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커피빌리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더커피빌리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더커피빌리지

더커피빌리지

10.5 Km    1     2023-09-14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오산로 45-49

더커피빌리지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 있는 프리미엄 대형 브런치 베이커리 카페이다. 커피와 다양한 베이커리를 비롯한 브런치, 스테이크 등 다양한 유기농 식사 메뉴도 있다. 이곳에선 이스트를 쓰지 않고 유기농 재료로 만든 천연 발효종 빵과 국내 유기농 인증을 통과한 커피만 엄선해 판매한다. 예쁜 정원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2층엔 넓은 통창 뷰의 근사한 자리들이 즐비하다. 반려동물 동반도 가능하고 100대 이상 주차할 수 있는 넓은 주차장을 갖추고 있다. 각종 부대행사 및 클래식 공연, 그랜드 피아노를 이용한 발표회, 세미나, 스몰웨딩 등의 목적으로 대관도 할 수 있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자연그리고어반

자연그리고어반

10.5 Km    0     2024-06-12

경기도 의왕시 바라산로 83

'자연 그리고 어반'은 경기도 의왕시 학의동 바라산 자연휴양림 입구에 위치해 있다. 구이와 조림 전문으로 화덕에 구워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게 된 신선한 생선구이와 맛이 깊은 생선조림을 맛볼 수 있다. 주차가 편하고 2층 규모의 커다란 단독 건물이라 여유 있는 식사가 가능하다. 원목 인테리어가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으며 깐풍기, 미역국, 잡채, 샐러드와 같은 밑반찬을 얼마든지 가져다 먹을 수 있는 셀프 바도 인기이다.

올리브영 수원호매실점

10.5 Km    0     2024-06-11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금곡로 102번길 15

-

행복한콩박사

행복한콩박사

10.6 Km    0     2024-02-21

경기도 오산시 양산로398번길 8-11

행복한 콩박사는 한산 대학교 경기캠퍼스 근처에 있는 두부 전문 음식점이다. 국산 콩 종자를 받아 대를 이어 직접 농사를 짓고 두부를 만들며 전통 방식으로 장을 만들어 사용한다. 이 식당은 가게 앞에 넓은 주차장이 있어 주차하기 편하다. 넓은 매장 안에는 추가 반찬을 이용할 수 있는 셀프바 뒤로 테이블이 있고 여러 개의 룸이 있어 각종 모임을 할 수 있다. 신선한 재료와 화학성분이 없는 천연 조미료를 사용하며 두부 본연의 맛을 볼 수 있다. 출입구 쪽에 콩을 만들고 나온 비지를 비치하여 무료로 제공한다. 이곳은 테이블 회전율이 높고 음식이 빨리 나오며 모든 메뉴는 포장이 된다.

메밀정원

메밀정원

10.6 Km    2     2022-10-24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칠보로88번길 122

메밀정원은 수원시 호매실동 포레스트 갤러리카페 바로 옆에 있는 메밀 음식점이다. 1977년부터 영업을 시작해 2대째 이어 내려오는 맛집으로 강원도에서 모든 식재료를 공급받아 사용한다. 식당 앞에는 카페와 같이 사용하는 넓은 주차장이 있고 정원처럼 꾸민 마당에 테이블이 놓아 식사를 하거나 대기하는 장소로 사용한다. 대표 메뉴는 메밀정식이고 메밀국수, 메밀전, 메밀전병도 있다. 또한 쭈꾸미 정식, 곤드레정식, 생감자옹심이 칼국수도 인기다. 면류는 주문과 동시에 반죽과 삶기를 하므로 약간의 기다림을 필요로 한다. 식당 내부와 외부를 전원 주택처럼 꾸며 놓아 편하게 식사할 수 있고 오픈 룸도 구비되어 있어 모임 장소로도 적합하다. 근처에 칠보산이 있어 등산객들도 많이 찾는 맛집이다. 뒤편에 커피자판기와 메밀차가 별도로 준비되어 있어 식후 후식을 즐길 수 있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

