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화서리태콩국수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김명화서리태콩국수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김명화서리태콩국수

김명화서리태콩국수

.0M    2024-12-24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16 구동오피스텔

최상품 국산 서리태로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콩물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식당으로 당일 판매를 원칙으로 하는 곳이다. 사계절 콩국수를 먹을 수 있는 식당으로 여름엔 시원하게 겨울엔 따뜻하게 즐길 수 있고, 팥칼국수는 10월에서 4월 사이에 먹을 수 있다. 깔끔한 실내에 아기 의자까지 별도로 비치되어 있어 가족 모두 편하게 즐길 수 있고 김치맛도 좋다. 감자 피를 사용해서 투명한 만두피에 국산 돼지고기를 아낌없이 채워 빚은 만두도 별미이다. 포장 판매도 가능한데 콩생면과 서리태 콩물을 같이 구매할 수 있다. 주차는 바로 앞 광주공원 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드림피플엔터

드림피플엔터

.0M    2025-03-20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16 (구동)

드림피플엔터는 광주에 위치한 실내스키 교육 시설이다. 이곳은 사계절 내내 실내에서 초·중급 슬로프와 오토슬로프를 이용한 상급 강습을 제공한다. 또한, 무주덕유산리조트와 웰리힐리파크에서 스키캠프 및 현장 교육을 진행한다. 개인과 단체를 위한 스키 및 보드 교육 프로그램과 체험 학습도 제공한다. 드림피플엔터는 스키장비 수선, 보관, 판매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는 곳이다.

광주광역시미디어아트플랫폼 GMAP

광주광역시미디어아트플랫폼 GMAP

49.9M    2025-03-31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10 (구동)

미디어아트플랫폼은 빛고을시민문화관과 아트스페이스에 자리 잡은 6개의 미디어 전시공간으로 미디어아트를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도록 구축한 미디어아트 특화 공간이다.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인 광주광역시가 세계의 창의도시들과 교류·소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미디어아트를 통하여 예술·산업·사회적 자산을 창의적으로 재구축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의 동력으로 활용하고자 조성하였다. 홀로그램 극장, 미디어 놀이터, 홀로그램 파사드, 미디어아트 아카이브, 미디어 338, 디지털 갤러리 등 총 6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홀로그램 극장은 콘텐츠를 입체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곳이며, 미디어 놀이터는 미디어아트를 통하여 어린이의 다중지능을 자극하는 놀이형 체험장이다. 디지털 갤러리는 미디어 놀이터 옆 1층 로비에서 볼 수 있는 미디어아트 전시장이다. 홀로그램 파사드는 국내 최초로 시도된 옥상 홀로그램 영상으로, 빛고을시민문화관 건물 옥상에 설치되어 있다. 미디어아트 아카이브에서는 광주광역시 미디어아트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미디어 338에서는 광주광역시 미디어아트의 현재를 만나 볼 수 있다.

빛고을시민문화관

빛고을시민문화관

77.5M    2025-03-21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7

빛고을시민문화관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의 새로운 복합문화시설로서 시민 정서 함양과 지역 문화예술의 창달을 위해 시민본위의 공연·전시, 쾌적하고 친숙한 문화예술공간 제공에 중점을 두고 운영하고 있다. 옛 구동체육관 부지에 2008년 11월 착공해 2010년 2월에 개관했다. 지하 2층, 지상 4층, 연면적 14,049㎡ 규모이며, 공연장(715석), 전시실, 다목적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지역 주민들을 위한 공연·전시 등 각종 문화행사와 각종 문화강좌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된다.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117.0M    2024-06-17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7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은 안정미와 수려함이 넘치는 고려시대 탑으로 광주서오층석탑으로도 불린다. 광주공원 안에 거북머리와 같이 돌출된 지형 위에 세워져 있다.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은 광주광역시의 석탑 중 유일하게 1층 탑신이 상하로 나뉘었다. 두 탑의 1층 탑신 구성의 차이는 탑신 하부가 4매로 구성되었으며, 내부에 적심이 있다는 점이다. 또한, 광주광역시의 석탑 중 유일하게 1층 탑신 받침이 별석으로 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받침이 아주 두꺼우며, 특히 갑석의 부연은 갑석의 두께와 거의 비슷하다. 쌍탑으로 오해받는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광주 동오층석탑)과 비교하였을 때 기단부 탱주 수, 1층 탑신의 구성, 탑신 받침의 표현 등을 통하여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보다 늦은 시기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두 탑은 정혈의 위치와 수가 같은 점이 주목된다. * 탑과 관련되 전설 탑이 있는 곳은 원래 성거산 또는 성구강이라 불리웠며, 산의 모양이 거북처럼 생겼다고 전해진다. 거북이 광주를 이롭게하는 상서로운 동물이라 생각하여 광주를 떠나지 못하도록 거북의 꼬리 부분인 현향교 위치에 성거사를 지을 때 완성 단계에서 무너지곤 했는데, 도승의 말을 듣고 거북의 목 위치에 오층 석탑을 세운후로 절이 허물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광주공원 선정비군

