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Km 2024-05-16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시장4길 21
남대문시장은 아동의류, 여성의류, 남성의류를 비롯하여 섬유제품, 주방용품, 선물용품, 민예품, 토산품, 식품, 수입상품, 일용잡화, 액세서리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든 상품을 취급하는 국내 최고 최대의 종합시장이다. 국내에서 가장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는 남대문시장의 최대 장점은 품질이 좋고 상품의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각 점포의 규모는 작지만 각 점포에서 상품을 직접 생산 판매하는 독립된 업체로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결되는 유통구조 때문이다. 밤 11시에 개점하여 새벽 4시가 되면 전국의 소매상들이 성시를 이룬다. 한국인의 부지런함을 보여주는 그 광경은 지구촌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이색적인 광경으로 이제 남대문시장은 한국을 방문하는 모든 외국인이 꼭 찾게 되는 세계 속의 쇼핑관광명소이다.
2.9Km 2025-04-07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창경궁(昌慶宮)은 성종이 세 명의 대비를 위해 옛 수강궁에 창건한 궁이다. 창경궁은 원래 1418년(세종 즉위) 세종이 상왕 태종을 위해 창건한 수강궁(壽康宮)이 있던 자리이다. 이후 1483년(성종 14) 성종이 세 명의 대비인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 덕종의 왕비 소혜왕후, 예종의 왕비 안순왕후를 위해 수강궁을 크게 확장하고 궁의 이름을 창경궁이라 하였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경계 없이 동궐(東闕)이라는 하나의 궁궐 영역이었으며, 주로 왕실 가족들의 생활공간으로 사용하였다. 창경궁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1616년(광해군 8) 중건하였으며, 1830년(순조 30) 대화재로 대부분의 건물들이 소실되었다가 4년 뒤에 중건하였다. 그러나 1907년 순종이 황위에 오른 후 창경궁 내에 동물원과 식물원을 조성하면서 궁궐로서의 모습을 잃기 시작하였다. 1911년에는 일제에 의해 궁의 이름마저 창경원(昌慶苑)으로 격하되어 궁궐이 아닌 공원화가 되어 훼손이 심하였다. 광복 후 1983년에 다시 창경궁으로 명칭을 회복한 후 궁궐 경내에 있던 동물원을 이전하고 본래 궁궐의 모습으로 복원공사가 진행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창경궁은 남향으로 있는 다른 궁궐과 달리 정문과 정전이 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2.9Km 2025-03-28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시장4길 21
02-753-2805
남대문 상가는 역사가 깊은 상가인만큼 수많은 품목을 자랑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다른 곳에서 구하기 힘든 물품들을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사람들에게 유명한 곳이다. 남대문 시장과 가까운 위치에 있어 전통적인 재래시장과 현대적인 쇼핑몰의 장점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헤아리기도 힘든 수많은 품목의 상품들을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카메라 부분에서는 쉽사리 구하기 힘든 부품들을 구해볼 수 있고, 전국의 각종 특산물들도 찾아볼 수 있다.
2.9Km 2024-12-22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39
010-5355-3029
서울 종로구 경운동에 자리한 시은재는 대를 이어 지켜온 한옥으로, 얼핏 봐도 오랜 세월을 느낄 수 있다. 안방과 별채, 작은방 3개 객실을 운영하는데, 안방에는 유일하게 거실이 있다. 객실마다 화장실을 갖췄고, 공용 주방시설엔 각종 주방용품과 세탁기를 구비했다. 개별 객실 숙박은 물론 시은재 전체를 빌릴 수도 있다. 종로구에 위치해 주변 관광지로의 이동이 편리하고, 자차 이용시 공용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2.9Km 2025-03-28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시장4길 21
02-778-8932
남대문 시장에는 옷과 수입품 못지않게 단일품목으로 규모가 큰 액세서리 상가가 있다. 퇴계로변 남대문시장 쪽에 연세 상가, 영창, 장안, 원랭땅, 남문, 렝땅, 유성상가, 실 로암상가 등이 몰려 있다. 남대문로 시장쪽에 우주상가, 삼호마게트가 있다. 이들 상가에서는 약 2천여곳의 악세 사리 전문점이 들어서 있는데 이는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한 품목만 전문으로 파는 점포가 많으며 금, 은도금, 천연소재 플라스틱등 머리핀에서 발, 목걸이까지 신체 및 의류, 모자 등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를 직접 제조판매함에 따 라 국내는 물론 세계시장에도 전문악세사리 상가로 유명하다.