그린그라스

그린그라스

10.6 Km    1     2023-02-08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로202번길 1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그린그라스 카페는 정원이 예쁜 카페로 유명하다. 실내 및 정원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테이블과 의자가 있다. 야외정원 그늘막 또한 다양한 패턴으로 되어 있다. 대표 메뉴인 그린그라스라테는 말차라테에 콜드부르와 바닐라크림을 더한 음료다. 1인 1메뉴를 시켜야 하며, 차가운 음료는 모든 음료에 500원이 추가된다. 피자, 파스타 브런치 등 식사류 1개 주문 시 커피 2잔은 20% 할인된다. 별채는 4인 이상 예약할 수 있고 야외정원은 예약을 따로 받지 않는다. 반려견은 야외에서만 동반할 수 있다. 대중교통 노선이 다양하지 않아 자동차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반려동물 동반 실외만 가능(실내불가)

민들레화로

민들레화로

10.6 Km    0     2023-12-26

경기도 오산시 외삼미로 7

민들레화로는 경기도 오산시 외삼미동에 위치해 있다. 국내산 한돈과 생고기만을 취급하고 있으며, 대표메뉴인 통갈매기살을 비롯하여 가브리살, 항정살, 삼겹살을 판매하는 돼지특수부위전문점이다. 이곳만의 진한 참숯의 향과 고기육즙을 느낄 수 있다. 넓은 좌석과 주차공간을 보유하고 있고, 어린이를 위한 놀이방을 운영해 이용하기 편리하다. 오산죽미령평화공원, 오마이주 등과 연계 관광이 가능하다.

에스타시온

에스타시온

10.6 Km    1     2023-01-25

경기도 의왕시 초평로 201

에스타시온은 경기도 의왕시 초평동에 있는 레스토랑이다. 레스토랑, 브런치 카페, 야외 바비큐로 운영되고 있다. 3층 건물로 1층은 레스토랑, 2층은 카페, 3층은 프라이빗한 룸이다. 레스토랑 메뉴는 파스타, 피자, 수프, 샐러드, 스테이크 등이 있다. 카페 메뉴는 다양한 브런치와 커피, 라테, 주스, 에이드 등이 있다. 야외 정원에서는 바비큐를 먹을 수 있다. 3층 룸은 주말에만 운영한다. 넓은 전용 주차 공간이 있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근처에 왕송호수가 있어 둘러보기 좋다.

동탄중앙어울림센터

동탄중앙어울림센터

10.6 Km    1     2023-09-20

경기도 화성시 동탄대로시범길 133

실내공간으로 이뤄진 체육시설이라 사계절 이용 가능하다. 주민센터, 사회복지관, 카페, 로컬푸드 직매장, 체육센터, 도서관 등 행정과 복지, 체육을 한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복합 커뮤니티센터이다.

화성 융릉(장조,헌경왕후)과 건릉(정조,효의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화성 융릉(장조,헌경왕후)과 건릉(정조,효의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10.6 Km    40864     2024-05-10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조선 제 22대 왕 정조는 효심이 각별했던 임금이다. 왕위에 있는 동안 보여준 지극한 효심은 백성에게까지 추앙을 받았다. 그는 비명에 숨져간 부친 사도세자의 묘를 옮겨 묘호를 바로 세우는 등 선친의 원혼을 위로하는 한편 1년에도 수차례 능 참배길에 나섰고 가식없는 효심으로 백성을 감복시켰다. 정조는 사후에도 부친의 능이 있는 지금의 화성시 화산기슭에 묻혔다. 수원시 교외 약 8km쯤에 자리잡은 융건릉(隆健陵 사적)은 부친 사도세자(장헌세자) 장조와 그의 비 혜경궁 홍씨(헌경왕후)를 모신 융릉(隆陵)과 정조대왕과 그의 비 효의왕후 김씨를 모신 건릉(健陵)을 말한다. 융릉은 화산의 서남쪽, 건릉은 서북쪽 기슭에 들어 있어 모두 서향이다.

그래서 해질녘의 분위기가 더욱 그윽하고 깊은 느낌을 안겨 준다. 이들 능 입구에는 재실이 있고, 능 주변은 하늘을 가린 짙은 송림과 상수리 나무숲이 이루어져 있어 역사교육과 숲길 산책으로 권장할 만한 곳이다. 능을 다 돌아보는 데는 숲속 오솔길로 1시간 정도 걸린다. 융건릉과 함께 들러 보아야 할 곳으로 기복사인 용주사가 있다. 정조는 능에서 1.5km인 용주사를 증축할 때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을 목판에 새겨 보존하도록 명을 내리고 당대 제일의 화가 김홍도에게 맡겨 아름답게 꾸미도록 했다. 50여 목판과 함께 대웅전 옆 잔디밭에는 10개 항에 이르는 부모은중경을 새긴 탑비가 우뚝 서 있다. 대웅전 후불탱화는 김홍도의 지휘로 그려진 걸작이고 정조대왕이 심었다는 대웅전앞 회양목은 수령이 무려 200여년이 넘는 천연기념물이다. 범종각의 동종도 상원사 동종, 국립 경주박물관의 에밀레종 등과 더불어 손꼽히는 걸작이다.

