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Km 2025-01-09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대로 341
전라남도에서 해상 교통의 중요한 위치에 있는 완도항은 등대 입구까지 차량 진입이 가능하다. 방파제에서 낚시도 할 수 있다. 갯바위 위로 데크를 이용해 조성한 계단을 올라가면 완도타워로 등산로가 연결된다. 완도타워를 오르면서 완도항과 완도 시내 광경을 볼 수 있다. 완도항은 여객선 터미널과 화물부두, 해양경찰 부두와 함께 맨 끝자락 레저용으로 이용되는 소형 선박들이 정박하는 부두가 있다. 총 3개의 등대가 설치된 완도항의 등대가 레저용 선박이 정박하는 부두 방파제에 설치되어 있다. 항만법상 1종 항으로 100여 척의 레저용 선박이 정박한 아름다운 풍경과 멀리 바다 풍경, 빨간등대, 하얀등대 등 볼거리가 풍부하다.
1.0Km 2024-12-30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해변공원로124번길 26
완도는 우리나라 최대의 수산군으로 가장 청정한 바다에서 맛 좋은 활어가 잡히고 있다. 완도항 북쪽에 있는 완도 금일 수협활·선어위판장은 이러한 완도와 인근 해역에서 잡히는 활어와 선어를 판매하고 있다. 매일 아침 완도군에서 어획되는 수산물들을 경매하는 위판장 겸, 위판 받은 물건을 중도매인들이 판매도 하는 곳이다. 오전 8시와 오후 2시부터 위판이 시작되며 일반인은 위판에 참여할 수 없지만, 구경은 가능하다. 위판이 끝나면 일반인도 중매인으로부터 그날 경매된 싱싱한 활어를 구매할 수 있으며 부근 횟집에서 실비를 받고 생선회를 떠준다. 완도 금일 수협수상시장은 불법 어업 어획물 또는 수입품 물품에 대해서는 위판 및 판매하지 않으며 활어위판장 2층에는 건어물을 판매하는 판매업소가 50여 곳 자리하고 있다. 위판장 바로 앞 완도(씨월드) 방파제에는 노래하는 등대가 있어 낮에도 보기 좋지만 해가 지면 조명이 켜진 등대를 보는 것도 좋다.
1.1Km 2024-11-28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가용리
완도 전복거리 앞에 위치하였으며 노래하는 등대로 알려져 있다. 완도 씨월드방파제 등대의 원래 명칭은 완도항 방파제 등대인데 완도항 북쪽의 완도 관광호텔(구 씨월드 호텔) 앞에 위치해 있다고 해서 완도 씨월드방파제 등대로 불려지고 있다. 이 등대는 고유의 기능뿐만 아니라 관광자원으로 활용코자 설계 현상공모를 걸쳐 설치되었다. 등대의 모양은 단순한 사각판을 나선형으로 켜켜이 쌓아 율동적인 조형성이 눈길을 끌며 이는 배의 움직임과 출렁이는 파도를 표현하였다고 한다. 또한, 터치패드 작동으로 음악이 매일 8시부터 22시까지 흘러나와 파도소리와 협연을 펼치는 정서적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파란 바다와 하늘을 배경으로 빨간 등대는 나선형의 형태감이 역동적인 이미지를 주며 밤이 되면 씨월드방파제 등대 사각판 모서리에 조명이 6초마다 두 번 연속 붉은색 불빛이 깜빡이며 마치 춤을 추 듯 유연하게 회오리치는 경관이 특별한 볼거리를 선사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전형적인 등대 건물이 아닌 독특한 외관과 강렬한 색감이 인상적인 등대이다.
