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 중앙초등학교 강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강경 중앙초등학교 강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강경 중앙초등학교 강당

14.7 Km    22926     2023-11-23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옥녀봉로 8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은 충남 논산시 강경읍내에서 1937년에 건축된 학교 강당 건물이다. 강경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로서의 연륜을 보여주는 붉은 벽돌로 벽을 축조하였다. 지붕은 6.25 전쟁 이후 개축 과정에서 박공지붕을 얹었으며 창을 비교적 많이 내어 채광을 좋게 하였다. 건축 기법은 벽돌내어쌓기, 서까래기법 등을 이용한 벽돌치형쌓기 등을 활용하여 당시 전형적인 학교 강당 건축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수평띠(코니스)를 통해 입면을 분할하고 건물 모서리에 흰색띠를 돌려 건물 입면의 단조로움을 해소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단아한 당시의 학교 강당의 보편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내부 천장은 중앙 부분이 뒤로 물린 나무 우물반자이며 바닥에는 쪽널의 마루를 깔았다.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은 국도 23호선, 지방도 68호선, 799호선에서 계백로를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연무IC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논산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호남선 철도 강경역과 강경버스정류장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강경젓갈시장, 강경역사관, 강경근대거리, 강경포구 등이 있다.

서동공원

서동공원

14.7 Km    49866     2024-06-07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고도9길 41-14

서동공원은 익산시가 금마관광지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1990년부터 조성하여 2004년 금마조각공원이란 이름으로 개원한 공원이다. 선화공주와 서동 왕자의 조각상과 서동요 조각을 비롯한 88점의 조각들을 만날 볼 수 있다. 중앙광장에는 무왕 동상이 있으며,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기념 대한민국 환경조각대전에 출품된 작품들도 전시돼 있다. 이 밖에도 2008년 개관한 마한박물관, 2019년 완공된 무왕루, 잔디광장, 서동정, 선화정, 분수대, 쉼터 등을 갖추고 있어 지역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서동공원 내에 있는 궁남지 연못은 신라 선화공주와 결혼한 무왕의 서동요 전설이 깃든 곳이다. 해마다 5월 초에는 서동 설화와 서동요를 테마로 익산 서동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깜뚜누들

14.8 Km    4     2022-12-14

충청남도 논산시 옥녀봉로 47-1

강경 근대역사문화거리에 위치한 베트남 쌀국수집이다. '깜뚜'는 사장님의 이름의 베트남 이름으로 베트남 전통음식인 쌀국수를 한국인들의 입맛에 재해석하고 있다. 가게 내부는 아담하다. 긴 바형 테이블이 주방앞에 있고 입구에 작은 바형 테이블이 있다. 보통 쌀국수들과는 다르게 투명한 국물이며 면은 넓은 면이다. 맑고 시원한 맛이 특징으로 특제 육수를 쓰며 동남아 음식 풍미가 많이 난다. 메뉴는 소고기 쌀국수, 비빔 쌀국수, 볶음밥 등이 있다.

강경근대거리

14.8 Km    0     2023-11-23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옥녀봉로 30-5

강경근대거리는 논산시 강경읍내에 조성된 근대역사문화거리이다. 강경은 근대에 금강 수운 포구를 중심으로 서해와 연결되는 상권이 형성되어 번성한 지역이었다. 거기에 1911년에 개통된 호남선 철도로 인해 교통의 요지가 되어 상업, 유통업이 더욱 발달하였다. 그러나 군산항이 성장하고 금강 수운이 쇠퇴하자 상업 중심지의 기능을 잃게 되었다. 현재 이곳에는 강경이 번성하던 시절의 역사를 볼 수 있는 많은 문화재가 남아있다. 대표적으로는 구 강경노동조합(현 강경역사문화안내소), 구 한일은행 강경지점(현 강경역사관),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 강경성당, 구 강경성가결교회 예배당 등이 있다. 강경근대거리는 국도 23호선, 지방도 68호선, 지방도 799호선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연무IC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논산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호남선 철도 강경역과 강경버스정류장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강경젓갈시장, 강경포구, 죽림서원, 팔괘정 등이 있다.

풍성제과

풍성제과

14.8 Km    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서동로 103 풍성제과마동지점

풍성제과는 SBS 생활의 달인에 방영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의 유명한 베이커리 가게이다. 외관에서 풍기는 다소 클래식한 느낌의 인테리어부터 전통의 맛집 포스가 물씬 풍긴다. 옥수수식빵과 마늘바게트가 이 집의 시그니처 메뉴다. 오랜 단골들부터 타 지역에서 찾아오는 관광객들까지 방문 손님이 다양하며, 이 중 옥수수식빵을 구입하는 손님이 가장 많다. 옥수수식빵이 대표 메뉴인 만큼 옥수수를 원재료로 한 빵들이 인기가 많다.