* 융릉

융릉은 조선 제22대 정조의 아버지인 장조(1735~1762)와 그의 비인 헌경왕후(獻敬王后)(1735~1815) 홍씨가 묻힌 곳이다. 1749년(영조 25년) 부왕을 대신하여 서정을 하면서 정치적 견해를 달리하는 노론들과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 김씨, 숙의 문씨 등의 무고에 의해 영조의 미움을 사 영조 38년 (1762) 뒤주 속에 갇혀 세상을 떠났다. 그후 영조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의미로 사도라는 시호를 내렸고, 묘호를 수은묘라 하였다. 그의 아들 정조가 즉위하자, 장헌으로 추존되었다가, 1899년 (광무 3년)에 다시 장조로 추존되었다. 장조의 무덤은 경기도 양주 배봉산 (현재의 동대문구 휘경동)아래에 있었는데 정조가 수원화산으로 옮기면서 현륭원이라고 하였고, 장조로 추존된 뒤 능호를 융릉으로 높였다. 헌경왕후는 영의정 홍봉한의 딸로 1744년(영조 20년)에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다. 장조가 세상을 떠난 뒤 혜빈 정조 즉위년에 궁호를 혜경으로 올렸고, 뒤에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헌경황후에 추존되었다.

남편의 참사를 중심으로 자신의 한 많은 일생을 자서전적인 사소설체로 적은 [한중록]을 남겨 궁중문학의 효시가되었다. 웅릉은 합장릉으로 동,서, 북 3면에 곡장을 두르고, 봉분은 모란과 연화문을 새긴 병풍석을 둘렀는데 난간석은 생략되었다. 그러나 방위 표시를 위해, 병풍석 위에 꽃 봉오리 모양의 인석에 문자를 새겨 넣었다. 봉분 바깥으로 석호와 석양을 각각 2기씩 배치하여 봉분을 호위하고 있다. 봉분 앞에는 상석, 망주석과 장명등, 문인석과 무인석, 석마들을 배치하였는데, 추존 왕릉임에도 무인석까지 배치한 점이 중요하다. 또한 제향을 지내는 정자모양을 한 정자각, 정자각 뒤로 제향 후 축문을 태워 묻는 사각형의 석함인 예감, 비를 인치하는 비각, 제물을 준비하는 수라간, 제향후 축문을 태워 바라보는 곳인 망료위 등의 부속 시설이 있다. 신문, 정자각까지는 두 사람이 걸을 수있는 폭의 신도와 어도로 구분하였고, 정자각 그 아랫단 왼편까지 넓게 박석을 깔았다. 융릉은 누가 보아도 능 조영에 정성을 들인 정조의 효심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 건릉

건릉은 정조(1776-1800 : 재위, 1752-1800)와 효의왕후(1753-1821) 김씨가 묻힌 곳이다. 정조는 장조의 아들로 1759년 (영조 35년)에 세손에 책봉되었다. 1762년 장헌세자가 비극의 죽음을 당하자 영조의 맏아들 효장 세자(추존)의 후사가 되어 왕통을 이었다. 1775년(영조 51년) 연로한 영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하였고, 영조가 승하하자 1776년에 왕위에 올랐다. 정조는 아버지인 장헌 세자가 당쟁에 희생되었기에 왕권을 강화하고 체제를 재정비하기 위하여 영조 이래의 기본 정책인 탕평책을 계승하였다. 왕실의 도서관인 규장각을 설치하였고 새로운 인물들을 대거 등용하여 새로운 혁신정치를 펼쳤다. 또한 임진자, 정유자 등의 새로운 활자를 만들었으며, [속오례의][국조보감][대전화통][증보동국문헌비고] 등의 많은 서적을 편찬, 간행하였다. 재위기간은 정조의 학문적 소양에 터전한 적극적인 문화 정책의 추진과 선진문화인 중국의 건륭 문화의 영향 등으로 문화적인 황금시대를 이루어 조선후기 문예부흥기를 이루었다.

