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페이스 도봉산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스페이스 도봉산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노스페이스 도봉산점

노스페이스 도봉산점

10.4 Km    0     2024-04-24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길 77

-

빨래골

빨래골

10.4 Km    5     2023-05-03

서울특별시 강북구 인수봉로23길 60

서울시 강북구 수유동 일대의 마을로 삼각산 동쪽 골짜기에 물이 많고 맑아서 빨래터와 쉼터로 이용하던 것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이곳은 북한산이 시내 쪽으로 쭉 뻗쳐 내려온 칼바위능선 골짜기에 해당하는 곳이다. 골짜기 안쪽에 삼성암이라는 암자가 있고 왼편 산자락에는 아주 특이한 모습의 묘비가 세워져 있는 공초 임상순 선생의 무덤이 자리 잡고 있다. 2016년부터 '옛터 빨래골축제'가 개최되는 등 지금도 통용되고 있는 지명이다. 지하철 4호선 수유역 3번 출구 앞에서 03번 버스 타고 빨래골 종점에서 내려 안쪽으로 200여 미터 거리에 있다.

신응암시장

신응암시장

10.4 Km    1     2023-08-02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 427-1

약 50여 개의 점포가 있는 골목형 시장이다. 시장 내에 개성 있는 인테리어의 카레 전문점과 카페가 생기면서 방문객도 늘어나고 있다. 규모가 작고 통로도 좁은 전통시장이지만 청결과 위생에 중점을 두고 있고 개성 있는 카레집, 디저트 카페가 있어 젊은 층에 인기가 좋다.

수유중앙시장

수유중앙시장

10.4 Km    1     2023-08-28

서울특별시 강북구 노해로17길 21

강북구 가오리역 근처에 위치한 골목형 소형시장이다.

수경당펜션

10.4 Km    27090     2024-05-29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권율로 883-1
031-871-3320

수경당펜션은 황옥을 깐 바닥위에 황토를 덧바르고 그 위에 한지장판을 바른 친황경 바닥이다. 벽지도 핀환경 전통한지로 마감하여 노약자나 피부가 약한 분들이 부담없이 쉴수 있는 친환경 공간이다. 따뜻한 온돌에서 편히 쉬면서 아름다운 주변경관을 느껴볼 수 있다.

수정궁

수정궁

10.4 Km    2     2021-03-15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 173
02-3491-0440

1988년부터 운영해 온 매장이다.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만두다.

파주 삼릉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주 삼릉 [유네스코 세계유산]

10.4 Km    28247     2024-04-09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삼릉로 89

파주시 조리읍에 있는 조선왕릉 군(群)이다.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지정된 파주삼릉은 조선시대 공릉과 순릉 및 영릉을 통칭한 능호이다. 공릉은 조선시대 예종의 원비 장순왕후 한 씨의 능, 순릉은 성종의 원비 공혜왕후 한 씨의 능, 영릉은 영조의 아들 효장세자와 비 효순왕후 조 씨의 능을 말한다. 왕릉군의 앞머리를 따서 공순영릉으로도 불린다. 영릉은 영조의 장자로 황제로 추존된 진종과 그의 비 효순황후 조 씨의 능으로, 세자와 세자빈의 예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매우 간소하고 아담하며 왕릉과 비릉을 나란히 한 쌍릉으로 곡장을 둘렀다. 파주삼릉 관람전에 파주삼릉 역사문화관에 들러 조선왕릉에 관한 전반적인 역사와 파주삼릉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다양한 자료를 익히고 가길 권한다. 세계유네스코 문화유산인 조선왕릉을 아는 만큼 볼 수 있다. 파주 삼릉은 제법 규모가 있어 산책하기에도 좋은 곳이며 넓은 천연 잔디마당과 벤치가 조성되어 있고 시내와 다리도 있으며 재실을 뒤로하고 걷다 보면 전통 놀이 체험장도 만날 수 있어 도심 속 힐링 장소로 권할 만하다.

