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동계곡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우이동계곡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우이동계곡

10.2 Km    83412     2024-05-10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우이동계곡은 강북을 대표하는 계곡으로 도봉산과 북한산 사이에 있다. 북한산에서 우이동을 흐르는 아홉 구비 계곡을 [우이구곡]이라 부른다. 1762년부터 이곳에서 살았던 이계 홍양호가 붙인 이름으로, 홍양호은 우이동계곡을 돌아보며 아홉 곳에 이름을 붙이고 [우이동구곡기]를 지을 만큼 이곳을 사랑했다. 우이동구곡기는 서울의 유일한 구곡문학으로 남아 있다. 계곡 주변으로 계단과 산책로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편리하며, 녹음 속에서 산책을 즐기거나 계곡에서 즐기는 물놀이는 여름의 찌는 더위를 잊게 해준다. 또한, 계곡의 맑고 시원한 냇물을 끼고 있는 음식점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여름철 닭죽은 진미이다. 민박도 가능하며 3, 4월에는 대학생들의 MT 장소로 선호된다. 우이동계곡을 따라 20분가량 올라가면 원불교 수도원, 성불사, 용덕사, 선운사, 광명사 등 사찰을 찾을 수 있으며 입구에서의 들뜬 분위기는 이내 차분해지며 또 다른 운치를 느낄 수 있다. 서울 도심과도 가깝고 대중교통으로 접근도 용이해서 서울의 시민들이 휴식과 힐링을 위해 부담 없이 찾아오기 좋은 곳이다.

키즈66드라이빙센터

10.2 Km    2     2024-03-20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꽃내음1길 188 (향동동)

키즈66드라이빙센터는 고양시에 있는 유아 전동차 체험카페이다. 매장 안에는 다양한 차량이 전시되어 있으며, 실제 아이들이 탑승할 수 있는 차량이 정해져있으므로 탑승 가능 차량에 한해서 원하는 차량을 골라 체험이 가능하다. 주어진 시간동안 야외 산책길에서 시승과 운전을 직접해볼 수 있다. 실내에는 실내 모래 놀이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어 유료로 사용할 수 있다.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아 주말 오픈런이 필요하다. 메뉴는 아이들을 위한 여러가지 음료와 아메리카노가 준비되어 있다.

정관장 한티역

10.2 Km    0     2024-03-23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320 (대치동) 101호

-

토요코인호텔 강남

토요코인호텔 강남

10.2 Km    1     2024-01-22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23 (서초동)

강남역 인근에 있는 일본 체인 비즈니스 호텔로 가성비 좋은 곳이다. 이곳은 7시부터 9시 30분까지 무료 조식이 제공되며 로비에 있는 캐비넷에 비치된 잠옷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인쇄와 팩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프런트에 있는 스킨케어 세트, 비누, 녹차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체크 아웃 시간이 오전 10시로 다른 호텔보다 조금 이른 편이며 주차장은 있으나 유료로 사용할 수 있고 예약을 해야 한다. 숙박 예약은 전화나 제휴 사이트를 통해 가능하고, 수도권 지하철 강남역과 양재역 사이에 있으며 강남역에서 500m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경부 고속도로 서초IC, 반포 IC에서 접근성도 좋다.

탐라도야지 본점

탐라도야지 본점

10.2 Km    1     2024-02-06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50길 82 정원빌딩

탐라도야지 본점은 지하철 2호선, 3호선 교대역 14번 출구 부근에 있다. 매장이 있는 상가건물에 자체 주차장이 있으며 발렛파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곳은 교대역에서 가성비 좋은 회식 장소 겸 맛집으로 유명하다. 매장 안으로 들어서면 한쪽 벽에는 이곳을 찾았던 유명 인사들의 인증 사인이 가득하다. 매장은 크고 테이블도 많아 각종 회식이나 단체 행사에도 적합하다. 대표 메뉴로 제주 숙성 오겹살, 한방 숙성 삼겹살, 수제 돼지갈비, 진 꽃살 등이 있다. 그 외 제육쌈밥+된장찌개, 차돌 부대찌개, 양지 된장찌개, 냉 김치말이 국수가 많이 나간다. 주변에 교대 곱창 거리가 있다.

유중아트센터

유중아트센터

10.2 Km    6     2024-01-12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 178 (방배동)

2011년 개관한 서울의 유중아트센터는 유중그룹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젊은 예술가를 발굴하고 한국 미술을 촉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문화예술지원과 창작활동을 통해 사회에 가치를 제공하며,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유중아트센터에서는 시각예술, 클래식, 국악, 공공미술, 공간예술, 교육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과 전시를 볼 수 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작품들을 선보이며 국내 컨템포러리 예술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유중은 청년 예술가들을 발굴하고 매년 기획전시 및 신진작가의 전시를 통해 한국 미술계를 체계화, 전문화, 국제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인 포럼과 세미나를 통해 현대미술의 다양성을 탐험하고 예술의 감동과 아름다움을 나누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100%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며, 예약자 이외의 입장은 제한될 수 있다.

오케이 게스트하우스

오케이 게스트하우스

10.2 Km    1     2020-04-28

서울특별시 동작구 알마타길 21-18
010-2946-1708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오케이 게스트하우스는 여의도 한강변, 노량진 수산시장, 서울 전통 시장을 여행하기에 10분 거리에 있고 대방역 길 건너에 자리한 까닭에 교통이 아주 좋아 멀리까지도 여행하기에 좋은 교통권에 자리하고 있다.

