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Km 2025-01-20
전라남도 화순군 원화길 68-23
외국 휴양지의 멋진 카페가 연상되는 건물의 일식 전문점이다. 바로 옆의 카페 앞에는 작은 시냇가가 떠오르는 연못도 있다. 건물 주변의 조경이 잘 되어 있으며, 주차 공간이 넓어 가족 단위 손님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실내가 깨끗하면서도 널찍해서 편안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초밥과 스테이크 종류의 메뉴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어, 골라 먹는 재미가 있다. 아이들을 위한 수제돈까스 등의 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테마카프소풍, 키즈라라, 화순고인돌유적 등이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하기 수월하다.
15.6Km 2025-03-19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45
광주 근교에 있는 도곡 원네스 스파·리조트는 주변 자연의 수려한 풍광과 청정한 공기와 함께 연수, 휴식, 놀이 등 관광의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어 단순한 휴식을 위한 숙박시설이 아닌 다양한 레저를 경험할 수 있는 종합 휴양시설이다. 도곡원네스의 알칼리성 라튬 천연 온천수는 피부 미용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중탕과 사우나를 기본으로 성인 2명 아동 2명 가족 단위 가족이 이용 가능한 가족탕 객실을 10개 운영하고 있으며 여름철 2달 동안 한시적으로 실내 수영장과 야외수영장을 개장하여 워터 슬라이드, 미끄럼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야외수영장을 개장하는 동안 야외 카바나에서 취사와 음식 섭취가 가능하다. 도곡 원네스 스파·리조트에서는 2인에서 10인까지 입실이 가능한 침실과 한실 등 다양한 타입의 숙박시설이 준비되어 있어 온 가족과 친구, 지인들이 함께 숙박하면서 온천욕과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도곡원네스 리조트가 위치한 도곡 온천 지구는 [음식문화거리]가 조성되어 있어서 온천욕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즐길 수 있다는 점도 이곳을 방문해야 하는 이유이다.
15.6Km 2024-02-20
전라남도 장성군 영장로 1800
잔디 위에서 즐길 수 있는 피크닉 감성의 카페다. 카페 앞에 펼쳐진 잔디 광장은 마치 공원을 연상케 하고, 잔디밭 곳곳에 펼쳐진 파라솔 테이블은 피크닉을 연상시킨다. 나들이 나온 주민들은 산책 코스에 이곳을 포함시켜 산책과 피크닉을 동시에 즐긴다고 한다. 이 집의 시그니처 메뉴는 바질토마토 스파클링으로, 스파클링 음료를 즐겨 찾는 손님들이 특히 많다. 유아 시설을 갖추고 있어 어린이와 방문하기 편하다. 주변에 삼계공원, 장성상무평화공원, 관수정 등이 있어 여행 시 함께 둘러보길 추천한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목줄, 배변봉투 지참, 야외출입 불가, 주인이 안고 주위손님이 불편하지 않는 선에서 실내 출입 가능)
15.7Km 2025-03-21
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48-8
너릿재공원은 광주와 화순 경계선에 있는 공원으로 너릿재 옛길과 유아숲이 함께 있는 곳이다. 너릿재 옛길은 1971년 너릿재 터널이 뚫리기 전까지 아주 오래전부터 광주와 화순을 잇는 연결도로로 2011년 4월부터 벚꽃길 조성, 배수로 정비, 사면정비, 차량통제, 순환산책로 조성, 편의시설 설치 등 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쾌적한 너릿재 명품숲길로 2012년 7월 재탄생하였다. 벚꽃과 수목이 울창한 치유의 숲으로 가족이 산책하기에 적합한 휴식공간이다. 또한 너릿재 유아숲은 도시의 어린이들이 계절별 자연의 변화를 몸소 체험하고 숲 교육을 통해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열린 체험 공간을 조성한 곳으로 숲 속 연못, 곤충 관찰대, 외줄 타기 체험장, 트리하우스 등 다양한 체험 시설과 휴식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5.7Km 2024-11-25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온천1길 35
키즈라라는 아이들(kids)을 뜻하는 키즈와 흥겹고 즐거운 삶을 살 길이라는 뜻을 담은 순우리말 라라를 더해 만들어진 테마파크이다. 교육과 재미가 결합된 에듀테인먼트 테마파크로 다양한 체험과 놀이를 통해 재미는 물론, 적성과 직업관을 파악할 수 있는 어린이 테마파크와 어린이들을 위한 직업체험관, 영유아를 위한 영유아체험관, 잔디 광장 등 아이부터 어른까지 가족구성원이 모두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되어 있다. 화순군뿐만 아니라 광주, 전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초등생 가족을 위한 교육 문화 쉼터 공간이다. 어린이 직업체험관에는 용기(경찰서, 응급구조센터, 소방서, 특수부대), 지혜(에너지팜, 공룡연구소, AI 로봇연구소, 알버트 AR 코딩), 배려(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여행사, 한방병원, 동물병원), 창의(TV방송국, 1인 방송국, 더빙스튜디오, 아이스크림, 쿠키공방)등을 체험할 수 있으며, 영유아 체험관에서는 슈퍼잭 시네마, 레오박사 몰랑몰랑, 슈퍼잭 미니룸, 물고기 탈출 작전 등 놀이를 겸한 다양한 체험 놀이를 할 수있다. 힐링존에는 푸드광장과 생일 잔치와 각종 모임 등 파티와 이벤트 공간과 어른과 아이들 모두 즐길 수 있는 가족 단위 휴식 공간이 조성되어 있다.
