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Km 2024-06-11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97번길 4-5
가림상회는 관광두레 주민사업체로 선정되고 3년이 지난 2023년 7월에 정식 오픈을 했다. 가림상회를 운영하는 만세장터영농조합법인은 60세 이상 여성으로 구성된 만세장터 봉사회가 그 전신이다. 가림상회에서는 슈페너, 스프레드 브레드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음료 주문 시 오란다도 함께 제공된다. 김밥, 밑반찬도 함께 판매중이다. 체험 프로그램 으로는 수제 하트 오란다 만들기(2인 이상), 수제 하트 영양바 만들기(2인 이상) 가 준비되어 있다.
10.7Km 2025-03-19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304번길 59-2
041-833-3900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위치한 e-민물장어하우스는 부여군 규암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근에 롯데부여리조트가 있다. 이곳의 메뉴는 민물장어구이를 주메뉴로 하고 있으며, 보양식으로 민물장어탕을 제공한다. 이곳은 부여군 내산면 천보리에 있는 민물장어 양식장에서 양식한 haccp , 무항생제 인증받은 장어만 사용하고 있어 장어육질이 좋으며 주방실장님의 20여 년의 경험으로 모든 반찬은 직접 만든다.
10.8Km 2024-12-09
충청남도 논산시 채운면 삼거리
강경천의 채운교가 있는 강둑을 조금 거슬러 올라가면 시멘트로 만들어진 다리가 놓여 있고, 그 옆으로 작은 미내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전국 교역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는 강경포구가 있던 곳으로, 이 강을 ‘미내(渼奈)’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하여 ‘미내다리’라고 부른다. 강경미내다리는 조선시대에 충청도와 전라도를 잇는 삼남에서 가장 큰 다리였다. 다리의 규모는 길이 30m, 너비 2.8m, 높이 4.5m이다. 긴 돌을 가지런히 쌓아 3칸의 무지개 모양을 만들고, 그 사이마다 정교하게 다듬은 돌을 가지런히 쌓아 올렸다. 다리의 강둑 쪽 중간쯤에는 형태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동물의 얼굴이 조각되어 있는데, 눈은 마치 장승의 눈과 같고, 코는 뭉툭하며, 얼굴 양옆으로 귀모양과 갈기가 있다. 다리 옆에 놓여 있던 ‘은진미교비’는 국립부여박물관에 보관 중인데, 비문에 의하면, 조선 영조 7년(1731) 주민의 필요에 따라 강경촌 사람인 송만운이 주도하여 이 다리를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 수로정비에 따라 물길이 바뀌어 현재는 제방 제내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1998년 완전 해체하여 2003년 보수정비 하였다.
10.8Km 2025-01-20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88번길 10
010-6797-2288
만세장터봉사회는 임천면에 거주하는 평균 62세 여성들로 구성된 조직이다. 지역 농가에서 직접 생산해 가져온 농특산물을 직거래로 판매한다. 여기서 발생한 수익금과 임천면 소재 휴경지를 개간해 수확한 무, 배추로 김장김치를 담가 기초생활 보장 수급자, 경로당 등 저소득 취약계층 50여 가구와 나눔 행사 등을 가진다. 동지를 앞둔 시점에는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동지팥죽 무료 나눔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다. 동지팥죽 나눔 행사는 임천면 로컬푸드 장터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자 봉사회 회원 20여 명이 직접 300인분의 팥죽을 쑤어 준비하였다. 동네에 있는 ‘사랑 나무’를 모티브로 한 도시락과 관광 상품도 만들 예정이다. - 수제 견과류 바 지역의 회원농가에서 생산한 오색미 유기농쌀, 땅콩, 블루베리, 대추, 호두와 해바라기씨, 호박씨와 쌀 조청으로 만든 영양 듬뿍 수제 견과바 사랑나무의 하트모양 등 크기가 다양하고 전통의 강정을 견과류와 촉촉함을 더한 알찬 간식 - 엄마손 장아찌 청정지역 임천 산골에서 자란 제철 머위 순, 엄나무 순, 취나물, 회원농가에서 재배한 깻잎, 노각오이, 마늘등으로 만든 고향이 그리운 엄마손 장아찌 짜지 않아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밥도둑! - 향교에서 만나는 문화체험 1) 다도 및 떡 만들기 체험 : 임천의 농산물로 만드는 차와 맛있는 떡 만들기 체험 2) 압회체험 : 사랑나무 누름꽃을 사용한 액자 한지등 만들기 체험
10.9Km 2025-03-18
충청남도 논산시 시민로 270
논산아트센터는 논산 시내에 위치한 문화시설이다. 1985년 논산군민회관으로 설립한 이래 2002년 논산시 문화예술회관, 2021년 논산아트센터로 명칭을 변경하여 논산 시민을 위한 삶의 질적 풍요로움과 예술적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것을 운영 목적으로 한다. 이곳은 다목적 공연장으로서 각종 행사와 공연 및 전시회를 할 수 있으며 대공연장(560석), 소공연장(169석) 등 2개의 공연장과 가변형 파티션을 갖춘 대전시실, 소전시실과 야외공연장을 보유하고 있다. 논산아트센터는 국도 4호선, 23호선과 지방도 643호선에서 국도 1호선 논산대로를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서논산 IC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논산 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호남선 철도 논산역과 논산(고속) 버스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관촉사, 논산시민운동장 등이 있다.
