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더비치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카페더비치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카페더비치

카페더비치

16.8 Km    5     2023-02-06

전라남도 완도군 해변공원로 59

카페 더 비치는 완도 여행의 중심지인 해조류 박람회장 근처, 완도 해변공원 쪽 중앙에 있다. 야자수와 파라솔이 있는 푸른 바다 해변, 모래사장에 있는듯한 인테리어가 인상적이다. 화이트 톤의 벽과 널따란 실내는 바다가 보이는 창과 어우러져 해변에서 차 한잔하는 것 같은 감성을 느끼게 해준다. 낮에도 아름답지만, 완도타워와 신지대교의 조명이 보이는 야경도 아름답다. 알로하 에이드, 선샤인 에이드 등 음료와 바삭한 토스트 위에 전복을 올려 구운 전복 토스트가 추천 메뉴이다. 반려동물과 함께 할 수도 있고, 3층의 전망도 즐길 수 있는 카페 더 비치는 저녁에는 펍으로 운영된다. 주차는 해변공원 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개성순두부전문점

16.9 Km    1     2024-01-11

전라남도 완도군 개포로 19

개성순두부전문점은 전남 완도군 군내리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일반 음식점과 차별화를 둔 순두부 요리를 판매하는 식당이다. 많은 외지인과 현지인이 방문하는 로컬 맛집이다. 소고기순두부, 바지락 순두부, 카레순두부 등 다양한 순두부 메뉴를 맛볼 수 있다.

신흥사(완도)

16.9 Km    24285     2023-03-20

전라남도 완도군 청해진남로 101-1 신흥사

완도읍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신흥사는 완도군 완도읍 성내리 168번지 남망산(南望山)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1932년 김성렬 스님이 불로사(不老寺)라는 절로 창건했으나 중간에 신흥사(新興寺)로 절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완도읍에서 신흥사는 차를 이용하지 않아도 닿을 수 있는 아주 가까운 곳이다. 도심서 가깝다니 도심 속 혼잡함을 떠올리기 쉬우나, 속세의 혼잡함과 번거로움은 이미 떨쳐버린 곳이 신흥사다. 또한 신흥사에서는 매년 아이들에게 '장보고 학교'를 열어주고, 시민들에게 도예 공방을 열어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그동안 여럿스님이 신흥사에서 수행을 하셨는데 현재 백양사(白羊寺) 방장이신 수산 지종 큰스님이 대표적이다. 신흥사는 완도의 전망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완도 전망뿐 아니라 야경도 볼 수 있다. 맑은 날이면 저 멀리 신지나 대둔산의 경치도 볼 수 있고, 어둠 박차고 올라오는 검붉은 태양의 떠오름도 볼 수 있다. 한마디로 도심과 바다가 어우러진 곳이 신흥사이다.

코너레지던스호텔[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코너레지던스호텔[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6.9 Km    2     2023-06-01

전라남도 완도군 개포로 179
061-555-0179

전남 완도군에 위치한 코너네지던스호텔은 완도공용버스터미널이 도보 8분, 완도항이 차로 5분 거리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객실은 스탠다드, 디럭스, 스위트, 로얄 및 단층과 복층 등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된다. 객실마다 인덕션과 전자레인지가 있어 간단한 요리가 가능하고, 세탁기와 공기청정기 등을 갖춰 편의성을 높였다. 호텔 1층 코너179 카페&디저트가 자리힌다.

전사마

전사마

17.0 Km    33091     2023-10-25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대로 197
061-555-0838

전복의 고장, 청정해역 건강의 섬 완도! ‘전복을 사랑하는 마을’에서 이름 지어진 전사마는 완도의 특산물인 전복을 산지에서 저렴하고 맛있게 맛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전복의 새로운 맛을 개발한 전복삼합은 전사마에서만 맛볼 수 있는 별미 중의 별미다. 돌판에 잘 구워진 전복과 삼겹살에 전라도 묵은 김치를 싸 먹는 맛은 그야말로 일품요리며, 여기에 완도산 다시마가 어울려 전복사합의 건강한 웰빙음식으로 인기 만점이다.

완도 청해진 유적

17.0 Km    35789     2023-10-31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청해진로 1380-138

청해진은 신라 흥덕왕 3년(828) 장보고가 설치한 해군기지이자 무역기지로, 전라남도 완도 앞바다의 작은 섬인 장도에 있다. 장좌리 마을에서 장도까지의 거리는 약 180m쯤 되고 하루 두 차례씩 썰물 때는 바닥이 드러나 걸어갈 수 있었다. 간조시에만 장도 청해진 유적지까지 걸어서 들어갈 수 있었으나, 2009년 장도목교를 설치한 후로는 탐방객들이 목교를 건너 청해진유적지로 자유롭게 도보 출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청해진은 통일신라시대 때 신라와 당, 일본을 잇는 해상무역의 중요한 길목이었다. 청해진이 있었던 장도는 섬 전체에 계단식 성의 흔적이 남아있다. 유적지 내에는 1만 명의 식수정으로 사용하였다는 청해정이 있어 지금도 맑은 물이 솟으며, 토성의 일부와 기와 파편 등도 출토되었다. 앞바다를 제외한 주변 바다는 수심이 얕아 방어용 목책을 박아 외부 접근을 막도록 만들었다. 현대에 들어 장도는 완도 주민이 농사를 짓던 곳인데, 1959년 태풍 사라 때 갯벌이 깎여 목책이 드러나면서 청해진에 대한 본격적인 발굴과 연구가 시작되었다.

