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자정묵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왕자정묵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왕자정묵밥

왕자정묵밥

15.3Km    2025-03-26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북문길 55
032-933-7807

왕자정묵밥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자리한 묵 요리 전문점이다. 고려궁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위치라 사계절 내내 경관이 좋지만 특히 봄에는 벚꽃이 만개해 황홀함을 더해준다. 전체 수용인원은 130명 정도로 모두 온돌식 좌석이다. 대표 메뉴는 묵밥이다. 피자팬에 담겨 나오는 도토리 전은 다른 곳에서는 맛볼 수 없는 별미이며 도토리무침 또한 맛있다.

꼬꼬오리주물럭

꼬꼬오리주물럭

15.3Km    2024-07-04

경기도 김포시 흥신로239번길 49

꼬꼬오리주물럭은 김포시 양촌읍 마송아파트 단지 부근에 있는 오리주물럭 맛집이다. 신관과 구관이 있으며, 신관은 새로 확장 공사를 하여 크고 널찍하다. 주차장도 넓어 주차하기엔 별 어려움이 없다. 깔끔한 외관의 신관 2층에선 탁 트인 외부 전망을 볼 수 있다. 이 식당은 손님이 직접 주문하고 고기와 재료를 받아와 식탁에서 조리해 먹는 방식이 독특한 곳이다. 직원은 불만 피워주고, 나머지 조리는 모두 손님들이 직접 하는 만큼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메뉴는 오리 주물럭만 제공되며 공깃밥, 채소, 버섯은 별도로 주문해야 한다. 인근에 마송공원이 있어 식사 후 산책하기 좋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안내견만 가능)

토담마을

15.4Km    2025-03-14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삼산남로 910
032-932-1020

토담마을은 인천 강화군 삼산면에 위치하고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야생화를 감상할 수 있는 초가지붕 건물로 이루어져 있어 소박하고 정겨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내부는 넓진 않지만 아늑한 분위기로 좌석이 여유롭게 배치되어 있어 편안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다. 대표 메뉴는 밴댕이회무침정식으로 즉석솥밥, 된장찌개, 산나물반찬, 순무김치, 누룽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 낙지볶음정식, 꽃게탕, 해물파전, 도토리묵무침, 녹두전 등 다양한 메뉴를 맛볼 수 있다.

마리호텔

15.4Km    2024-07-23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9로75번길 190 (구래동)

김포 마리호텔은 구래역 1, 4번 출구에서 300m 거리에 위치한 부띠크 호텔이다. 다양한 컨셉의 유니크한 인테리어로 새롭게 리뉴얼한 이곳은 여행객과 비즈니스맨에게 안락한 휴식을 제공한다. 지하 1~2층 130대 이상의 대형 주차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전 객실 정기 소독을 통한 방역 시스템과 주중 무료 조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객실에는 무료 와이파이와 PC가 비치되어 있으며 커플 PC룸, 프리미엄, 스위트룸에는 커플 PC를 사용할 수 있다.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 호텔 로비에는 커피와 음료 간단한 간식이 준비되어 있으며 24시간 안내데스크를 운영하고 있다. 호텔 주변에는 맛집, 카페, 이마트 등의 편의 시설이 있으며 한강신도시호수공원이 있어 산책을 즐기기에도 안성맞춤이다.

위딜펜션

위딜펜션

15.4Km    2024-10-23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삼산남로 902-19
032-932-8870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위딜 펜션은 석모도의 빼어난 도서 경관과 해상 풍광, 그리고 산들이 어우러져 있는 자연을 벗 삼는 펜션이다. 또한 서쪽으로는 휴양지와 생태교육장으로 유명한 민머루 해수욕장이 있어 갯벌 체험 및 멋진 서해의 일몰을 감상할 수 있다. 작은 정원이 있어 가볍게 산책할 수 있고 펜션에서 바다를 바라보며 경관을 즐길 수 있다. 주변에 민머루 해수욕장, 보문사, 장구너머, 시월애 촬영지 등의 관광지가 있다.