광주공원 선정비군

163.1M    2025-03-21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 선정비군은 광주 여러 곳에 있는 조선시대 선정비나 사적비를 광주공원에 모아 놓은 장소이다. 주로 전라도 광주의 수령이었던 광주목사, 군수의 비가 있으며, 관찰사, 도지사들의 비도 있다. 그 외 유학자 안규용, 어사 조헌과 여규익, 소수의 찰방 선정비가 있다. 광주공원 선정비군의 비석은 본래 전라남도 광주 지역 곳곳에 흩어져 훼손된 비석을 1957년 광주공원 입구에 조성하였다가, 1965년 지금의 위치인 광주공원으로 옮겨져 총 27기의 비석이 모여 있었으나 광주목사 신석유의 선정비는 2011년 복룡마을로 옮겨져 지금은 26기가 남아 있다. 26기의 비석 중 초대, 4대 전라남도 관찰사 및 전라남도 재판소 판사 윤웅렬(1840~1911), 5대 전라도 관찰사 겸 전라남도 재판소 판사 이근호(1861~1923), 전라남도 관찰부 광주군수 홍난유(1856~1913)는 일제 국권침탈 협력자로 친일 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들이다. 2019년 8월 8일 광주광역시에서는 3·1 운동 100주년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광주학생독립운동 90주년을 맞이하여 올바른 역사를 알리고 역사 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 ‘일제 국권침탈 협력자 홍난유’의 죄상을 밝힌 단죄문을 세우고 비석을 뽑아 눕혀 놓았다.

일번지 호텔 충장로점

167.5M    2025-03-17

광주광역시 동구 천변우로 355 (수기동)
010-6544-4600

광주광역시 충장로 중심에 위치한 일번지 호텔 충장로점은 2022년 광주광역시 우수숙박업소로 선정된 모던한 비즈니스 호텔이다. 객실은 10가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고, 타입에 따라 PC, 스타일러, 안마의자, 욕조, 테라스가 구비되어 있다. 객실에서 넷플릭스와 디즈니, 티빙을 시청할 수 있다. 주차장이 넓어 주차가 편리하고, 볶음밥, 라면, 식빵, 샐러드, 음료 등 조식을 무료로 제공한다. 주변에 먹거리가 많고 주요 관광지로의 접근성이 좋다.

현충탑(광주)

168.4M    2024-06-13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조선시대 때 성거산이라 일컬었던 광주공원은 광주시내에서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시민의 휴식처이다. 이곳에 나라를 지키기 위해 싸우다 숨진 사람들의 충성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현충탑이 있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나라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바친 광주, 전남지역의 전몰 호국용사 15,867명(군인 10,745명, 경찰 5,122명)을 모셨으나, 위패부는 모두 없다. 탑신은 6각형 기단과 25m 높이로 형상화하였으며, 6.25 호국 영령들의 희생정신을 되새길 수 있도록 벽면에는 6.25전쟁의 개요와 역사적 평가, 당시의 전투상황이 새겨져 있다. 매년 현충일인 6월 6일날 호국 영령들의 높으신 뜻을 기리기 위해 추념식을 거행하고 있다.

비지니스호텔듀

188.4M    2025-03-19

광주광역시 동구 구성로144번길 9 (수기동)
062-234-7755

광주 공원 포장마차와 천 변 산책로가 가까이 있습니다.

광주공원

광주공원

206.6M    2025-03-21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은 광주시의 제1호 도시공원으로 시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공간으로 현충각과 광주시립 박물관, 시민관 등이 자리하고 있다. 광주공원은 전통과 근현대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산자락에 조선시대에 세워진 향교가 있고, 향교 입구 옆으로 광주목사 선정비군이 있다. 광주공원에는 4·19 의거 희생영령추모비, 1971년 건립된 시민회관, 현충탑 등이 있다. 현충탑을 중심으로 한 공터는 휴식처로 애용된다. 광주공원은 장수의 상징인 거북이 형상을 하고 있다. 각종 수목과 화초를 이용한 조경이 잘 되어 있으며, 매년 4월 중순이면 벚꽃이 만발한다. 주변에는 사직공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양동시장 등이 있으며, 공원 앞으로는 광주천이 흐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