효의 왕후는 청원부원군 김시묵의 딸로 1762년 (영조 38년) 세손빈으로 책봉 되었으며, 정조가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 1821년 (순조 21년) 창경궁에서 승하하였다. 건릉은 합장릉으로 동,서,북 삼면의 곡장에 병풍석을 두르지 않고 난간석만 둘렀으며 다른 상설내용은 융릉의 예를 따랐다. 석물은 난간석 바깥으로 석호와 석양을 각각 4기씩 배치하여 봉분을 호위하고 있다. 봉분 앞에는 상석, 망주석과 장명등, 문인석과 무인석, 석마들을 배치 하였다. 또한 제향을 지내는 정자 모양을 한 정자각, 정자각 뒤로 제향 후, 축문을 태워 묻는 사각형의 석함인 예감, 비를 안치하는 비각, 제물을 준비하는 수라간, 제향 후 축문을 태워 바라보는 곳인 망료위 등의 부속 시설이 있다. 신문, 홍전문에서 정자각까지는 신도와 어도로 구분 하였고, 정자각 그 아랫단 왼편까지 넓게 박석을 깔았다. 신문 밖으로 능의 수호, 관리를 위한 재실이 있다.

* 장조 (사도세자)

1) 조선조 21대 영조의 둘째 아들로 이름이 선으로 영빈 이씨의 소생이며 영조 11년(1735)1월 21일 창경궁에서 탄생
2) 영조 12년(1736년) 2세에 왕세자로 책봉되고 영조 25년(1749년)에 수렴청정
3) 영조 38년(1762년)윤 5월 21일 뒤주에 갇혀 28세로 승하
4) 시호를 사도라 하고 7월 23일 경기도 양주군 남면 중량포(현 동대문구 답십리) 배봉산에 장사 지내여 원호를 영우원이라 하였다가 27년 후인 정조 13년(1789년) 10월 7일 이곳 화산으로 천장하고 원호를 현륭원이라고 고침
5) 광무 3년 10월에 왕으로 추존하여 묘호를 장종이라 하고, 능호를 융릉이라 하였다가 같은해 11월에 시호를 의황제라 추존하고 묘호를 장조로 고침

* 헌경왕후 (혜경궁 홍씨)
1) 풍산 홍씨로 영의정 홍봉한의 딸로 영조 11년 (1735년) 6월 18일 탄생
2) 영조 20년 (1744년) 10세때 세자빈으로 책봉
3) 순조 15년 (1815년) 12월 15일 81세로 승하하여 3월 3일 현륭원에 합장
4) 정조 즉위해 (1776년)에 궁호를 혜경궁이라 하고 광무 3년 (1899년) 경의왕후로 추존하고 같은 해 11월에 황후로 추존함

* 정조 (조선 22대 임금)
1) 정조는 장조(사도세자)의 아들로 재위 24년(1776-1800년)동안 탕평정치를 실시하고 선정을 베풀고 규장각을 두어 학문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2) 장조(사도세자)의 둘째 아들로 이름이 산으로 어머니는 현경의황후(혜경궁 홍씨)이며 영조 28년(1752년) 9월 22일 탄생
3) 영조 35년(1759년)왕세손으로 책봉되고 영조 51년 (1775년)에 수렴청정하고 이듬해(1776년) 3월 10일 경희궁에서 즉위
4) 정조 24년(1800년) 6월 28일창경궁에서 49세로 승하
5) 묘호를 정종이라 하고 11월 6일 융릉 동쪽 2째 능선에 장례하였다가 22년 후인 순조21년(1821년) 9월 13일 현 위치로 천장
6) 광무 3년 11월 선 황제로 추존하고 묘 호를 정조로 고침

* 효의선황후
1) 청풍김씨 청원 부원군 김시묵의 딸이며 영조 29년 (1753년) 12월 13일 탄생
2) 영조 38년 (1762년) 2월에 왕세손 빈으로 책봉됐다가 정조가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
3) 순조 21년 (1821년) 3월 9일 창경궁에서 69세로 승하하여 9월 13일 건릉에 합장
4) 광무 3년 11월 효의선왕후로 추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