2.9Km 2025-03-21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11길 37-53 (압구정동)
리버시티 수상스키장은 사회체육발전과 건전한 레저문화를 즐길 수 있는 도심 속에 자연과 즐기는 레저 문화공간 선두주자 역할을 하는 레포츠 클럽이다.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 한강시민공원 내에 위치해 있으며, 편리한 교통으로 누구나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리버시티 수상스키장에서는 수상스키, 웨이크보드 교육을 위한 자격을 갖춘 최고의 강사진의 지도로 안전하게 수상 스포츠를 즐길 수 있으며,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도 어렵지 않게 배우고 즐길 수 있다. 웨이크보드용 인보트, 스키용 아웃보트, 수상 레저를 위한 놀이용 플라이피쉬, 땅콩보트, 바나나보트, 밴드웨건 등 수상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각종 장비를 갖추고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연습용 스키, 보드, 에어체어를 갖추고 있어 기다림 없이 즐길 수 있다. 뜨거운 햇빛 아래에서 시원하게 쉴 수 있도록 시설 전체에 파라솔을 준비해 뒀으며, 2층에는 선베드를 구비하여 편안한 쉼터를 제공한다.
2.9Km 2025-01-03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시장4길 21
02-753-2805
중앙상가는 각종 여성용품과 우리나라의 특색 있는 제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1층 여성의류 전문매장에는 전국의 다양한 디자인의 여성의류가 한곳에 모여 있어 쇼핑을 즐기는 여성들이 많이 찾는 곳이며, 액세서리 전문점도 함께 있어 쇼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층은 외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민속공예품 및 전통공예품들이 많은 곳이며 포목, 수예, 침구, 전통혼례 용품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2.9Km 2024-11-28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3
예술가의 창작을 지원하고 예술가와 예술가, 예술가와 시민과의 소통을 지원하는 매개형 열린 공간이다. 예술가의 집은 일제강점기에 경성제국대학 본관으로 사용됐던 건물로 사적 278호로 지정되었으며, 설계는 우리 건축계의 선구자인 박길룡(1898~1943)이 하였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청사로 사용되다가 2010년 12월 예술가의 집으로 바뀌었다. 현재 1층은 청년예술가를 위한 아르코영아티스트랩, 2층은 누구나 와서 쉴 수 있고 드립커피 체험을 할 수 있는 예술가의집 라운지, 3층은 예술 창작을 위한 대관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2.9Km 2024-11-28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비우당은 [비를 가리는 집]이라는 뜻으로 조선 중기 실학자인 지봉 이수광이 살던 곳이다. 낙산 동쪽 상산의 한 줄기인 지봉 아래 있었는데, 이수광의 호 지봉이 여기에서 나왔다. 원래는 창신동 쌍용 2차 아파트 자리에 있었는데 서울시에서 낙산공원을 조성하면서 현재의 자리에 복원하였다. 비우당은 부엌 1칸, 방 2칸으로 이루어진 조선시대 전형적인 서민 가옥 형태를 하고 있다. 원래 이수광의 외가 쪽 인물로 청백리로 널리 알려졌던 유관이 살았던 집을 이수광이 고쳐지어 살았다고 전해지는 집이다. 집터 뒤편에는 단종비 정순왕후가 폐위된 뒤 빨래를 했던 곳으로 전해지는 자주동샘과 거북 모양의 바위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