11.0Km 2025-03-12
충청남도 논산시 논산대로 357
041-735-7191
전통한옥에서 맛보는 임금님 수라상 같은 푸짐한 맛과 멋을 자랑하는 곳이다. 전통 한옥의 고풍스러운 외관과 아늑한 실내 분위기 속에서 궁중식 탕평채, 소 불고기, 솔잎 보쌈, 활어회, 낙지볶음 등 계절별, 가격별로 다양한 종류의 음식과 맛깔스러운 밑반찬, 구수한 된장찌개 등을 맛볼 수 있다.
11.1Km 2025-03-18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광명리
지당자연사박물관은 공주 탄천면 서쪽에 있는 사설 자연사박물관이다. 관장인 지당(地堂) 류육현(柳六鉉)이 35년 동안 수집한 수집품을 기반으로 2004년 8월 3일 개관했다. 소장품은 전 세계의 희귀하고 다양한 동물, 곤충(나비), 광물, 화석 등 약 25만 점이고, 관람 친화적인 운영을 위해 전시품을 개방된 형태로 전시하고 있다. 지상 2층 본관 건물과 연꽃식물원, 별관, 시청각실, 잉어연못 등을 갖추고 있다. 전시시설은 본관 1층에 있는 해양생물관·육상생물관(제1관), 2층의 나비곤충관·수석화석관(제2관), 제3관인 별관의 희귀 보석·공예품관으로 이루어진다. 2만 8000여 점에 이르는 나비 수집품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종류를 망라할 정도로 방대한 것이며, 박제된 벵골호랑이,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35캐럿 루비, 국보급 도자기 등도 눈길을 끈다. 박물관 진입로에 있는 1만 5000㎡ 넓이의 연못에는 약 400종의 다양한 연꽃이 식재되어 있다.
11.2Km 2025-03-18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부흥로171번길 73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칠산서원은 부여군 임천면 칠산리에 있는 시남 유계(1607∼1664)를 기리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유계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예에 관해 정통한 학자이다. 김장생의 제자이며 충청도 유림의 오현 중 한 사람으로 불린다. 이 서원은 숙종 13년(1687)에 세워 숙종 23년(1697)에 임금으로부터 칠산이라는 현판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그 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67년에 복원하였다. 서원 경내에는 제사 공간인 사당과 공부하는 공간으로 강당, 장판각 등이 있다. 서적을 보관하는 장판각에는 저서인 가례원류의 책판과 시남집의 목판 원본을 보관하고 있다. 해마다 음력 3월과 9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칠산서원 인근에는 간곡서원, 동곡서원, 반산서원, 퇴수서원, 부여 대조사가 있다.
11.4Km 2025-03-19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시민들을 위한 도심 속 힐링공간으로 조성된 논산 시민가족공원은 반야산 자락 등 주변의 자연자원과 논산시민운동장 등 문화체육시설을 최대한 활용하여 문화행사 등을 즐길 수 있는 녹색휴식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다. 면적 85,662㎡에 소나무, 편백나무 등 교목 1,240여 본과 연산홍, 모란 등 관목 4만 5천 여본, 그리고 꽃창포 등 초화류 3만 6천여 본 등 다양한 종류의 조경수를 식재하여 명실상부한 논산의 명품 숲 공원으로 조성했다. 벽천폭포, 거울연못, 산책로 등 조경시설과 공원 상하부 시설물을 잇는 작은 실개천 등이 조화롭게 조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적인 LED 야간경관조명을 설치하여 밤에도 이색적이고 아름다운 공간으로 연출함으로써 지역민은 물론 인근 지역 주민도 많이 찾는 명소로 각광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