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Km 2025-07-31
경기도 구리시 산마루로 41 (갈매동)
갈매중앙공원은 갈매동의 중심부로 하천변 산책로, 공동주택과 학교 인근에 위치해 아이와 어른 모두 즐겨 찾는 공원이다. 구리시의 공원내 마을숲 조성 사업으로 그늘목 식재와 놀이공간이 조성되어 지역주민 뿐만 아니라 누구나 즐길 수 있다. 공원 입구에 관리사무소가 있으며 바닥분수 앞에는 여름철 물놀이터 방문객을 위한 남녀탈의실이 있다. 무료로 운영되는 물놀이터에는 제법 큰규모의 물놀이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여름에는 이곳을 방문하는 어린이 방문객의 숫자가 늘고 있다. 물놀이터 바로 옆에는 [신나는 몸놀이터]가 있다. 작은 동화마을을 연상하게 하는 몸놀이터에는 대형미끄럼틀을 비롯한 낮은 높이의 암벽과 어린이 짚라인이 있어 다양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매년 구리시에서 기획하는 다양한 계절별 축제가 개최된다고 하니 구리시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알아보고 방문해도 좋다.
3.6Km 2024-01-16
서울특별시 성북구 돌곶이로 215
장위기사식당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 장곡초등학교 인근에 있다. 24시간 운영하며 주차 공간도 넉넉하다. 매장 안은 넓고 깨끗하며 단체석도 마련되어 있다. 이곳의 대표 메뉴는 돼지불백이며 낙지볶음, 갈치조림, 육개장, 해물잡탕, 자반고등어 등 선택 메뉴가 많다. 1인분 주문이 가능해 혼밥 하기 좋다. 밑반찬으로는 묵, 나물, 김치, 고추장아찌 등 네다섯 가지가 나오고 추가 반찬은 셀프 바를 이용하면 된다. 밥은 1인 1 주문 시 리필이 가능하다. 모든 메뉴 포장을 할 수 있고 배달 앱에서 배달도 하고 있다. 근방에 북서울꿈의 숲과 아트센터, 월영지 공원이 있어 식사 후 가벼운 산책코스로 이용하기 좋다.
3.7Km 2025-04-30
서울특별시 강북구 월계로 173 (번동)
02-554-9795
제2회 강북구 어린이날 축제는 어린이날을 기념하여 북서울꿈의숲에서 진행되는 행사입니다. 캐리와 친구들 싱어롱쇼, 퍼레이드, 무대공연, 바이킹, 레일 기차, 로프탐험, 레이싱 바이크 등 어린이 놀이기구와 에어바운스 6종 등 어린이들이 맘껏 뛰어 놀고 경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놀거리와 체험프로그램도 함께 준비되어 있다.
3.7Km 2024-06-17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39길 5
엄마손칼국수는 지하철 4호선 당고개역 6번 출구에서 나오면 바로 앞에 있다. 역 주변 주택가 골목에 매장이 있어 주차장은 따로 없다. 이곳은 당고개역에서 아주 오래된 노포다. 대표 메뉴로는 만두전골, 칼국수전골, 섞어전골 등이 있고 가성비 좋은 섞어 전골이 인기가 많다. 전골에는 주재료에 버섯, 콩나물, 쑥갓, 새우, 소고기 한 접시를 넣어 국물 맛을 낸다. 그 외 식사 메뉴로 칼국수, 칼만두, 만둣국, 찐만두가 있다. 주변에 수락산과 불암산이 있어 등산 후 방문하기 좋다.
3.7Km 2025-06-02
서울특별시 도봉구 덕릉로57길 17 (창동)
신창시장은서울시 도봉구 창동에 위치한 재래시장이다. 인근에 창동시장과 더불어 지역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신창시장에서는 다양한 신선한 농산물과 수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신선한 식재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먹거리와 생활용품도 함께 판매한다. 또한, 도봉구 관내에는 무료배송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어 편안하게 장 볼 수 있다.
3.8Km 2025-03-21
서울특별시 강북구 월계로 173
서울 강북과 도봉 등 6개 구에 둘러싸여 있는 초대형 공원인 북서울꿈의숲은 과거 드림랜드가 있던 자리 68만여㎡에 조성된 녹지공원으로 월드컵공원과 올림픽공원에 이어 서울에서 3번째로 큰 공원이다. 숲이 울창해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는 벽오산, 오패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북서울꿈의숲은 벚꽃길과 단풍숲 등의 생태적 조경 공간, 대형연못인 월영지와 월광폭포 등의 전통경관, 그리고 북한산과 도봉산, 수락산을 한눈에 볼 수 있는 49.7m의 전망대와 다양한 장르의 고품격 문화예술이 일 년 내내 펼쳐지는 꿈의 숲아트센터 등의 공연장과 전시장, 레스토랑, 전망타워 등이 있는 서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공원이다.
3.8Km 2024-10-30
서울특별시 중랑구 봉화산로 109-8
성덕사는 중랑구 상봉동 봉화산 기슭에 있는 사찰로 주택가가 밀집한 골목에 있다. 1957년에 세운 사찰로 경내 건물로는 대웅전, 종각, 칠성각, 삼신각, 미륵전 등이 있다. 주택가에 있어서 주민들의 신앙생활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곳은 원래 애동지 전설이 내려오는 터가 센 땅이었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한 노인이 산 중턱에서 나무를 했는데, 베어도 베어도 나무가 다시 세워져 있는 것을 보고 놀라 마을로 도망갔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에게 이 이야기를 해줬는데, 탁발시주를 위해 마을에 들렀던 한 스님이 그곳은 많은 사람의 원한이 서린 곳이라서 원한을 풀어주기 위해 치성을 드리고 애동지(음력 11월 초순 동지)에 팥죽을 쑤어 먹지 말라고 했다. 마을 사람들은 스님의 이야기를 대수롭지 않게 넘겼으나, 아이가 넷인 과부만은 스님이 당부한 대로 매년 치성을 올렸다. 이후 마을에 전염병이 크게 번졌을 때, 과부의 아이들은 아프지 않고 잘 자랄 수 있었다. 과부는 자기가 죽기 직전 자손들을 모두 불러 치성을 올려야 한다고 당부하며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1945년 광복 이후 이 일대에 사람이 모여들어 집을 짓고 살기 시작했는데, 이상하게도 공사를 하면 서까래가 무너지거나 기둥이 내려앉았다고 한다. 조계종에서 절을 지을 때도 목재를 실어 나르던 황소가 죽고 인부가 여럿 다쳤을 정도였는데, 절이 완공된 이후에는 불의의 사고로 다치는 사람들이 없어졌다고 한다. 이를 두고 성덕사가 치성을 대신 드리기 때문이라고 마을 토박이들은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