머렐 도봉산

머렐 도봉산

10.4 Km    0     2024-03-23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길 73

-

석파랑

10.4 Km    69613     2024-06-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309

석파랑은 조선왕조의 마지막 왕, 고종의 아버지로 한 시대를 누렸던 흥선대원군이 별장 ‘석파정’의 사랑채를 고스란히 옮겨와 지은 곳이다. 권세가의 아름다운 별장답게 석파랑의 대문을 들어서면 조선 말기 양식의 정원과 세 채의 고풍스러운 한옥이 눈앞에 펼쳐진다. 석파랑의 궁중 한식은 엄선된 식재료와 직접 담근 장으로 한층 더 정성의 기품을 더했으며, 또 전국 각지의 장인들이 만든 전통주를 함께 맛볼 수 있다.

대원군별장 (석파정)

대원군별장 (석파정)

10.5 Km    20251     2023-03-15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11길 4-1

대원군 별장은 원래 창의문(彰義門) 밖 종로구 부암동 산 16-1번지에 있었던 건물이다. 1958년 서예가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이 이곳에 집을 지으면서 뒤뜰 바위 위 지금의 위치로 이전한 것이다. 부암동 산 16-1번지에는 조선말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별장인 석파정(石坡亭,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석파정 별당)이 지금도 보존되어 있다. 이 대원군 별장 건물은 그 곳 사랑채에 부속되어 있던 건물이었다. 동북향을 하고 있는 현재의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역(逆)'ㄱ'자형 평면으로, 3량 가구의 맞배기와지붕을 하였다. 건평 10평정도 규모의 건물로 가운데에 1칸 대청방을 설치하고, 그 왼쪽인 동쪽에 2칸 반 크기의 큰방, 오른쪽에 1칸 반 크기의 건넌방을 꾸며놓았다. 큰방은 다시 앞으로 2칸 꺾여 나와 'ㄱ'자를 형성하였는데, 이 방은 흥선대원군이 사용하였다. 건넌방은 손님 접대용이었으며, 대청방은 흥선대원군이 즐겨 그리던 사군자의 난초를 그릴 때만 사용하던 방이라고 한다. 회색 전벽돌로 쌓은 큰방 측벽에는 반원형의 창을 내었고, 건넌방 측벽에는 원형의 창을 내어 중국풍의 정취가 나도록 하였다. 대청방과 안방, 그리고 건넌방 사이에는 분합문을 달았고, 큰방 동측면 벽에는 벽장을 설치하여 공간의 이용 밀도를 높였다.

건물 정면에는 'ㄱ'자로 꺾인 곳을 따라 툇마루를 설치하였고, 그 양 끝은 전벽돌로 쌓은 측벽으로 막았으며, 건물 뒷면 중앙 3칸에는 쪽마루를 놓았다. 건물 앞퇴에는 대청마루 앞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난간을 설치하여 고급스런 분위기로 장식하였으며, 기둥에는 주련(柱聯)을 달았다. 양측면 박공벽에는 전벽돌을 처마가 없이 지붕 밑까지 쌓아 중국 건축의 '경산(硬山)'식 지붕으로 처리하였으며, 후면 외벽도 전벽돌로 쌓고 처마를 내었다. 큰방의 아궁이는 동쪽에 두었다. 이 건물은 평면 구성, 공간과 벽면 사용, 창호 디자인, 재료 마감 등에서 빈틈 없이 탄탄하게 처리한 점이 돋보인다. 대청을 중심으로 하는 정면 부분과 내부 구조, 그리고 창살은 전통 한옥형식을 갖추었으나, 외형을 이루는 전반적인 모습은 조선말기에 전래된 중국 청(淸)나라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 이건하면서 원 모습대로 복원하지 않고 평면과 구조를 부분적으로 바꾸었다. 손재형은 일본으로 유출된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를 천신만고 끝에 한국으로 가져온 인물로 유명하다. 그는 말년에 이곳에서 작품활동을 하였다. 이 별장 아래에 있는 손재형이 살던 건물들은 현재 전통음식점 '석파랑'으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