1.1Km 2025-03-16
전라남도 완도군 청해진남로 101-1 신흥사
완도읍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신흥사는 완도군 완도읍 성내리 168번지 남망산(南望山)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1932년 김성렬 스님이 불로사(不老寺)라는 절로 창건했으나 중간에 신흥사(新興寺)로 절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완도읍에서 신흥사는 차를 이용하지 않아도 닿을 수 있는 아주 가까운 곳이다. 도심서 가깝다니 도심 속 혼잡함을 떠올리기 쉬우나, 속세의 혼잡함과 번거로움은 이미 떨쳐버린 곳이 신흥사다. 또한 신흥사에서는 매년 아이들에게 ‘장보고 학교’를 열어주고, 시민들에게 도예 공방을 열어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동안 여럿스님이 신흥사에서 수행을 하셨는데 현재 백양사(白羊寺) 방장이신 수산 지종 큰스님이 대표적이다. 신흥사는 완도의 전망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완도 전망뿐 아니라 야경도 볼 수 있다. 맑은 날이면 저 멀리 신지나 대둔산의 경치도 볼 수 있고, 어둠 박차고 올라오는 검붉은 태양의 떠오름도 볼 수 있다. 한마디로 도심과 바다가 어우러진 곳이 신흥사이다.
1.1Km 2024-12-04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해변공원로 137
완도는 섬 어디든 낚싯대만 드리우면 되는 바다낚시의 천국이다. 주요 낚시터로는 완도권, 신지권, 여서도, 소인권 등으로 나뉘며 6월~11월에는 완도권과 신지권에서 감성돔, 볼락, 참돔, 돌돔의 손맛을 느낄 수 있고, 11월에서 다음해 10월까지는 황제도와 장도, 초도, 덕우도에서 농어, 감성돔뿐만 아니라 대형돌돔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 또한, 6월에서 다음해 5월은 여서도에서 방어, 볼락, 돌돔, 감성돔, 농어, 참돔이, 3월에서 5월은 농어, 감성돔, 볼락, 대형벵에돔이 많이 잡히고 소인권에서는 3월에서 12월 동안 감성돔, 참돔, 볼락, 농어, 돌돔 등이 주로 잡혀, 완도의 바다 어느 곳이든 다양한 어종을 잡을 수 있다. 특히, 보길도에서 즐기는 바다낚시는 남해안의 아름다운 다도해의 바다로 배를 타고 나가 보길도의 청정해역에서 싱싱한 고기를 잡을 수 있는 짜릿한 손맛과 선상에서 갓 잡아 올린 횟감을 맛볼 수 있는 즐거움이 있다.
1.1Km 2024-06-13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개포로159번길 55
완도문화예술의전당은 행사 및 다양한 장르의 공연(뮤지컬, 연극, 연주회 등)을 진행 할 수 있는 공연장(498석), 소규모 행사 및 공연이 가능한 다목적실(130석)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문화창작 및 취미활동 공간인 문화사랑방 1개소, 평생학습실 1개소, 장난감도서관에서는 회원에 한해 유아동 장난감을 대여해 주며, 군민광장이 마련되어 있다. 지역 군민들을 위한 공연, 전시 등 문화행사가 열리는 공간으로 활용되며 빙그레 시네마가 있어 최신 상영작을 관람할 수 있다. 문화사랑방과 평생학습실의 경우는 대관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이용 시 참조하면 된다.
1.6Km 2025-04-16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대로 330
완도읍 동망산 정상 부근 5만 3천여㎡에 관광 타워와 광장, 산책로, 쉼터 등을 갖춘 일출공원에 건설된 76m 높이의 완도 타워는 완도의 환상적인 일출과 일몰은 물론 완도항과 신지대교 등 야경을 365일 감상할 수 있다. 서편제의 촬영지인 청산도, 보길도, 노화도, 소안도, 신지도, 고금도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며, 맑은 날엔 제주도, 거문도까지도 볼 수 있다. 타워 바로 옆에는 봉수대가 있고, 봉수대 바로 옆으로 동망산을 일주할 수 있는 산책로가 있다.