익산그랜드팰리스호텔

익산그랜드팰리스호텔

14.8 Km    2319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목천로1길 9
063-843-2200

고귀한 천년고도 백제 역사를 품고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도시 익산 평화동에 위치한 그랜드 팰리스 관광호텔이다. 익산터미널 바로 옆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고, 주요 관광지들을 여행하기에도 좋다. 호텔 내에는 다양한 부대시설과 넓은 주차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수준 높은 비즈니스 활동이 가능한 대연회장과 소연회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전 객실 트윈배드와 금연 객실로 기업, 학교, 골프 등 단체 고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호텔이다.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14.8 Km    22959     2023-11-23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옥녀봉로24번길 14

강경 구 연수당 건재약방은 일제강점기인 1923년에 논산 강경읍내에 들어선 2층 한옥상가 건물이다. 강경시장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호황을 누리기도 하였으며 1920년대에 촬영된 강경의 사진 속 건물들 중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건물로 역사적 가치가 높다. 건축 당시 [남일당 한약방]이었던 건물은 이후 건축주가 바뀌면서 [연수당 건재 한약방]으로 상호를 변경하여 운영되었으며, 현재는 후대 자손이 관리하고 있다. 건물의 구조를 살펴보면 전통적인 한식구조에 상가의 기능을 더해 근대기 한옥의 변천을 보여주고 있다. 구조는 한식이지만 1층 차양지붕, 지붕 장식재, 변화된 툇마루 등에서 일본 건축의 분위기를 띠는 특이성으로 보존의 필요성이 큰 건축물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2년에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강경 구 연수당 건재약방은 국도 23호선, 지방도 68호선, 799호선에서 옥녀봉로 등을 이용해서 방문하면 되고, 고속도로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연무IC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논산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호남선 철도 강경역과 강경버스정류장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강경젓갈시장, 강경역사관, 강경근대거리, 강경포구 등이 있다.

만나먹거리촌

만나먹거리촌

14.8 Km    3946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무왕로 1790-8
063-834-1110

국내산 황태를 재료로 한 황태찜과 황태구이를 전문으로 요리하고 있으며, 이 밖에 오리주물럭, 민물새우탕, 참게장을 함께 하고 있다. 밑반찬으로는 직접 재배한 유기농 야채를 활용한 다양한 반찬이 손님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객실은 일반 손님을 위한 1층(80석_룸 2개)과 단체를 위한 2층(64석)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넓은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금강복집

14.9 Km    4675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서동로 100
063-857-1381

익산 음식문화축제에서 대상, 전라북도대회에서는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는 유명한 음식점이다. 특히 금강복집의 자랑거리인 복찜은 독특한 향과 복어만의 담백한 맛을 자랑하며, 다른 곳에서는 맛볼 수 없는 복어요리를 즐길 수 있다.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

14.9 Km    25188     2023-11-23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계백로219번길 40-1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은 충남 논산시 강경읍내에 있는 문화재이다. 초기 선교 과정에서의 토착화 현상에 의해 기독교 건축의 형태는 한옥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당시 신부 및 목사가 대부분 서양인이었기에 한옥의 불편함을 느꼈고, 서양식 건물을 동경하는 일부 신도들로 인해 점차 서양식 예배당이 지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초기 한옥교회가 대부분 소멸되거나, 개축 또는 신축되어 원형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이러한 현실에서 한옥 형태로 남아있는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은 희소적 가치가 높다. 특히 내부 구조는 기독교의 토착화 과정에 나타난 한옥교회의 건축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내부는 흔히 칸막고교회라고 하여 제단을 중심으로 천을 설치하여 남녀를 구분하기 위한 초기 교회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내부의 벽돌 위의 회반죽 마감과 서까래를 그대로 노출한 연등천장은 단순한 목조건축의 구조적인 미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목재의 치목수법과 가구기법은 전통적 기법에서 근대화에 따른 기술적 변화 과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2년에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지금은 강경성결교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은 국도 23호선, 지방도 68호선, 799호선에서 옥녀봉로를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연무IC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논산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호남선 철도 강경역과 강경버스정류장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강경젓갈시장, 강경역사관, 강경근대거리, 강경포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