뚝도지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뚝도지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뚝도지기

뚝도지기

1.0 Km    2     2022-11-07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이로 30-4

뚝도지기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 3번 출구, 대로변에 있는 해산물 전문점이다. 매장에 별도의 주차장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상가 건물 1층에 자리한 이곳은 매장 입구에 수족관을 두고 다양한 요리는 선보이는 맛집이다. 메뉴로는 해신탕, 해산물 모둠, 소라찜, 무침, 멍게만, 꼬막, 연포탕), 골고루 조개탕이 있고, 그 외 다양한 생선 요리와 해산물 메뉴가 있다. 서울숲이 가까이에 있어 가볍게 산책할 수 있고, 성수동카페거리, 성수동구두테마공원, 뚝섬유원지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정관장 신촌역

정관장 신촌역

10.0 Km    0     2024-04-24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78

-

엘지베스트샵 홍제점

엘지베스트샵 홍제점

10.0 Km    0     2024-03-23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413

-

호텔인카페

10.1 Km    2     2023-12-26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

호텔인카페는 구리역에서 도보 12분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인근에는 구리 전통시장이 있다. 이 호텔은 특이하게도 1층 로비에 북카페를 연상케하는 서재가 있으며, 프런트에 문의하면 책을 대여할 수도 있다. 2층에 위치한 24시간 무료 스낵바에는 음료와 커피, 토스트 등의 간식거리가 준비되어 있으며 전자레인지와 간단한 세탁이 가능한 드럼 세탁기도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호텔의 가장 큰 특징은 고사양의 게이밍 PC가 전 객실에 구비되어 있어 인기있는 최신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대형 UHD TV로 넷플릭스도 시청할 수 있다. 진정한 호캉스를 누릴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춘 셈이다. 이밖에도 세스코제휴업체로 위생적이고 청결한 객실과 넉넉한 주차장, 퇴실 10분 전 차량대기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여의도생고기 내곡점

여의도생고기 내곡점

10.1 Km    0     2024-04-12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흥말길 27-9

여의도 생고기 내곡점은 신분당선 청계산입구역 1번 출구 서울특별시립어린이병원을 지나 강남서초예비군훈련장 인근에 있다. 이곳은 도심을 벗어난 근교에 있어 자연경관을 함께 즐기며 여유로운 식사를 할 수 있다. 주메뉴는 소 한 마리, 돼지 한 마리, 소스페셜, 돼지스페셜, 한우등심, 생삼겹살이다. 점심 특선 메뉴로 갈비탕, 불고기전골, 육회비빔밥, 두루치기, 차돌된장, 김치전골, 함흥냉면, 만두한판이 있다. 주차장이 넓어 편리하다. 식당은 야외 테이블은 물론, 넓은 홀에 가족모임, 회식에 적합한 테이블도 다양하게 세팅되어 있다. 족구장이 있어 이용할 수 있다. 식당 인근에 현인릉, 범바위산, 인릉산이 있다.

별별놀이터

별별놀이터

10.1 Km    1     2024-02-06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070-4705-3571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주최하는 <별별놀이터>는 "별별 즐거움이 몽땅"이라는 주제로 8/4(금)~8/5(토), 2일 간 서울 강남구 율현공원에서 개최된다.

축제는 별별클래스, 별별놀이터, 별별피크닉, 별별스테이지 4개의 테마로 어린이와 가족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문화·체험 프로그램이 무료로 진행된다.

소림사(서울)

소림사(서울)

10.1 Km    24891     2023-10-1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검정로 241-3

소림사는 서울시 종로구 홍지동 80-1번지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직할사찰이다. 인왕산을 앞에 두고 북악산을 뒤로한 공기 맑고 풍경 좋은 세검정(洗劍亭). 북악산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계곡물 한가운데 자리하고 있는 세검정은 인조반정 당시 이귀, 김유 등이 칼을 씻고 창의문을 통하여 궁궐로 들어갔다는 이야기로 유명한 역사의 산실이다. 이 세검정 맞은편 산허리에 소림사는 자리한다. 세검정에서 바라보는 소림사의 전경은 나무숲에 가려져 아주 고즈넉해 보인다. 비구니 수행도량으로 화려한 장식의 다른 사찰들보다 오히려 아늑하고 편안한 느낌을 준다. 경내에 들어서면 불공을 드릴 수 있는 작은 법당과 그 앞 작은 마당의 한가운데를 꽉 채우는 석탑, 말끔하게 정리된 모습에서 소박한 멋을 배우게 된다. 소림사(小林寺)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달마대사가 9년 동안 면벽좌선한 곳인 중국의 쑹산 소림사에서 유래되었다. 조선 태조가 즉위하기 전 이곳의 작은 굴에서 기도하여 뜻을 이루자 1396년(태조 5) 당대의 선승으로 이름을 날리던 혜철(惠哲) 선사로 하여금 절을 짓게 하고 ‘소림굴(小林窟)’이란 편액 내렸다고 것이다. 이후 1817년(순조 17)에 관해(觀海) 스님이 중건하면서 '소림사'라 개칭하여 현재까지 그대로 불리고 있다.