완도타워 1층에는 특산품 전시장, 크로마키 포토존(영상 합성사진), 휴게공간, 휴게음식점 겸 매점, 영상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영상시설에는 ‘건강의 섬’, ‘Slow City’, ‘완도의 소리’를 주제로 완도를 상징하는 여러 가지 영상과 소리로 관람객들에게 완도를 소개하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2층에는 이미지 벤치, 포토존, 완도의 인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망 덱에는 완도의 인물인 최경주 선수와 장보고 대사를 모형으로 제작하여 관람객들에게 사진촬영을 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였다. 전망층에는 다도해의 아름다운 모습을 촬영한 영상 모니터와 전망 쌍안경이 설치되어 있다. 아침 해돋이가 장관이며 저 멀리 펼쳐지는 다도해의 전경과 제주도가 한눈에 들어온다. 야간에는 완도타워의 경관조명이 켜지고, 매일 환상적인 레이저쇼가 연출된다.
3.4Km 2025-03-16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청해진로 1565-2
장보고는 완도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내고 당나라로 건너가 30세의 나이로 무령군 군중소장이 되었으며, 흥덕왕 3년(828)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적을 소탕하고 해상권을 장악하고 새로운 교역로를 개척하여 동아시아는 물론, 멀리 아랍상인과도 교역하는 등 한민족 최초의 세계인이자 해양상업제국을 건설한 국제적인 무역왕이었다. 장보고 동상은 장보고 어린이공원에 위치해 있으며, 완도 앞바다를 바라보며 우뚝 서있다. 바다를 무대로 활약한 장보고의 해양 개척정신과 진취적인 기상을 표현하고 있으며, 오른손의 칼은 무인을, 왼손의 교역물 품도록은 상인을 상징한 것으로 이는 군인이자 상인이었던 장보고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것이다. 장보고 동상의 아래에 있는 배 형상의 건물 안에는 장보고의 일대기가 기록되어 있는 전시관이 있다. 장보고 동상 어린이 놀이터가 바로 앞에 있고 장보고 동상 최상층 전망대에서 청해진과 장보고대교 등을 조망할 수 있다.
3.4Km 2024-01-29
전라남도 완도군 청해진로 1565-4
빙그레식당은 전라남도 완도군 청해진로, 장보고 어린이공원 근처에 있다. 대표 메뉴는 자연산 생선구이이다. 생선은 제철에 따라 종류가 조금씩 다르게 나오고 직원이 먹기 좋게 살을 발라주기 때문에 편하게 먹을 수 있다. 반건조된 생선들로 조리하여 속살은 촉촉하면서 겉은 쫀쫀한 식감이다. 주문을 하고 나면 밑반찬을 먼저 주는데 전라도답게 가짓수와 양이 많다. 된장국에는 바다 맛이 물씬 나는 해초가 듬뿍 들어 있어 생선구이의 기름지고 느끼한 맛을 잘 눌러준다. 매장은 규모가 큰 편이고 테이블 수도 많아 단체로 방문하기도 좋다.
3.8Km 2025-03-16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죽청길 94-73
완도향교는 광무 1년(1897)에 향토 유사 김광선이 향교 건립을 추진하여 지었다. 1896년에 완도가 설군 되고, 그해 5월 15일에 군민대회가 열려 향교의 설립과 양사재의 설치가 결의되었다. 군 초창기에는 재정의 곤란으로 착수할 수 없었으나 당시 탁지부와 제도의 도움으로 건설하게 되었다. 1903년에는 유생의 강학을 위한 양사재를 군수의 도움으로 건설하고, 향안을 작성하였다. 1934년 향교 중수, 1942년 대성전과 명륜당, 그리고 1947년 동재를 중수하였다. 건물 배치는 전학후묘 형식을 따르고 있다. 3층 계단식으로 맨 아래에는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 그다음에 학생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맨 위쪽에는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이 있다. 대성전은 새로 벌목한 목재를 사용하여 짓고, 동재는 고금에서, 사재는 신지에서, 명륜당은 노화에서 가져온 목재를 사용하여 각각 지었다. 대성전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명륜당은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