렴한 가격으로 맛 볼수 있다. 대표메뉴는 모둠회이다.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제일회식당

제일회식당

18.0 Km    2     2024-04-04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로 13 제일회식당

제일회식당은 전라남도 무안군 목서리에 있는 낙지요리 전문점이다. 낙지호롱, 연포탕, 낙지비빔밥 등이 있지만 그중 최고는 기절 낙지이다. 기절 낙지란 낙지를 대나무 바구니에 넣고 비벼 점액질을 알맞게 뺀 낙지를 말한다. 수요미식회에 소개되면서 기절 낙지의 인기가 전국으로 퍼졌다. 오래된 외관이 정겹고 마을을 지켜온 노포로써 현지인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식당 왼쪽에는 아주 오래된 창고가 있는데 옛날에는 극장이 있었던 곳이라 한다. 제일 회식당은 이렇게 작은 읍내에 있어 식사 후 동네 구경만으로도 시간 여행을 하는 것과 같다. 식당 뒤쪽 주차장에는 오랜 세월을 견뎌온 팽나무가 아름답다.

김완장군묘소 및 신도비

18.1 Km    16717     2023-10-30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만수리

조선 중기 명장 양무공 김완(1577∼1635) 장군의 묘소이다. 원래 해남면 동북선산에 있던 것을 숙종 44년(1718) 지금의 장소로 옮겨왔다. 묘전에는 묘비·상석·향로석 등을 설치하였고, 문인석·망주석·동자석을 각각 쌍으로 하여 양옆에 세웠다. 묘역에서 150m 떨어진 곳에 세운 신도비(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는 순조 5년(1905)에 세운 것으로, 묘를 이장하면서 세운 것으로 보인다. 신도비의 글은 박세채가 글을 짓고, 최석정이 전서하였으며, 조명교가 글씨를 썼다. 묘소의 하단에는 김완 장군이 아끼던 말의 묘인 준마총이 있다. 양무공 김완 장군은 광해군 7년(1615)에 과거급제하여 고산진절제사 등을 거쳐 황해도 병마절도사에 올랐다. 이후 여러 공이 인정되어 죽은 후 병조판서로 벼슬이 높여졌다. 임진왜란 때 전라도 병마절도사 이복남 장군 아래에서 용맹을 떨쳤고, 인조 12년(1624)에는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가마솥나주곰탕

가마솥나주곰탕

18.2 Km    2     2021-03-13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관광레저로 1737
061-537-5205

전라도 나주의 향토음식이다.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곰탕이다.

무안 박봉기 가옥

무안 박봉기 가옥

18.2 Km    15803     2024-05-31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수양길 104-13

박봉기 가옥은 1927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지방 부호의 전형적인 가옥이다. 야트막한 구릉을 배산한 마을의 안쪽 깊숙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주위에는 대나무 숲이 둘러싸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가 건립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고 오랫동안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는 장소로 전통적인 주거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안채는 일자형 겹집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이며, 2고주 5량의 구조로, 이것은 당시 지방 부농주택의 일반 형태이다. 가운데 안대청과 바깥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작은방과 고방을 두고 오른쪽에 안방과 부엌을 두었다. 사랑채는 一 자형으로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방을 배치하였으며, 전퇴와 쪽마루를 두었다. 기록에 의하면 사랑채는 1927년에 지었음을 알 수 있다.

시골장터국밥

시골장터국밥

18.3 Km    2     2021-03-13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관광레저로 1715
061-537-1234

국밥은 한국식 소고기 국물 요리로 밥이 들어가 있다 대표메뉴는 한우소머리국밥이다.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우리기사식당

우리기사식당

18.3 Km    2     2022-11-28

전라남도 해남군 관광레저로 1707 우리기사식당

신선한 식재료로 맛깔스럽게 요리하는 우리기사식당은 오전 6시~11시까지 조식 백반을 먹을 수 있는 식당이다. 넓은 앞마당이 모두 주차장이어서 현지인은 물론 여행객도 방문하기에 좋다. 식당 안 탁 트인 통창에서 바라보는 남해의 전경은 맛있는 음식과 어우러져 식욕을 자극한다. 기사식당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10여 가지가 넘는 반찬이 나오는 백반도 맛있지만, 조림이나 탕도 맛있다는 평가다. 메뉴 중 진도 알배기 해물모둠게장은 신선한 꽃게, 전복, 새우, 가리비, 주꾸미 위에 청양고추와 깨를 듬뿍 올려 나오는데, 깔끔하게 매콤한 맛에 비리지 않아 비주얼도 맛도 모두 훌륭하다. 해남의 신선한 해산물 요리를 바다와 함께 즐길 수 있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신창손순대국밥

신창손순대국밥

18.5 Km    0     2023-12-14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관광레저로 1673

목포와 가까운 곳에 있지만, 행정구역 상 해남군에 위치한 신창손순대국밥집은 옛 금호도의 바다전망이 좋은 곳에 자리한다. 깔끔한 현대식 벽돌집으로 창문 너머로 바닷물이 넘실거린다. 바다 전망이 좋기로 유명한 동시에 맛도 좋아서 여행객들 사이에 '전망 좋은 순댓국집'으로 소문이 자자하다. 좋은 재료로 직접 만든 순대와 한정된 수량의 내장탕이 특히 인기다. 점심시간에는 인근 직장인들이 줄 서서 먹을 정도로 붐비기 때문에 가급적 점심시간을 피해서 갈 것을 추천한다. 종편 프로그램 백반기행에 소개된 바 있다.

영암 장천리 선사주거지

영암 장천리 선사주거지

18.7 Km    18407     2023-05-17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선사주거로 308

* 선사시대의 집터, 영암 장천리 선사주거지 *

장천리 선사 주거지는 서호면 면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500m 떨어진 장천리 괴음마을 앞 도로변에 자리하고 있다. 1984년 목포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움집터 11기, 굴립주건물 1기, 고인돌 4기가 조사되었다.주거지의 평면형태는 원형내지 지름 4.3∼5.2m의 움집터로 형태는 원형 내지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깊이는 20~30cm 정도로 삭평이 심한 편이다. 바닥은 점토를 깔거나 단단하게 다진 흔적이 있으며, 다른 송국리형 집터와는 달리 집터 시이의 중복도 심한 편이다. 화로터나 출입구가 없는 것이 특색이다. 굴립주건물은 1칸 ·3칸 규모이나 긴변의 칸 사이에는 보조기둥을 설치하고 있다.

* 장천리 선사주거지의 출토 유물 *

집터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항아리형, 사발형의 민무늬 토기, 갈돌, 화살촉, 삼각형돌칼, 가락바퀴, 턱자귀, 끌대패날 등의 석기류가 있다. 이들 출토유물과 움집터는 한반도 서남부지역에서만 보이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던 청동기 시대의 집자리이다.

자산서원

18.8 Km    17411     2024-01-24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곤재로 688

정개청이 1589년 일어난 기축옥사(정여립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문인들이 스승의 신원운동을 전개하면서 1616년 건립하였다. 1678년 조정으로부터 자산서원이라는 사액을 받았으나 계속되는 남인과 서인의 당쟁으로 훼철과 복설(復說)을 되풀이하였다. 이후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이르기까지 무려 5차례의 훼철을 당하였고 8·15 해방 이후 1957년에 복설 된 뒤 1988년 대규모의 복원공사를 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1987년 6월 1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정개청 문집 《곤재 우득록(愚得綠)》 목판이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