야바이

야바이

10.1 Km    2     2021-03-15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7안길 37
070-8875-1024

일본요리와 퓨전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일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오코노미야끼다.

마장동한우촌

마장동한우촌

10.1 Km    1     2024-02-05

경기도 구리시 벌말로 92

마장동 한우촌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에 위치한 가성비 좋은 정육 식당이다. 식당 내부는 넓고 깔끔하며, 회식 및 모임을 위한 룸도 구비되어 있다. 정육 식당으로 상차림 가격을 따로 내야 하지만 반찬이 다양하며, 한우 선짓국도 제공한다. 소고기는 한쪽에 있는 정육점에서 골라 올 수 있다. 부위 별로 다양하며 가격도 다 다르지만 다른 한우 고깃집에 비하면 가성비가 좋다.

옥천암(서울)

옥천암(서울)

10.1 Km    27869     2023-09-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지문길 1-38

옥천암는 서울시 서대문구 홍은2동 8번지 북한산 끝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직할사찰이다. 관세음보살은 광세음보살(光世音菩薩) 또는 관세음자재보살(觀世音自在菩薩)이라고도 하며 보통 줄여서 관음보살이라고 부른다. 대자대비(大慈大悲)를 서원으로 하는 관음보살은 우리나라에서 주로 『화엄경』, 『법화경』, 『아미타경』, 『능엄경』을 중심으로 그 신앙이 전개된다. 각 경전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마음속에 간직하고 염불하면 모든 고통의 속박에서 벗어나고 어떠한 고난이나 재액에서도 반드시 해탈을 얻게 된다고 한다. 옥천암(玉泉庵)은 동해의 낙산 홍련암(紅蓮庵), 서해의 강화도 보문사(普門寺), 남해의 보리암(菩提庵)과 함께 4대 관음기도 도량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옥천암에 있는 관음보살상 때문인데, ‘보도각 백불(普渡閣 白佛)’로 불리는 이 관음보살은 많은 영험담을 가지고 있다.일찍이 조선 태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할 때도 이 석불에 기도한 일이 있고, 또 흥선대원군의 부인 민씨(閔氏)도 아들인 고종을 위해서 자주 찾아와 기도하였다고 한다. 삼각산의 맥이 비봉과 향로봉을 거쳐 인왕산으로 이어지기 직전 삼각산이 끝나는 지점에 자리한 옥천암은 서울이 대규모로 도시화되기 전만 해도 옥같이 맑은 물이 흘렀다. 그러한 까닭으로 절 이름 또한 옥천암이라 불리었던 것이다.

[옥천암 마애좌상(보도각 백불)]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1973.06.07 지정)
보도각 백불의 정확한 명칭은 '홍은동 보도각 마애보살좌상(弘恩洞 普渡閣 磨崖菩薩坐像)'이다. 흰색의 호분이 전체적으로 두껍게 칠해져 있기 때문에 백불(白佛) 또는 해수관음(海水觀音)이라고도 한다. 마애불상은 근래에 세워진 정면 1칸, 측면 2칸의 보도각이란 전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조선 태조 이성계가 서울로 도읍을 정할 때 이 석불에 기원을 했으며, 조선후기에는 고종의 어머니 흥선대원군의 부대부인 민씨도 아들의 천복을 빌었는데 이때부터 하얗게 칠을 하였다고 한다. 머리에는 꽃무늬가 장식된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머리카락은 어깨를 따라 팔꿈치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비교적 둥근 얼굴은 눈이 가늘고 입이 작게 표현되어 고려시대 불상의 일반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옷은 양쪽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신체는 전체적으로 단정한 모습이다. 옷주름은 선이 깊지는 않지만 신체 전반에 부드럽게 흘러내리고 있다. 손은 오른손을 들어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려놓은 아미타불의 손모양을 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마애불로서 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보물)과 같은 계열의 작품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