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심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심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일심정

일심정

8.0Km    2024-02-28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이로 127

일심정은 해물 요리, 생선구이 전문점이다. 서울지하철 2호선 성수역 2번 출구에서 약 200m 거리의 대로변 빌딩 2층에 있다. 자가용 이용 시 매장이 있는 빌딩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내부는 좌식 테이블과 1인용 테이블을 붙인 4인석 테이블이 배치되어 있다. 대구탕, 알탕, 알밥, 뚝배기 불고기, 한우(육회) 비빔밥 삼치구이, 갈치구이, 조기구이 등 다양한 메뉴가 있다.

삼성 디지털 왕십리점

삼성 디지털 왕십리점

8.0Km    2024-03-24

서울특별시 성동구 고산자로 217

-

어린이꿈공원

8.0Km    2024-12-26

서울특별시 성동구 고산자로10길 18 (행당동)

어린이꿈공원은 서울 성동구 행당동에 위치한 어린이 맞춤형 놀이공원으로, 다양한 놀이시설을 갖추고 있다. 짚라인, 트램펄린, 모래놀이터, 암벽타기, 물놀이 시설 등 아이들이 창의력과 모험심을 키울 수 있는 공간으로,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적합하다.

서울 왕궁수문장 교대의식

서울 왕궁수문장 교대의식

8.0Km    2025-08-14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02-6242-7402

‘서울 왕궁수문장 교대의식’은 서울시가 주최하는 대표적인 전통문화재현 행사로, 조선시대 궁궐 문을 지키던 수문군의 교대 장면을 실감 나게 되살린 프로그램이다. 수문장은 종6품의 관직으로, 수문장청 소속 참하와 수문군과 함께 궁문을 지키고, 출입을 단속하며 순찰을 수행했다. 교대의식은 실제 역사자료에 근거해 구성되었으며, 조선 후기 덕수궁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행사는 매주 월요일을 제외한 주 6일, 오전 11시와 오후 2시에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열린다. 일반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의 흥미를 더하기 위해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되는데, ‘개식타고 체험’은 북을 직접 두드리며 의식 시작을 알리는 체험이고, ‘나도 수문장’은 수문장 복장을 입고 역할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며, ‘전통복식 체험’은 조선시대 의상을 입고 사진을 남길 수 있는 인기 체험이다.

덕수궁 대한문

덕수궁 대한문

8.0Km    2025-07-30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대한문(大漢門)은 덕수궁의 정문으로 ‘대한’은 “한양이 창대해진다”라는 뜻이다. 원래 경운궁의 정문은 남쪽에 있었던 인화문(仁化門)이었으나, 동문인 대안문(大安門) 주변이 환구단을 비롯하여 새로운 도심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정문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지금의 이름은 1906년(광무 10) 문을 수리하면서 바꾸게 되었다. 원래 대한문은 약 33m 앞에 있었으나 1970년대 태평로를 확장하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대한문을 지나서 있는 금천교는 1986년에 발굴하여 복원하였다.

정동야행

정동야행

8.0Km    2025-06-10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덕수궁
02-3396-4623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가 5월23일(금)과 24일(토) 이틀간 대한제국의 꿈을 정동으로 불러들여 '정동야행(貞洞夜行)'을 개최한다. 정동야행은 2015년 서울 중구가 시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문화재 야행으로 올해 11번째 개최되는 중구의 대표 축제이다. 정동야행 축제는 근대문화유산의 보고(寶庫)인 정동길과 덕수궁길 일대에서 열리며 특별히 해당 기간에만 야간개방 하는 역사〮문화시설, 덕수궁 안에서 진행되는 고궁음악회, 근대 역사 체험 프로그램 등을 즐길 수 있다.

돈덕전

8.0Km    2025-03-06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대한제국 외교 공간으로 기획되었던 돈덕전은 덕수궁 내에 있는 서양식 2층 건물이다. ‘돈덕(惇德)’의 뜻은 ‘덕 있는 이를 도탑게 해 어진 이를 믿는다’라는 의미로 ‘덕이 있는 자’는 교류하며 신뢰를 쌓아가야 할 여러 국가를 가리킨다. 돈덕전은 고종이 즉위 40주년 기념행사장으로 사용하려고 세운 서양식 건물로 일제에 의해 헐렸다가 2017년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약 6년 만에 완성하여 2023년 9월 정식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새롭게 개관한 돈덕전은 대한제국의 외교 장소라는 역사적 의미를 살리면서 내부 공간을 대한제국 외교사 중심 전시와 기록보관, 도서 열람, 국내외 문화교류와 예술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꾸며졌다.

정관장 을지로

정관장 을지로

8.1Km    2024-03-23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03 (을지로2가,1층)

-

서울광장

서울광장

8.1Km    2025-07-23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지하12 (을지로1가)

서울광장은 서울시청 앞에 조성된 잔디밭 광장이다. 3·1 운동, 6월 민주화운동 등 한국 현대사의 한 획을 긋는 역사적 사건의 무대였으며 2002년 월드컵 때 시민들의 축제 마당 역할을 했다. 시청광장의 역사는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했다가 월산대군의 개인 집인 덕수궁으로 돌아온 1897년부터 시작된다. 황제의 자리에 오른 고종은 나라의 기틀을 새로이 하기 위해 덕수궁 대한문 앞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형 도로를 닦고 앞쪽에는 광장과 환구단(원구단)을 설치하였다. 이때부터 대한문 앞 광장은 고종보호시위, 3·1 운동, 4·19 혁명, 한일회담반대시위, 6월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 도심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에 역사·문화자원이 다양하게 있어 국가적 상징성과 역사성을 지니는 장소이다. 서울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으며 봄, 여름, 가을에는 책을 읽거나 여러 가지 행사를 하는 공간이 되고 겨울에는 스케이트장을 조성하여 시민들과 사계절을 함께 한다. 수도권 지하철 1, 2호선 시청역 5번 출구에서 91m에 있다. 건너편에는 덕수궁, 바로 옆에는 서울도서관이 있어서 함께 이용하면 좋다.

서울광장 스케이트장

서울광장 스케이트장

8.1Km    2025-05-22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2 시청광장지하쇼핑센터

서울 시청사 앞에 있는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은 동절기에만 운영된다. 2004년에 조성된 서울광장은 보름달을 연상시키는 타원형의 잔디광장으로 연중 공연과 전시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펼쳐지는 시민들을 위한 공간이다. 특히 겨울이면 서울광장에는 야외 스케이트장이 설치되어 겨울철 명소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스케이트장은 서울시에서 운영하며 자동차가 다니는 도심 한복판에서 스케이트를 즐기는 이색적인 풍경을 보여준다. 스케이트장은 초급자용 링크와 고급자용 링크 두 가지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접근성이 좋은 곳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스케이트를 탈 수 있다. 광장에는 스케이트장 외에도 스케이트 대여실, 야외 휴게소, 야외 스탠드 등의 편의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수도권 지하철 1, 2호선 시청역 5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광장이 있고, 광장 옆에는 서울도서관, 건너편에는 덕수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