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산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산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성산공원

성산공원

16.8Km    2025-03-05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향교길 89-16

성산공원은 김제시 도심에 있는 성산에 조성된 근린공원으로, 김제 시민을 위한 휴식 공간 및 관광명소로 사랑받고 있는 공원이다. 공원 안의 교동 성산성지는 누가 언제 어떻게 쌓았는지 자세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백제시대에 김제의 주성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남·서·북쪽에 토성으로 쌓은 흔적만 남아 있다. 성산공원에 설치된 체육 시설로는 모래씨름판, 등허리 지압기, 온몸 노젓기, 하늘 걷기, 평행봉, 허리돌기대, 철봉대, 팔굽혀펴기대, 윗몸일으키기 운동대, 배드민턴 코트 2곳 등이 있으며 쉼터, 지압보도블록, 등산로가 정비되어 있다. 성산타워 1층에는 매점과 휴식 공간이 있고, 2층은 김제 문화와 역사를 알 수 있는 문화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3층은 예전에 레스토랑으로 이용하다 현재는 전망대로 이용되고 있다. 이밖에도 성산공원 안에는 충혼탑, 반공희생자 위령비, 이상운 학생 순의비, 서해안 방조제 순직비, 반공투사 고(故) 최주일 추모비 등 다양한 기념비들이 세워져 있다. 또한 최학규 선생 시비를 비롯한 우란회 시비 등이 세워져 있다.

김제장 (2, 7일)

김제장 (2, 7일)

16.9Km    2024-11-29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요촌중길 50
063-540-3616

김제장은 일제강점기 때부터 장이 형성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전통시장이다. 현재는 전문백화점 등에 밀려 서민들의 장이 쇠퇴하고 있으나 2일 7일마다 열리는 장날에는 많은 인파가 북적대며 활기를 띤다. 먹거리, 생활용품, 의류, 잡화 등 다양한 물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아치형 아케이드가 설치되어 있어 비 오는 날에도 편하게 장을 보기 편하다.

용암서원(김제)

16.9Km    2024-09-13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향교길 89-22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용암서원은 김제시 교동 성산 동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며, 바로 우측에는 김제향교가 있다. 조간을 주벽으로 하여 이계맹, 나안세, 윤추, 이세필, 나응삼, 조윤침 등을 배향하고 있는 서원이다. 1488년(성종 19)에 세워졌으나 불에 타 없어지고, 1575년(선조 8)에 다시 지었다. 이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소실되어 1612년(광해군 4) 성산 동쪽 기슭으로 이건하였다. 1868년(고종 5)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911년 김제 유림에 의해 다시 복구되었다. 용암서원의 입구문은 훼손되어 2004년 새로 만들어졌다. 용암서원은 사당과 강당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고,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벽성서원

16.9Km    2024-12-12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향교길 89-16

벽성서원은 1965년 김해 김씨 종친들에 의해서 세워졌다. 건물의 구성은 외삼문인 어덕문, 정면 4칸과 측면 3칸 규모의 팔작지붕 구조의 강당, 내삼문인 경의문, 정면 3칸과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구조인 사당 충인묘로 구성되어 있다. 벽성서원에서는 봄과 가을 두 차례 제사를 지낸다. 이곳에는 신라 김유신을 중심으로 고운 최치원, 죽강 김보, 도산 김선, 모암 김극일, 숙재 허주, 점필재 김종직, 안경공 김영정, 탁영 김일손, 갑봉 김우항 등 기묘명현들과 신진 사류들을 모시고 있다.

군산항

군산항

16.9Km    2025-03-11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소룡동

한반도 서해안의 중심부 금강하구에 위치한 군산항은 호남평야의 양곡을 수송하기 위하여 개항된 이래 물동량의 증가로 인해 많은 시설확충과 각종장비의 현대화가 추진되었으며, 1990년대부터 중국 등과 교역량 증가에 따라 군장신항만 개발을 적극 추진하여 서해 중부권 관문항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부두는 총 7개로 나뉘어 있다. 1, 2, 3부두는 ㄷ자형으로 연결된 부두로서 주로 목재류, 일반잡화, 액체화물 등을 취급하고 있다. 4부두는 자동차 전용부두로 국내 자동차 수출 전진기지로 운영되고 있으며, 5부두는 자동차와 펄프, 곡물, 원목 등을 취급하는 다목적 부두로 운영되고 있다. 6부두는 양곡 및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전용부두로 양곡싸이로 4기와 갠트리크레인 2기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고, 컨테이너 전용부두에서는 중국, 일본, 동남아 등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을 전담하고 있다. 7부두는 5만톤급 2척을 비롯하여 군산항에서 최대 접안능력을 갖춘 부두로 잡화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국제여객부두에는 군산항과 중국 석도항간에 국제여객선이 취항하고 있어 대중국 경제교류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송가면옥 함흥냉면

