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외암마을 건재고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아산 외암마을 건재고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아산 외암마을 건재고택

아산 외암마을 건재고택

15.5Km    2024-01-24

충청남도 아산시 외암민속길 19-6

아산외암마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1800년경에 현재의 모습을 갖춘 중부지방의 대표적인 양반가옥으로 영암집이라고도 한다. 조선 숙종때의 문신 이간(李柬, 1677~1727)이 태어난 집을 현 소유자의 증조부인 건재 이상익(1848~1897)이 고종 6년(1869)에 지금 모습으로 지었다고 전한다. 도자기, 낙관, 서화, 현판, 생활용구 등 유물 300여점이 대를 이어 보관되고 있으며 특히 사랑채에 보관중인 이간의 교지는 입향조의 근거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신정호유원지

신정호유원지

15.6Km    2024-11-14

충청남도 아산시 방축동

신정호유원지는 신정호수변에 자리한 유원지로,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주변에 각종 맛집과 카페가 많아 사람들이 많이 찾는 명소이다. 신정호는 담수면적이 92ha이며 본래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인공 호수이다. 아름다운 자연경관에 농업용수 공급용 뿐만 아니라 사계절 휴양지로 거듭났다. 호수 주변을 따라 야외음악당, 잔디광장, 음악분수공원, 생활체육공원 및 생태수상고원 등 친환경적인 테마별 공원이 구성되어 있고, 호수에서는 수상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산책로 중간중간에 있는 장미터널은 연인들에게 인기가 있으며 연꽃단지와 갈대 호수 위의 오리들도 볼거리를 제공한다. 인근 관광지로는 곡교천시민체육공원, 온양온천 등이 있다.

하서원(외암민속마을)

15.6Km    2024-11-27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9번길 13-6

충남 외암 민속마을 내에 위치한 하서원은 먼저 운영중이던 주부댁과 함께 넓은 마당과 고즈넉한 여유를 자랑하는 체험살이 민박으로써 단체모임이나 가족여행 또는 워크샵 등 다양한 모임자리와 특별한 추억거리를 찾는 분들게 답이 되어드리고 있다. 외암민속마을에서는 지붕형태를 블록별로 나누어 기와형과 초가형으로 나누어져 다양한 한옥의 형태를 경험할 수 있으며 전통방식의 건축양식을 갖춘 유서깊은 고택이지만 현대식 주방과 욕실을 갖추어 사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하였다.

바우덕이 묘

15.6Km    2024-06-13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용리

바우덕이 묘는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에 자리하고 있는 묘로, 안성 남사당패의 우두머리 자리까지 오른 유일한 여성인 김암덕의 묘이다. 안성 향토유적으로 2001년 지정되었다. 바우덕이는 재주 좋기로 손 꼽혔던 안성 남사당패의 유일무이한 여성 꼭두쇠(우두머리)로 염불, 소고춤, 줄타기 등 온갖 기예를 익혀 뛰어난 기량으로 유명하였다. 5살의 어린 나이에 남성들이 주축을 이루는 남사당패에 맡겨져 성장했으며, 뛰어난 기량으로 15살의 어린 나이와 여자라는 조건에도 꼭두쇠가 되었다. 1865년 흥성대원군은 경복궁 중건에 지친 노역자를 위로하기 위해 경복궁에 남사당패를 불러들였고, 이때 바우덕이는 경복궁에서 소고와 선소리로 뛰어난 공연을 펼쳐 고종과 흥선대원군으로부터 정3 품에 해당하는 옥관자를 하사받았다. 이후 경기도 일대에서 순회공연을 이어가다가, 계속된 유랑 생활 끝에 폐병을 얻고 1870년 23살의 나이로 사망했다.

외암민속마을 짚풀문화제

외암민속마을 짚풀문화제

15.6Km    2024-08-09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9번길 13-2
041-536-8458

짚풀문화제는 500년 역사를 간직한 살아있는 박물관인 외암민속마을의 가을 황금들녘에서 펼쳐지는 대표적인 농경문화축제다. 우리 조상의 슬기와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짚풀을 활용한 다채로운 체험, 전시, 경연대회 등이 펼쳐지며, 축제 흥을 돋워줄 전국농악풍물페스티벌과 평소 들어가 볼 수 없었던 전통고택에서 가마솥밥해먹기, 전통장만들기, 전통주전부리 만들기체험과 전통상여행렬, 초가이엉잇기 재현 등 점점 사라져가는 민속문화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국밥, 전, 국수 등 옛날 먹거리장터와 저잣거리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먹거리도 준비되어있으며, 방문객들의 편의제공을 위해 임시주차장을 조성하고 셔틀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외암민속마을