15.7Km 2024-05-22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2
도래전통한옥마을은 풍산홍씨 집성촌으로 남평 땅은 풍산홍씨 땅을 밟지 않고는 못 지나간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부자 마을이라고 한다. 홍씨 집성촌은 15세기 경에 형성된 500년이 넘는 마을로 가족단위의 관광객을 위한 체류형 전통문화 체험마을이다. 마을 입구의 [도래마을]임을 알리는 표지석을 시작으로 마을의 문화재로 지정된 고택 3채와 더불어 마을 연못과 정자, 골목길의 담장들을 가볍게 둘러볼만하다. 주차장 바로 옆의 조선시대 학당으로 이용되었다는 영호정과 남도에서도 매우 큰 규모의 양벽정이 고즈넉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도래마을의 또 다른 대표 가옥인 서기당 홍기창 가옥, 홍기헌 가옥이 위치해 있다. 마을이 전반적으로 잘 정비되어 있고 도래마을 옛집, 계은정, 괘고정, 모남정 등 유서깊은 한옥과 정자가 남아있어 양반 동네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도지정 문화재로 지정된 서기당은 한옥 스테이로 운영하다 보니 투숙객이 아니면 안마당 풍경을 들여다보기 어렵다. 이곳에서 1km옆에 나주산림자원연구소가 위치해 있어 같이 방문하는 것도 좋다.
15.7Km 2025-03-31
전라남도 나주시 동력길 20-1
010-4612-4232
나주시 도래한옥마을에 자리한 ‘산에는 꽃이피네’ 는 못을 하나도 사용하지 않고 양질의 목재로 지은 100여 년 된 고택이다. 객실마다 주방과 화장실을 갖췄고, 단열에도 꼼꼼히 신경을 썼다. 고운 한지와 오랜 소품들은 아늑한 정취를 더하고, 오래된 툇마루와 60년이 넘은 단풍나무는 세월의 맛을 선물한다. 동네에 문화재가 많아 주말에 주인장이 동네 안내를 해주기도 한다. 인근에 나주 메타세쿼이아 길이 있어 산림욕을 즐기기 좋다.
15.8Km 2025-03-24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050
광주 충민사는 정묘호란 당시 안주성에서 청나라군과 싸우다 순절한 전상의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전상의 장군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운 장군으로 이후 난이 끝난 후, 곧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추증되고 이어서 안주로부터 출생지인 광주로 시신을 옮기어 동년 7월 26일 이곳에서 서쪽으로 보이는 평두산에 예장하였다. 1977년 광주 지역민들의 뜻을 모아 장군의 묘소를 지방문화재 기념물로 지정하고 1985년 충민사를 준공하였다. 이곳 충민사에는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을 비롯, 수의문, 정려각, 장군의 유물(갑옷, 투구, 활, 칼, 교지, 완문, 완약)을 전시한 유물관 등이 있다. 또한 광주고등학교에서 사구동에 이르는 거리를 구성로로 명명하여 그 이름을 기리고 있다.
15.8Km 2025-03-21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증심사는 광주지역의 대표적인 불교도량으로 무등산 서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통일신라 때 고승 철감선사 도윤이 9세기 중엽에 세운 절로 고려 선종 때(1094년) 혜소국사가 고쳐 짓고 조선 세종 때 김방이 삼창하였는데 이때 오백나한의 불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09년(광해군 1)에 석경·수장·도광의 3대 선사가 4창했다고 한다. 그 후 신도들의 정성으로 몇 차례 보수가 이루어졌으나, 6 ·25 전쟁 때 많은 부분이 소실되었다가 1970년에야 대웅전을 비롯한 건물들이 복구되었다. 증심사의 유물로는 오백전과 비로전(사성전)에 봉안된 철조비로자나불 좌상(보물), 신라 말기의 석탑인 증심사 삼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범종각, 각 층의 4면에 범자가 새겨진 범자칠층석탑 등 수많은 문화재가 있다. 특히 오백전은 무등산에 남아 있는 사찰 건물들 중 현재 가장 오래된 조선 초기(세종 25년)의 건물로 강진의 무위사 극락전과 계통을 같이 하는 정면 3간, 측면 3간의 단층 맞배지붕의 다심포 양식으로 그 희귀성이 돋보인다. 이에 1986년 11월 1일 광주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는 사찰이다. 다양한 템플스테이가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체험프로그램이 있다.
15.8Km 2025-03-24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040
운암서원은 1708년 지역 유림들의 청원으로 광주광역시 북구에 건립된 서원이다. 조선 중기의 학자 해광(海狂) 송제민(宋齊民)이 배향되어 있다. 그 후 1709년(숙종 35)에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던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의 사촌동생이자 조선 선조 때의 유생인 창랑(滄浪) 고경리(高敬履)를 추배 하였다. 서원에는 그 외에도 송타(宋柁), 권필(權鞸), 신필(申鞸), 신한주(申漢柱) 등을 추배 하였다. 운암서원에는 송제민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하여 제작된 ‘해광집(海狂集)’ 목판이 보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