16.9Km    2024-12-26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중앙로 121-5
063-545-2123

홍어회를 얹어 나오는 회냉면이 주메뉴다. 묵은지를 씻어 함께 구워 먹는 삼겹살과, 만두, 불고기도 있다. 그리고 갈락새전골이라는 특별한 메뉴도 있는데 소갈비와 낙지, 새우를 주 재료로 갖은 채소를 더해 만든 것이다. 여기에 스무 가지쯤 되는 밑반찬이 제공된다. 아름답게 다듬어진 정원과 미닫이문과 창호지, 창문에 내린 발로 옛 정취를 느끼게 해준다.

원각사(김제)

원각사(김제)

17.0Km    2025-03-05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사정거리1길 20

사찰의 창건 및 연혁에 관하여 1984년에 기록된 ‘원각사사적비(圓覺寺事蹟碑)’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인 1927년 일본인 승려 아오키 타로가 일본 동본원사(東本願寺) 계통의 작은 규모의 사찰을 창건했으며, 창건 당시 이름은 진조사였다고 한다. 1945년 8월 해방 직후에 지금의 주지인 춘명 창석이 진조사를 인수하여 원각사(圓覺寺)로 이름을 바꾸고 사세를 점차 확장했다. 1968년에는 대웅전을 짓고, 1970년에는 종각을 새로 지었다. 1975년에는 최연화 화주의 시주로 오층석탑을 봉안했다. 1976년에는 미륵불상을 봉안하였다.

김제향교

김제향교

17.0Km    2024-11-04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향교길 89-3

향교는 공자와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교육기관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근대 교육이 본격화되면서 교육적 기능은 폐지되었다. 1404년(태종 4)에 창건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고 1635년(인조 13)에 중건하였으며, 그 뒤 몇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무, 서무, 동재, 서재, 만화루, 교직사, 내삼문 등이 있다. 김제향교는 유생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석전대제를 알아보고 악[樂]을 배우는 시간으로 해금 강의가 있다.

광주복집

17.0Km    2024-12-19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요촌중1길 8
063-547-3346

복탕은 복어와 버섯 등 각종 야채를 둘러 나온다. 함께 복어회와 복어찜도 제공되며, 동치미와 파강회 등도 함께 나온다.

김제동헌

17.0Km    2025-04-08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동헌4길 46-1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로 전라북도유형문화재이다. 현종 8년(1667)에 외아와 함께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숙종 25년(1699)에 수리한 것으로 전해진다. 여러 차례의 수리와 개축을 거쳐 최근 원형에 가깝게 복원되었다. 원래는 안채, 안행랑채, 안측간 등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안채만이 복원되어 있다. ㄷ자형의 평면으로 조선시대 일반적인 중, 상류 계층의 주택건축과 거의 차이가 없다. 다만 대청마루 등에 굵은 두리기둥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일반 민가보다는 격식을 차리고 있는 점으로 두드러진다. 한단의 낮은 기단 위에 자연석 주초를 놓고, 네모기둥과 두리기둥을 섞어서 세웠으며 홑처마의 소로수장집이다. 거의 모든 주간(柱間)에 두 짝의 세살문을 달았다. 전체적으로 간결한 외관을 갖추었으며, 동헌의 내아 건물로는 얼마 남아 있지 않은 유구 중의 하나이다. 내아의 바로 앞 남쪽에 외아가 있다. 앞면 7칸, 옆면 4칸 규모이며,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가운데의 오른쪽 6칸에 대청이 있고 왼쪽 4칸은 온돌방이다. 외벽은 사방 전체에 같은 형태의 문이 달려있으며, 앞면 가운데 1칸과 뒷면 왼쪽에 출입문을 달았다. 전체적으로 간결하면서도 앞면을 7칸으로 꾸며 위엄 있는 건축형태를 갖추고 있어 조선시대 관아건축의 성격을 잘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