외암민속마을

15.6Km    2025-03-17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9번길 13-2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된 마을이다. 마을은 500여 년 전부터 형성이 되었고, 마을의 터가 좋아 한국의 살기 좋은 마을 10선에 선정되었다. 마을 주민들은 조상 대대로 농업에 종사, 전통문화를 지키며 살아가고 있으며 오시는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 체험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장승제를 지내고 10월에는 짚풀문화제, 11월에는 동지행사를 하며 마을 앞에는 조선시대 시장인 저잣거리가 조성되어 있어 먹거리 및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아름다운 우리의 전통문화를 가꾸어 가는 외암민속마을에서 전통문화를 즐기다 보면 어느덧 어렵게 느껴지던 전통문화들이 친숙하게 느껴질 것이다.

아우내장 / 병천5일장 (1, 6일)

아우내장 / 병천5일장 (1, 6일)

15.6Km    2024-05-28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충절로 1718
천안시 관광안내소 041-521-2038

아우내란 ‘2개의 내를 아우른다’는 뜻으로 경상도와 한양을 이어주는 길목이다.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에 위치한 아우내장터는 조선시대부터 전국의 상인들이 청주, 진천, 조치원, 예산 등에서 지역 특산물과 소를 몰고 와 장을 형성하였으며, 인근 장터 가운데 가장 크게 번성하였다. 아우내장터는 병천 장터라고도 불리며 매월 1, 6, 11, 16, 21, 26일에 열리는데, 돼지 소창에 양배추·파·고추·마늘 등을 선지와 함께 다져 넣은 ‘병천순대’로 유명하여 천안의 맛의 명소로 알려져 있다. 평소에는 장이 서지 않다가 장날이면 천막과 파라솔이 장터거리를 가득 메운다. 장이 서는 날은 각종 농수산물과 공산품이 장마당에 그득하다. 요즘 보기 드문 뻥튀기 기계도 등장한다. 마을 사람들은 쌀과 옥수수, 가래떡을 들고 나와 뻥튀기 기계 앞에 줄을 선다. 뻥튀기 장수가 “뻥이요”라고 외치면 ‘뻥’ 소리를 내면서 고소하고 달콤하고 바삭한 뻥튀기가 하얗게 쏟아진다.
장이 서는 주 무대는 아우내 슈퍼 옆 너른 빈터다. 그곳을 중심으로 인근 골목에도 장꾼들이 모여든다. 또한 1919년 유관순 열사가 태극기를 군중에게 나누어 주고 만세를 불렀던 곳으로 주변에는 유관순 열사 생가, 조병옥 박사 생가가 있다.

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

15.6Km    2025-03-10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아우내장터1길 12-23

아우내독립만세운동기념공원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에 있는 공원으로, 애국선열들의 정신을 계승하고 역사적 가치가 있는 장소를 보존하기 위해 2009년 3•1운동 90주년을 맞아 건립되었다. 1919년 4월 1일 아우내 독립 만세 운동을 전개한 역사의 현장으로 당시 병천 아우내 장터와 일제의 헌병 주재소가 있던 곳이다. 현재 공원 내부에는 독립에 대한 열망과 의지, 미래에 대한 비전을 보여주는 8개의 다른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신은수참병천순대집

신은수참병천순대집

15.7Km    2024-02-15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아우내순대길 9 아우내맛나식당

신은수참병천순대집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 소재 천안 병천순대 거리에 있다. 깔끔한 외관과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순대국밥이며, 만세 순대볶음, 병천순대 모둠도 인기가 많다. 순대 요리 외에도 콩나물해장국, 얼큰 소고기국밥, 소머리국밥 등을 맛볼 수 있다. 오전 일찍부터 문을 여는 덕분에 여행길에 아침 식사를 하기 제격이다.

희안마을

희안마을

15.7Km    2025-03-19

충청남도 아산시 남부로8번길 41-10 (방축동)

희안마을은 건강한 먹거리가 가득한 농촌마을이다. 희안마을이라는 명칭은 과거전국의 궁터 명당을 찾던 도선국사가 왕이 나올 자리라는 산맥을 발견하고는 기뻐서 무릎을 치며 ‘희한하다’라는 말을 한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찰옥수수가 맛있기로 유명한 희안마을 인근에는 유명한 찰옥수수 직판장이 있으며, 밭에서 수확해 삶은 옥수수를 맛볼 수 있다. 여름에는 옥수수 외에도 가시 없는 복분자(블랙베리)를 수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