명품전복궁

명품전복궁

17.0 Km    1     2024-04-09

전라남도 완도군 개포로 34-1

명품전복궁은 5일장이 열리는 완도 종합시장 상가동에 있는 전복 요리 전문점이다. 다수의 TV 프로그램에 소개된 맛집으로 소스부터 모든 음식을 직접 만들어 손님상에 올린다. 대표 메뉴인 전복코스 한상을 주문하면 전복죽, 전복 회, 전복 찜, 전복장, 전복 물회가 나오고 전복 무 쌈 말이, 전복 볶음, 전복 무침, 전복장 비빔밥 등 다양한 전복요리를 맛볼 수 있다. 전복요리를 어느 정도 즐긴 뒤에는 생선구이와 비빔밥이 식사 메뉴로 나온다. 비빔밥에는 전복 고추장과 전복 내장 소스를 함께 제공하는데 내장 소스에 내장의 비린 맛은 없고 고소하고 담백한 맛이 난다. 단품으로 전복 물회, 전복죽, 전복장비빔밥, 전복구이, 전복버섯전골도 있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

완도장 (5, 10일)

완도장 (5, 10일)

17.1 Km    15022     2023-12-14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개포로 34-1
061-550-6173

예로부터 수산업이 발달되어 왔으며 지금은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특히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곳곳마다 관광 자원과 풍부한 어족 자원이 널려있다. 특히 청정해역에서 생산되는 돔, 광어, 전복, 농어 등의 싱싱함은 전국의 제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김, 미역, 다시마는 성인병 예방과 여성들의 피부 미용에 좋다. 완도장은 매월 5일을 기준으로 5일 단위로 열리며 전통적인 재래시장이다. 풍성한 먹을거리, 갓 집에서 수확한 각종 채소와 싱싱한 해산물이 주류를 이룬다.

완도문화원

완도문화원

17.2 Km    17332     2023-12-13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개포로159번길 44

완도문화원은 1984년 설립된 곳으로, 바다를 경양하며 살아왔던 향토역사와 새로운 정신문화를 창출하여 21세기 신해양시대를 이끌 수 있도록 모든 동력을 결집하여 노력하는 곳이다. 문화 시대에 군민 누구나 문화를 누리고 즐기며, 문화를 통해 풍요로운 삶을 누리도록 노력하고 있다. 완도문화원의 문화학교 강좌로는 영어회화, 홈 패션, 고고 장구, 미니색소폰, 다육이 키우기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완도문화원은 많은 축제와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전남민속예술축제, 해맞이 축제, 고금월송축제, 장보고 축제, 모닥모닥 섬섬 문화가 있는 날 등을 진행하고 있다.

장흥 삼산리 후박나무

장흥 삼산리 후박나무

17.2 Km    19799     2023-08-30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산서1길 13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Sieb.et Zucc)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활엽교목으로서 울릉도, 제주도, 남해, 완도 등 도서 지방에 자생하고 있다. 중국 일본에도 분포하고 있으나 세계적으로는 흔하지 않는 수종으로서 내한성은 약하지만 내조성이 강하여 해변에 잘 자라며 잎은 광택이 나고 수형은 아름다우며 수피(樹皮)는 향기가 좋고 후박피라 하여 위장약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후박나무가 있는 산서(山西)마을은 관산읍 소재지로 부터 동쪽으로 약 5km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주봉이 서쪽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산서라 하며 지역의 형국이 벼루에 물을 부은 것 같다하여 산연(山硯)이라 했었다 한다. 마을 입구에 심어져 있는 이 나무는 1580년경 경주이씨 선조가 이곳에 입주할 때 마을 어귀에 동/서/남/북 방향으로 네 그루를 심었는데 세 그루는 고사되어 없어졌고 남쪽의 한 그루만이 생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나무의 분명한 역사는 알 수가 없고 크기로 보아 마을이 형성된 후에 심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나무 주위에는 반경 7m에 이르는 팔각형의 단이 90cm 높이로 축조되어 있으며 단위에 세 그루의 후박나무가 당당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그중 두 그루는 한 그루처럼 보이는데 아마 식재 당시 근접하게 심어져 뿌리가 성장하면서 서로 맞닿아 마치 한 그루의 나무가 근원부(根源部)에서 두 줄기로 갈라진 것처럼 보인다. 또 한 그루는 남쪽 5m 거리에 있다. 이 나무는 세 그루가 한 무더기로 어우러져 하나의 수관폭을 이루고 있다. 그 크기는 높이 11m, 수관폭 동 10m 서 13m 남 10m 북 10m이며 가슴 높이 둘레는 남쪽의 나무 2.8m 북쪽의 두 나무는 3m와 2.7m이다. 마을에서 쉼터로 활용하기 위하여 나무 밑에 5개의 벤치를 설치하였으며 나무 주위의 지표면은 모두 보도블록으로 포장하였다. 마을의 상징수로서 오랫동안 보존되어 왔으며 가지가 사방으로 균형 있게 발달하였다. 또한 생장 상태도 매우 양호하고 이 고장에서는 보기 드물 정도의 노거수이다. 주로 해안지방에서 자생하고 있는 난대(暖帶) 식물로서 육지부에서 이만한 크기의 후박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것은 흔치가 않으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경남 추도리의 후박나무(가슴 높이 둘레 3.6m)와 진도 관매리의 후박나무(가슴 높이 둘레 3.4m)에 못지않은 크기와 수형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