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Km 2024-10-14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용암리
별내어린이천문대는 남양주 별내면에서 산속으로 더 들어가야 만날 수 있는 곳에 있다. 용암리 산속에 자리 잡아 수도권에서 별 관측이 가장 좋다고 한다. 이곳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달에 한 번 이루어지는 정규 수업과 일일체험 수업이 진행된다. 정규 수업인 천문대 수업은 첫걸음 교실, 체험교실, 탐구교실, 테마교실 등 4단계로 이루어지며, 천문우주에 대한 지식 난이도에 따라 사고를 키워나간다. 수업 내용은 천문학 강의 외에도 토론 및 만들기 실습도 함께 진행된다. 천체망원경과 3층 옥상에 있는 천체관측 돔에서 행성과 별을 관측하는 시간도 있다. 날씨에 관계없이 흐린 날에도 실습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별자리를 관측하지 못했을 경우 맑은 날을 정해 관측 보강이 이루어진다. 정규 수업 외에 일일체험 수업도 있으니 홈페이지를 통해 커리큘럼을 확인하고 신청하면 된다. 별과 행성, 우주에 관심이 많은 어린 학생들에게 천문학적인 지적 호기심을 채워주기에 더없이 좋은 곳이다.
13.0Km 2024-01-22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청량리동)
홍릉수목원 앞에 자리 잡고 있는 KOCCA 콘텐츠문화광장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함께 운영하는 시설로, 콘텐츠 산업을 지원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곳은 다양한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 및 창작자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KOCCA 콘텐츠문화광장은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창작자들이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콘텐츠 산업에 관련된 교육, 전시, 네트워킹, 창업 지원 등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융복합 콘텐츠의 시험 무대로서 블랙박스 구조의 스테이지66과 스튜디오1, 스튜디오2, 연습실 등을 갖추 있다. 스테이지66은 기술 시연, 무대실험, B2B 쇼케이스, 첨단공연과 행사에 적합하며 3개 층의 객석에 193개의 좌석을 보유한 극장이다. 스튜디오1, 스튜디오 2는 기술 기반 융합형 프로젝트 시연, 기술 실험, 첨단 전시, 강연을 위한 공간이다.
13.0Km 2021-03-18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28, 청아빌딩 1층
02-969-8883
서울특별시 청량리역 부근에 있는 바비큐 전문점이다. 곱창은 돼지 내장을 채소와 볶은 한국의 대중 요리이다. 대표메뉴는 곱창구이다.
13.0Km 2024-11-26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76
010-2227-9627
#본 업소는 내외국인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 성북구 하월곡동에 위치한 게스트 하우스이다. 월곡역과 직접 연결된 주상복합타워로 교통이 편리하고 1층 대형마트로 쇼핑이 가능한 도시형 게스트하우스이다.
13.0Km 2024-05-1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26
02-957-3300
호텔 더 디자이너스 청량리는 지하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역 1번 출구와 1호선 청량리역 4번 출구에서 도보로 4분 거리, 롯데백화점에서 도보 2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강릉, 양평까지 청량리역에서 KTX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ITX-청춘 고속열차를 이용하여 가평, 춘천 남이섬, 양평 양떼목장 체험까지 가족 및 커플여행을 떠나기에 좋은 입지와 접근성을 자랑한다. 동대문 시장은 지하철 1호선으로 7분 거리에 있으며 인천 국제공항까지는 차로 1시간 소요된다. 24시간 프런트 데스크를 운영하며, 조식당과 객실 등 숙소 전 구역에서 무료 Wi-Fi를 제공한다. 무료주차 및 발레파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내에서는 흡연이 제한된다. 각 객실에 평면 LED 케이블 TV, 냉장고, 무료 생수와 전기 주전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욕실에는 욕조, 샤워 시설 및 전자식 비데가 완비된 화장실이 갖추어져 있다.
13.1Km 2024-08-29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 389 (군자동)
광진광장은 2006년 개장한 작은 공원으로, 어린이대공원역 바로 옆 광진광장 공영주차장 바로 위에 있는 공원이다. 넓은 광장과 옆으로는 나무그늘과 벤치가 있는 이곳은 아이들이 뛰어놀기 좋은 곳이다. 광진의 꿈이라는 조형물이 있는데, 사물놀이 상모 궤족을 띠 모양으로 표현하고, 광진구의 16개 동의 수만큼 16개의 물줄기가 있다. 여름이면 물기둥에서 시원하게 분수가 나온다. 광진광장의 그늘들은 지붕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있고, 생산된 전기는 광진광장 시설에 사용된다. 또한 재활용 캔, 페트와 같은 순환자원을 회수하는 로봇인 네프론이 있다. 투입구에 캔 이나 페트병을 넣으면 자동으로 감지해 수거되고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면 1씨앗이 적립된다.
13.1Km 2024-06-11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홍릉로 90
영휘원은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후궁인 순헌황귀비 엄씨의 무덤이고, 숭인원은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인 의민황태자의 첫째 아들 이진 원손의 무덤이다. 엄씨의 위패는 현재 종로구 궁정동에 있는 칠궁에 모셔져 있다. 순헌황귀비 엄씨(1854~1911)는 엄진삼의 장녀로 8살에 입궐하여 명성황후의 시위 상궁이 되었다가, 1897년 영친왕을 낳아 고종의 후궁이 되었다. 1903년 황귀비로 책봉되고 경선궁에 살았다. 황귀비는 여성의 신교육을 위해 진명여학교와 숙명여학교를 설립하였고, 양정학교가 재정난을 겪자 땅 200만 평과 내탕금을 기증하는 등 나라를 짊어지고 나갈 인재를 키우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경술국치 후 1911년 덕수궁 즉조당에서 세상을 떠났다. 신주는 덕안궁에 모셨고, 이후 덕안궁은 육상궁 경내로 옮겨졌다. 의민황태자의 첫째 아들 이진 원손(1921~1922)은 영친왕와 황태자비 이씨의 첫째 아들로 일본에서 태어났다. 이듬해에 영친왕 내외와 함께 잠시 귀국하였으나 일본으로 돌아가기 하루 전 덕수궁 석조전에서 급사하였다. 순종황제가 원손의 죽음을 애석하게 여겨 후하게 장례를 치르도록 명을 내려, 현재의 자리에 무덤을 조성하였다. 영휘원은 조선시대의 원소 제도에 맞게 조성하여 홍살문, 정자각, 비각을 세웠고 원침에는 호석을 둘렀다. 숭인원은 영휘원과 비슷하게 조성하였으나 원침에 호석과 석양을 생략하고 석물과 봉분의 크기도 다른 원에 비해 작게 조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