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영 기념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진영 기념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장진영 기념관

15.7 Km    19554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운암면 임운로 1577

장진영 기념관은 2009년 위암으로 세상을 떠난 배우 장진영을 기념하기 위해 그녀가 잠든 임실 선산 앞에 2011년 개관하였다. 장진영의 유해는 분당 스카이캐슬 추모공원에 있다가 2010년 고향으로 왔다. 이때 장진영 배우의 아버지가 기념관을 세우고 장학재단 계암장학회를 설립했다. 생전 나눔의 뜻을 실천하길 원했던 딸의 뜻을 이은 것이다. 장진영 기념관에서는 짧지만 국민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 배우 장진영의 흔적을 다시 만나고 추모할 수 있다. 배우 장진영은 1972년 6월 14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에서 태어났다. 1992년 미스코리아 미스 충남 진으로 연예계에 데뷔했다. KBS 2TV 미니시리즈 [내 안의 천사]를 통해 탤런트 생활을 시작했으며, 1999년 [자귀모]로 영화계에 데뷔하였다. 2001년에는 배우 김명민과 함께 출연한 영화 [소름]으로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2003년에는 영화 [국화꽃 향기]와 [싱글즈]를 통해 다시 한번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면서 국민 여배우로 자리 잡았다.

신안서원

15.8 Km    1534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신안1길 8-12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에 학문을 연구하고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역 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이다. 신안서원은 1588년(선조 21) 한호겸의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그의 제자가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오랫동안 유지만 남아 있다가 1669년(현종 10)에 중건하였다. 1819년에는 함평의 자양서원에 있던 주자의 영정을 이곳으로 옮겨와 주벽으로 봉안하고 [신안]이라는 사액을 받아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그 후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철폐되었다. 1936년에 단을 마련하여 제사를 지내오다가 1958년 10월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처음에는 이서와 한호겸만을 봉안하였으나, 1788년(정조 12)에 사림들의 결의에 따라 송경원, 한필성, 한명유, 송시태를 추가하고, 다시 김수, 강백진을 추가, 모두 9현을 배향하였다.

내장산 단풍생태공원

내장산 단풍생태공원

15.8 Km    0     2024-01-1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560

내장산국립공원과 정읍시가 공동으로 조성한 공원시설로 내장호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넓이는 69,000여㎡로 내장호 체험학습관과 조류관찰대, 멸종 위기 식물원, 생태습지, 세계 단풍원, 단풍 분재원, 단풍전통차길, 체육시설 등이 조성되어 있다. 정읍시민과 탐방객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잔디광장 경관이 좋고 편리한 공간은 야외 결혼식장이나 각종 문화행사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임실 진구사지 석등

15.9 Km    16368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임실군 진구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등이다. 우리나라에서 손꼽을 정도로 큰 석등으로 가운데 받침돌을 제외한 각 부분 모두 신라시대 석등의 기본형태인 8각을 이루고 있다. 석등 주변은 진구사 터로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에서 [진구]라는 명문 기와가 출토되어 보덕화상의 제자가 세운 진구사지임이 밝혀졌다. 진구사가 번성했을 당시에는 수도승이 천여 명을 헤아렸다고 전하여지고 있으며, 석등의 규모로 미루어 보아도 이곳에 거대한 절이 있었음이 분명하다. 석등의 전체 높이는 5.18m이다.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리고 있다. 아래 받침돌에는 옆면에 안상을 새기고, 윗면에는 커다란 꽃장식을 두었으며 그 위에는 구름을 조각하였다. 가운데 기둥은 장고 모양이며, 연꽃을 새긴 마디가 있다. 윗받침 돌에도 연꽃이 새겨져 있으며, 그 위에 있는 화사석에는 각 면마다 창을 내었다. 지붕돌의 경사는 급한 편이며,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큼직한 꽃장식이 달려 있다. 꼭대기에는 머리 장식으로 노반(머리 장식 받침)과 복발(엎어놓은 그릇 모양의 장식)이 놓여 있다. 화사석은 8면에 모두 직사각형 화창을 내었는데, 이는 남원 실상사 석등(보물)과 담양 개선사지 석등(보물)에서도 볼 수 있어 호남지방 석등의 특색을 보여 주고 있다.

단아한펜션

단아한펜션

16.1 Km    3     2024-03-21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산동신흥길 6

단아한펜션은 전북 순창군 팔덕면 산동리에 위치하고 있다. 4동의 복층 펜션이 있으며 다육식물 관련 체험이 이뤄지는 다육식물원과 수영장, 방갈로 시설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 카페와 매점 시설도 구비하고 있어 더욱 편리한 휴식시간을 보낼 수 있다.

우화정(내장산)

우화정(내장산)

16.2 Km    24691     2024-05-10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36

우화정은 내장산 국립공원 입구에 있는 연못 안의 정자로 날개가 돋아 승천하였다 하는 전설이 있어 우화정이라 부르며 거울같이 맑은 호수에 붉게 물든 단풍이 비치는 경관은 한 폭의 수채화 같다. 호수 주변에는 당단풍, 수양버들, 두릅나무, 산벚, 개나리, 산수유 등이 둘러싸여 장관을 이루고 있다. 특히 복자기나무 한 그루는 진홍색으로 물들어 가을 정취에 한몫을 한다. 우화정의 맑은 연못에는 1 급수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버들치 떼가 유유히 노닐고 있다.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의 돌로 만든 징검다리가 예스러운 정취를 더해준다. 근처에는 내장사, 케이블카승강장, 단풍열차승강장, 내장산단풍터널이 있으며 내장산은 가을단풍으로 유명한 곳이다. 내장산 초입 금선교에서 케이블카 승강장 앞까지 순환버스를 연중 운행하고 있어 내장산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셔틀버스를 타고 가면 편하게 우화정까지 갈 수 있다.