메종엠오

10.2 Km    1     2022-11-10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26길 22

서울 방배동에 위치한 디저트 맛집이다. 메종엠오는 구움과자로 유명한 곳이다. 마들렌과 쿠키와 같은 구움과자와 케이크 등 다양한 종류의 제과가 있다. 선물용으로도 제격이다. 웨딩, 돌잔치 등 특별한 날을 위한 답례품이나 케이터링도 준비가 가능하다. 내부매장을 이용할 수는 있지만 테이크아웃 전용 매장이어서 매장 내부는 협소하다.

서리풀공원

서리풀공원

10.2 Km    4     2024-04-24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005-6

서울 서초구 서래마을 주민들이 즐겨 찾는 서리풀공원은 휴식과 건강을 위한 공간이다. 서리골공원과 몽마르뜨공원, 서리풀공원을 하나로 묶어 서리풀공원이라 부른다. 1970년대 군부대가 주둔하여 주민들이 접근할 수 없었던 공간이 2015년 군부대이전과 함께 2019년 조성되었다. 잔디광장을 둘러가며 조성된 산책길이 아기자기하고 편안하다. 매년 6월 몽마르뜨공원에서 열리는 반포서래 한·불 음악축제를 비롯해 11월에는 문화 교류의 장인 서래당제, 12월에는 크리스마스 프랑스 전통장터 등이 성황리에 열린다. 서리풀공원의 산책로(등산로)는 반포동부터 방배동까지 서초구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두 가지(빠른 길, 여유롭게 가는 길)의 산책로(등산로)로 구성되어있다. 약 4km 산책로(등산로)는 몽마르뜨 공원까지 이어져 도로로 단절된 산책로(등산로)를 누에다리와 서리풀다리가 연결하여 북쪽으로는 한강을 남쪽으로는 우면산을 조망할 수 있다.

태릉.강릉

태릉.강릉

10.2 Km    42381     2023-10-05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681

사적 태릉.강릉에는 조선왕조 제11대 중종의 계비인 문정왕후 윤씨를 모신 태릉과 13대 명종과 왕비 인순왕후 심씨를 모신 강릉이 있다. *태릉 태릉은 조선 11대 중종의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 윤씨의 능이다. 태릉은 왕비의 단릉(單陵)이라고 믿기 힘들 만큼 웅장한 느낌을 준다. 능침은 『국조오례의』의 능제를 따르고 있어 봉분에는 병풍석과 난간석을 둘렀다. 병풍석에는 구름무늬와 십이지신을 새겼고, 만석에는 십이간지를 문자로 새겨놓았다. 원래 십이간지가 문자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만 조성할 때 십이지신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인데, 태릉을 시작으로 십이지신상과 문자를 함께 새기는 것으로 바뀌었다. 그 밖에 석양, 석호,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문무석인, 석마 등을 봉분 주위와 앞에 배치하였다. 특히 문석인과 무석인의 귓불에 귀고리 구멍이 있는 것이 특이하다. 능침 아래에는 홍살문, 판위, 향·어로, 수복방,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었으며, 정자각은 한국전쟁 때 소실된 것을 1994년에 복원하였다. 1565년(명종 20) 문정왕후 윤씨가 세상을 떠나 능 자리를 중종의 정릉(靖陵) 부근(신정릉(新靖陵))으로 정하였으나 명종의 반대로 현재의 자리에 문정왕후의 능 자리를 정하고 능의 이름을 태릉이라 하였다. 원래 문정왕후는 남편 중종 곁에 묻히는 것을 원하여, 당시 봉은사의 주지인 보우와 의논하여 중종의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의 능(희릉) 옆에 있던 중종의 능을 풍수상 불길하다는 이유로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그러나 옮긴 정릉은 지대가 낮아 비가 오면 홍수 피해가 자주 일어났기 때문에 문정왕후는 현재의 자리에 묻히게 되었다. 『선조실록』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선릉·정릉과 마찬가지로 태릉과 강릉에도 왜적들에 의해 능이 파헤쳐졌다는 기록이 있다. *강릉 강릉은 조선 13대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능이다. 강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명종, 오른쪽이 인순왕후의 능이다. 전체적인 능침은 문정왕후의 태릉과 같은 형태로 조성하여, 봉분에는 병풍석과 난간석을 모두 둘렀고,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 석호, 석마, 문무석인 등을 배치하였다. 능침아래에는 홍살문, 향·어로, 정자각, 비각이 있고, 정자각 왼편에는 둥근 어정(御井)이 있다. 어정이란 왕이 마실 물을 위해 판 우물을 말한다. 광릉, 숭릉 등지에서도 볼 수 있다. 명종은 모후 문정왕후의 3년 상을 마친 후 며칠이 지난 1567년(명종 22)에 세상을 떠나, 태릉 동쪽 언덕에 먼저 능을 조성하였다. 그 후 1575년(선조 8)에 인순왕후 심씨가 세상을 떠나자 명종의 강릉 좌측에 쌍릉으로 능을 조성하였다. 태릉과 강릉 사이가 2km로 거리가 있고 버스로도 4~5정거장 된다. 반드시 해설사가 동행을 해야 태릉.강릉을 산책할 수 있고 1시간 정도 소요된다. 주변에는 태릉 푸른동산, 육군사관학교 등 둘러볼 만한 곳이 많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