대포서원(김포)

대포서원(김포)

15.4Km    2024-12-09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황금로23번길 30-32

대포서원은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야산에 위치하였으며, 조선 전기의 대학자이자 문신인 눌재 양성지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양성지는 공조판서, 대사헌을 거쳐 홍문관 대제학 등을 역임한 당애 최고의 문장가이자 사상가로 세종부터 성종까지 여섯 임금을 섬기며 경륜 있는 정치가로 활약하였다. 조선 시대 책 동문선,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등의 편찬에 기여했으며, 지리와 지도 전문가로도 뚜렷한 족적을 남겼고, 홍문관과 규장각의 설치를 주장하기도 했다. 양성지는 1482년에 68세를 일기로 통진현 대포곡에 묻혔다. 1973년 양촌면 대포리에 있는 양성지의 묘소 밑에 사우를 창건하였으며, 그곳 지명을 따서 대포서원이라 했다. 서원은 강학 공간인 동재와 서재, 제향 공간인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형적인 전학 후묘의 구조이다. 매년 4월 25일 이곳에서는 양성지를 기리는 대제가 치러진다.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15.4Km    2025-03-18

인천광역시 중구 제2터미널대로 446

2001년 개항 이래 세계 공항서비스 평가에서 12년 연속 1위를 하며 세계인들에게 인정받은 인천국제공항이 2018년 제2여객터미널을 공식 개장했다. 2009년 공사에 착수한 지 9년 만에 문을 연 제2여객터미널은 아트포트(Artport·Art+Airport) 개념의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꾸며져 볼거리, 즐길 거리가 가득하다. 승객을 위한 편의도 한층 업그레이드되어 무인탑승수속기와 스마트카운터에서 자동 수화물 위탁을 이용하여 탑승시간을 줄이며 안내로봇, 양방향 정보안내 등 각종 첨단기술로 여행객 안내를 강화하고 항공보안 또한 강화했다. 현저히 줄어든 탑승수속시간에는 공항에서 제공하는 각종 문화공간 및 볼거리를 즐길 수 있다. 전국에서 엄선한 맛집이 모여있는 ‘한식미담길’부터 프랜차이즈 식당과 다양한 디저트 카페까지 입점해 있으며, 실내정원과 각종 설치미술, 전시관이 꾸며져 있어 문화예술공간으로써의 기능도 갖추고 있다. 또한, 한국전통문화센터 앞에서 각종 공연도 펼쳐진다.

인생화로

인생화로

15.4Km    2025-04-17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9로12번길 7-15 (구래동)

인생화로는 김포도시철도 구래역 4번 출구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프리미엄 생고기 전문점이다. 새롭게 문을 열어 깔끔한 분위기에서 식사할 수 있다. 국내산 프리미엄 한돈은 물론 프라임 등급 소고기까지 맛볼 수 있다. 고기를 주문하면 꽃게, 새우, 호박, 무를 넣어 끓인 시원하고 칼칼한 매운탕이 서비스로 제공된다. 대표 메뉴는 ‘인생 통 삼겹살’로 고기가 가장 맛있게 숙성할 수 있는 온도와 습도에서 240시간을 거친 후 숯불에 구워 부드럽고 촉촉한 식감을 느낄 수 있다.

청춘 롤러스케이트

청춘 롤러스케이트

15.5Km    2024-01-15

경기도 김포시 구래동

김포시 구래동에 위치한 실내 롤러스케이트장이다. 건물 한 개 층을 모두 롤러스케이트장으로 사용하는 만큼 넓은 실내를 자랑한다. 2시간 이용권이나 종일 이용권 두 가지가 있으며 이용권 안에는 롤러스케이트와 헬멧, 보호대 대여가 포함된다. 빠른 스피드를 이용한 놀이 공간이기 문에 안전 장비는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신나는 음악을 들으며 가족이나 친구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에 좋다. 스케이트장 안에는 간식이나 음료를 먹을 수 있는 매점이 있어 출출한 배를 채울 수 있다. 자유 이용 외에도 초보자를 위한 당일 강습과 정규 강습이 있으니 스케이트를 좀 더 체계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사람은 신청하면 된다. 함께 방문한 부모님 세대에게 이곳은 추억의 공간이자 자녀에게는 소중한 추억을 만들어가는 공간이다.

강화향교

15.5Km    2024-06-17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향교길 58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인 강화향교는 지방의 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한 교육기관이다. 고려 1127년(인종 5) 현재 내가면 고천리에 창건되었다. 1232년(고종 19) 강화읍 갑곶리로 옮겼다가 1259년(고종 46) 서도면 볼음도로 옮겼다. 1624년(인조 2) 당시 강화유수였던 심열이 송악산 기슭으로 또다시 향교를 옮겼다. 1629년(인조 7) 명륜당을 세워 학교로 승격시켜 학궁이라 칭했다. 1673년(현종 14) 유수 민시중이 남산 근처로 옮겼다가 1731년(인조 9) 유수 유척기가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강화향교의 건축물은 대성전, 동무와 서무, 내삼문, 명륜당, 동재와 서재, 외삼문 등으로 구성돼 있다. 대성전은 5성과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돼 있어 봄, 가을에 제사를 거행한다. 명륜당은 향교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던 강당이다. 국가로부터 토지·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담당하였으나 현재는 교육 기능은 사라지고 배향 기능만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