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Km 2025-03-06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백산면 하서3길 84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백산서원은 1928년 일제강점기에 창건된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으며,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청곡 윤찬을 비롯하여 구봉 윤여임, 죽계 백선남, 죽음 윤자선, 담재 윤자민 등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제사를 지내는 사당인 백산사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기와집이다. 무인 및 무관들이 모여서 강의를 하던 강당은 정면 5칸이다. 내삼문과 외삼문은 모두 3칸이다. 사당의 기둥은 백두산에서 베어 낸 나무를 바다를 통하여 옮겨 왔다고 한다. 전체적으로 색이 바랬으나, 상당히 큰 규모의 사원이다. 파평 윤씨 백산사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19.3Km 2025-03-13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2가 1316
도심 속에 자리한 아늑한 호수로 주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공간이다. 주변 고층 아파트들과 어우러져 이색적인 풍경을 연출하는데, 도심 속 자연이라는 콘셉트를 지닌 듯 세련되면서 자연스러운 멋을 자랑한다. 호수 주변으로 조성된 데크길은 고층 아파트의 불빛과 데크길 조명이 어우러진 야경 명소로, 밤에 특히 인기가 많다. 야경 명소로 널리 알려지면서 인근 주민들뿐만 아니라, 여행객들도 즐겨 찾는다. 호수에 비친 고층 아파트의 불빛은 한 폭의 그림과 같아 사진을 찍기 위해 이곳을 찾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19.3Km 2024-12-1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2가 1316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하는 피크닉을 원하는 이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 중 하나가 전주의 세병공원이다. 이 공원은 아름다운 경치와 함께 아파트 단지에 둘러싸여 자리하고 있어 주민들 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에게도 사랑받는 곳이다. 넓은 잔디밭에 돗자리를 깔고 누워있으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세병호 주변에는 피크닉을 즐기는 이들을 위해 장비를 유료로 대여해 주는 시설도 마련되어 있어, 피크닉을 즐기기 위한 준비만 되어 있다면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다. 이곳은 자연 속에서의 평온한 시간을 원하는 이들에게 최적의 장소로, 즐거운 추억을 만들기에 안성맞춤인 장소이다.
19.3Km 2024-06-07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백산면 하정로 163-73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익산시 쪽으로 6㎞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다. 백산저수지는 다른 저수지와는 달리 주변에서 집수된 물이 아닌 섬진강 수계인 운암호의 물을 간선 수로로 이동하여 펌프로 퍼 올려 저장하는 저수지이다. 호남 야산 개발과 함께 축조된 저수지로서 1969년 착공하여 그해 12월 준공되었으며 현재 한국농어촌공사 동진지사가 관리하고 있다. 백산저수지에서는 붕어, 잉어, 향어 등 대어들이 많이 나와 낚시꾼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아름다운 서해의 낙조와 자연 농원지구, 금만경평야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19.4Km 2024-08-26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씨앗길 232
063-278-5714
종자수출 확대를 통해 국내 종자산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고, 대국민 인지도 및 중요성 확산을 위해 2024 국제종자박람회가 개최된다. 국내 종자기업이 개발한 품종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종자산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유성,지원하기 위해 2017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다.
19.4Km 2024-08-28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세병로 177-44 (송천동2가)
063-228-2218
조선팝의 도시인 전주에서 만나는 2024 전주 조선팝 상설공연은 지역 예술인들의 공연을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이다.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매년 조선팝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전통적인 음악과 현대적인 음악의 결합을 통해 남녀노소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조선팝 공연으로 가을이 시작되는 밤 풍류를 만끽하는 시간이 되시길 바란다.
19.4Km 2025-04-28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세병로 177-44 (송천동2가)
064-782-9135
2025 청춘마이크 전라제주 <청춘퍼레이드>는 단순히 공연의 연속이 아닌, 문화적 교류와 축제의 장을 열어가는 여정이다. 전라권과 제주권의 청년예술가와 지역 주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참여형 축제로 함께하는 모든이에게 문화의 활력을 불어넣고, 연결과 소통의 장을 만들어가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19.4Km 2025-03-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2
일재 이항·건재 김천일을 비롯하여 김점·김복억·김승적·소산복을 기리고 있는 서원이다. 이항(1499∼1576)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은 학자이다. 김천일(1537∼1593)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군을 무찌른 장수이다. 이 서원은 선조 10년(1577)에 이항과 김천일을 추모하기 위해 세웠고 숙종 11년(1685) 임금으로부터 ‘남고’라는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다. 그 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광무 3년(1899)에 다시 지었는데 이때 김점·김복억·김승적이 추가로 배향되었으며, 1913년에는 새로 소산복의 위패를 모시게 되었다. 서원 경내에는 사우와 강수재, 내삼문, 외삼문 등이 있다. 사우는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안쪽은 중앙에 이항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그 좌우에 나머지 인물들의 위패가 있다. 이곳에서는 해마다 2월과 8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강당인 강수재는 앞면 4칸·옆면 3칸의 규모이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가운데 2칸은 대청이고, 좌우에 방을 배치하였다. (출처: 국가유산청)
19.4Km 2024-10-29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백구면 황토로 1074-30
부용사는 1936년 창건된 대한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이다. 이곳은 단청 기능보유자인 국가무형문화재 승려 김일섭이 1936년에 창건하였다. 당시 지금의 요사채인 초가 8칸을 구입하여 불상을 봉안해 오다가 1961년 대웅전을 신축한 데 이어 산신각, 칠성각, 요사 2동을 건립하여 사찰의 면모를 갖추었다. 1968년에 명부전 4칸을 신축하고 미륵불을 봉안하였으며 칠층석탑을 세웠다. 대웅전에 아미타불 좌우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협시로 배치하였다. 이 아미타불은 김일섭이 손수 제작한 것이며, 좌우 협시불인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도 석고상으로 만들어 불교미술전람회에 출품했던 작품이라고 한다. 절 마당에는 칠층석탑과 미륵불, 사사자오층석탑 등이 있다. 부용사의 미륵부처가 영험한 것으로 알려져 약사여래불상 앞에 엎드려 불공을 드리면 반드시 효과를 본다는 신기한 전설이 전한다. 부용사에는 백련지가 있는데, 여름이면 연꽃이 만발해 장관을 이루며 그윽한 향기를 뿜어낸다.
19.6Km 2024-05-23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강진면 이윤길 76
임실군에 위치한 글램핑장이다. 한국 시골의 느티나무 숲이 우거진 곳에 아름답고 아늑한 몽골 게르가 있다. 게르는 캔버스 해먹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시원한 물소리를 즐길 수 있는 작은 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엠퍼러 텐트가 준비되어 있어 감성적인 소품들과 함께 사진 찍기 좋다. 그리고 버블호텔이 있어 동화 속에 온듯한 이색경험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