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Km 2025-03-16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봉무로153번길 79
031-332-1122
동탄신도시 부근의 한화리조트 용인 베잔송은 객실과 부대 시설, 기업 비지니스를 위한 MICE 시스템, 36홀의 골프 코스를 갖춘 경기 남부를 대표하는 콘도&리조트이다. 용인에서도 남쪽에 위치해 가족 나들이 명소로 각광받는 에버랜드, 한국민속촌, 안성팜랜드와 20~30분 거리로 가깝고 동탄신도시나 오산과도 10~15분 거리로 인접해 있다. 연면적 7만 9957m²에 총 261실의 객실을 갖췄으며 세미나실, 식음료장, 편의점, 사우나, 플라자CC 용인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키즈 테마시설인 째깍섬, 프로맘킨더와 가구 전시 및 인테리어 컨설팅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어반베이스 동탄 등이 있다. 특히, 뽀로로 캐릭터 객실은 직접 그림을 그릴 수 있는 DRAW, 동화책으로 꾸민 READ, 뛰고 숨고 놀면서 오감을 자극하는 ROLE, 뽀로로가 되어보는 무대가 준비된 MAKE 등 총 4가지다. 그 외 식음료장으로는 브런치&다이닝을 즐길 수 있는 37.5 시그니처와 펍인 달빛가든, 야외 셀프 바베큐장이 있다.
10.2Km 2024-08-16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팔달로52번길 43
1970년 수원역과 경기도청 사이 고등동에서 개업하여 50여 년간 3대째 이어오는 중화요리 전문점이다. 수원을 대표하는 화교 중식당으로 실내를 중국풍 인테리어로 꾸몄다. 간짜장 맛집으로 소문이 났고 짬뽕과 바삭한 탕수육은 꾸준히 사랑받는 인기 메뉴이다. 식당 내부가 넓어 대기시간이 길지 않고 쾌적한 환경에서 식사가 가능하다.
10.2Km 2025-03-20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봉무로153번길 79
한화리조트 플라자CC 용인은 서울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컨트리클럽으로, 36홀의 코스로 여유 있고 골프 코스가 차별화되어 있어 선호도에 따라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쾌적한 라운딩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골프의 최적지이다.
10.2Km 2024-11-13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로 129 (고색동)
경기 수원의 오렌지베이글은 예쁜 건물 외관과 넉넉한 주차 공간을 갖춘 곳으로 트렌디하면서도 따뜻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편안한 분위기를 자랑한다. 고소하고 쫄깃한 베이글과 다양한 맛의 스프레드를 제공하며, 매장에서 직접 만든 신선한 디저트와 풍미 깊은 커피도 준비되어 있다. 아늑한 인테리어 덕분에 친구와 모임 장소 또는 혼자만의 힐링 타임에 적합하며, 8~10명이 함께 앉을 수 있는 다인원 자리도 마련되어 있다. 베이글을 즐긴 후 수인선하늘숲길, 황구지천 근처에서 산책하기에도 좋은 위치이다.
10.2Km 2025-01-13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수동
창룡문은 수원 화성의 동문이다. 창(蒼)은 푸른색을 가리키므로 ‘동쪽 방향을 지키는 신령한 청룡’을 상징한다. 창룡문은 바깥쪽에서 보면 안쪽으로 휘어 들어가는 곳에 자리 잡고 있어, 돌출된 좌우 성벽이 자연스럽게 성문을 보호하는 치성 역할을 한다. 문 안쪽의 넓은 공터는 군사들의 훈련장으로 쓰였다. 조선 시대 건축에는 일정한 위계질서가 있다. 같은 성문이지만 장안문과 팔달문은 높은 격식을 갖춘 반면 창룡문과 화서문은 한 단계 격을 낮춘 형태이다. 장안문과 팔달문이 2층 문루에 우진각 지붕인 반면 창룡문과 화서문은 1층 문루에 팔작지붕이다. 옹성은 서울의 흥인지문처럼 한쪽 모서리를 열어둔 형태다. 창룡문 옹성 안 석축에는 공사를 담당한 감독관과 석공 우두머리 이름을 새긴 실명판이 잘 남아 있다. 한국 전쟁 때 문루가 파괴되어 1976년에 복원했다.
10.2Km 2025-03-21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3로 79
400여 점의 자료와 영상, 사진 등을 통해 용인시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박물관으로, 용인의 대표적인 역사 문화 체험공간이다.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이곳은 2009년 11월, 용인 동백지구를 개발하면서 발견된 구석기 문화층을 보존하기 위해 용인 문화 유적 전시관으로 개관했다가 2018년 3월,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동백동·중동 유적에서 출토된 구석기 시대 유물을 비롯하여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용인의 역사자료를 소개한 전시실과 용인지역 내 유구의 복원모형을 전시한 야외전시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체험물과 뉴미디어 시스템을 갖추어 놓은 역사체험실과 영상 체험실에선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용인의 역사를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다.
10.2Km 2025-04-22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조선 태종대의 문신인 심온(1375~1418) 선생의 묘이다.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중옥仲玉, 시호는 원효安孝이다. 세종의 국구 (왕비의 아버지) 로 청천 부원군에 봉해지고 관직이 영의정에 이르렀으나, 1418년(세종 1)에 사신으로 명나라에 갔을 때 발생한 무술옥사에 연루되었다는 모함으로 귀국 도중에 의주에서 체포되어 수원에서 죽음을 맞았다. 이후 무고로 판명되어 1451년(문종 1)에 복관되었다. 묘역은 계체석(묘역을 구분하는 편평하고 긴 경계석)을 중심으로 3단의 계단식으로 조성하였는데, 15세기 묘제의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다. 봉분 앞 방부규수 양식의 묘표는 ‘안효’라는 시호가 적혀 있어 1451년 이후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비문은 당대에 유행하던 송설체의 글씨로 강건하면서도 유려하다. 이 글씨는 『근역서화징』(1928)의 기록을 통해 송설체의 대가인 안평대군(1418~1453)의 필적으로 추정된다. 장명등은 3단의 원수 형태가 부자연스러우나, 화창이 크고 시원한 조형을 지닌 15세기의 특징을 보여준다. 문석인은 머리에는 복두를 쓰고, 공복을 입은 문신의 형태로 규모가 장대하고 인상이 강렬하여 무덤 수호의 상징성을 잘 표현하였다. 조선 초기 묘제의 원형이 잘 남아있으며, 송설체의 글씨를 감상할 수 있는 묘표와 15세기의 예술성을 담고 있는 석물들은 모두 경기지역 능묘 문화의 고유성까지 담아내고 있어 가치 높은 문화유산으로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