내장산 케이블카

내장산 케이블카

16.3 Km    44884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179-11 (내장동)
063-538-8120

내장산 케이블카는 탐방안내소부터 연자봉 중턱 전망대까지 운행을 한다. 케이블카에서 내려서 300m정도 거리에 전망대가 위치하고 있다. 케이블카를 타고 이동하는 시간 동안 내장산 전체 산세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어 단풍 풍경을 비롯한 내장산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케이블카의 운행거리는 688M, 도착지의 해발고도는 540M이며 5분정도 시간이 걸린다. 상부 승강장에서 연자봉, 신선봉까지의 등산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전망대까지는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 비성수기에는 20분 간격으로 운영하며 가을 단풍철 성수기에는 수시 운영한다. 도보로 하산시에는 30분에서 40분 정도 소요된다. 시즌기간에는 주차장에 주차하고 내장산국립공원에서 운영하는 왕복셔틀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겠다.

내장산 탐방안내소

내장산 탐방안내소

16.4 Km    25945     2024-06-10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07

내장산 국립공원 안에 위치한 탐방안내소는 자연과 국립공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각종 정보를 과학적으로 전달하며, '선진화된 국립공원' 서비스를 위해 1998년 7월에 개관하였다. 내장산의 경관, 명소, 자연생태계 등 기본적 탐방정보 외에도 내장산지역 고유의 향토문화와 생활철학을 보다 깊이 있게 전해줄 모든 자료가 비치되어 있다. 탐방안내소는 종합전시실, 정보검색시스템, 표본실, 영상실, 자료실 등 다양한 매체와 전시자료를 통해 내장산의 동식물 서식지와 생태계, 뛰어난 경관과 명소 등을 빠짐없이 소개하고 있다. 또한 내장산의 대표적인 자연자원관 공원의 문화, 역사적 자료를 영상으로 제작 상영하고 있으며, 탐방객들의 필요한 정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국립공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다.

벽련암(정읍)

벽련암(정읍)

16.4 Km    19456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20-74

서래봉 중봉 330m고지에 있었으며 원래 내장사란 이름으로 일컬었는데 근세에 와서 영은암(현 내장사)을 내장사로 개칭하고 이곳은 백련암(白蓮菴)이라 이름하였고 나중에 벽련암(碧蓮菴)으로 고쳐쓰게 되었다. 그후 현 내장사와 구분하기 위해 김창한(金彰漢, 정읍군수 역임)이 "고내장(古內藏)"이란 서액을 걸고 이 일대를 고내장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옛날에는 주사(主寺)의 위치에 놓여 있었다. 백제 의자왕 20(660년) 환해선사(幻海禪師)의 창건으로 1925년 백학선사(白鶴禪師)가 본전이 극락보전과 요사를 중건하고 선당(호상소림)을 세웠는데 6·25병화로 1951년 소실되었다.

일찍이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가 이곳에서 수도하면서 "백련암(白蓮菴)"을 벽련암(壁蓮菴)"으로 개칭할 것을 권하고 서액을 써 걸은 사실이 있는데 6·25사변때 소실되었다. 서편에는 연대 미상의 석종부도 1좌가 있으며 뒤편의 암벽 에는 이 고장 출신의 여류명필 몽련당(夢蓮堂) 김진민의 「석란정(石蘭亭)」이란 각자가 새겨져 있다. 벽련암 석축대를 쌓을때 전해져온 전설에 의하면 희묵대사가 서래봉 정상에서 돌을 던지면 수제자 희천(希天)이 이를 받아 쌓아 올렸다는 것이다. 이곳은 1986년 당국의 복원계획에 의하여 중건되었고 현재 복원이 진행중이다. 이 곳 고내장(古內藏)은 내장산 제일경(第一景)으로 일컫는 명소로 오봉 김제민이 춘경(春景)을 읊은 천불전(千佛殿)의 위치가 고내장으로 추측된다. 백련사가 언제 백련암으로 격하되었는지 알 수 없다.

담양호관광지

16.4 Km    0     2023-12-05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월계리 149-67

담양호는 1976년 9월에 축조된 제방길이 316m, 높이 46m, 만수 면적 405ha에 저수량 6,670만 톤 규모의 호수다. 담양 평야 4,245ha의 농토를 커버하는 농업 용수원으로 영산강의 시원지이기도 하다. 추월산 관광지와 가마골 청소년야영장, 금성산성 등에 둘러싸여 있어 담양 제1의 관광지로 손색이 없다. 산허리를 뚫은 터널을 통하는 산간 호반 도로는 훌륭한 드라이브 코스로, 도시민의 쉼터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가슴이 답답하거나 휴식이 필요할 때 바라만 봐도 속이 다 시원한 담양호로 향하는 것을 추천한다. 구경거리, 먹을거리, 즐길 거리 어느 것 하나 놓칠 수 없는 담양호와 담양호를 둘러싼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즐거운 추억거리를 만들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