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기념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만해기념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만해기념관

10.8 Km    15729     2023-11-09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792번길 24-8

1998년 4월 개관한 만해기념관은 한국을 대표하는 민족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을 연구하고, 자료를 보존, 후대에 교육하여 그 정신을 계승하고자 설립된 국가지정 현충시설이다. 경기도 광주시 소재인 만해기념관은 한 평생 만해 한용운 연구에 몰두한 전보삼 교수가 꾸민 곳으로, 호국의 성지인 남한산성 내에 있으며 대지 520평, 연건평 120평, 지상 2층 규모이다. 선생의 일생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교육관, 야외 조각 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설전시의 경우 3.1 운동, 침묵의 미화, 설중매화 3개의 섹션으로 나뉘어 독립운동가 한용운의 평생의 삶과 선생의 대표적인 저항 시, 〔님의 침묵〕 초판본 등 600여 점의 유물과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기획전시실에서는 전길수 선생이 2018년 약 40여 년간 수집한 우리 옛 그림을 기증한 작품들을 2020년부터 특별전으로 전시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테마의 전시가 시기마다 진행되고 있다. 또, 전등, 부채, 텀블러, 족자, 탁본 만들기 등의 창의적인 체험활동 프로그램과 〔만해 한용운 선생과 함께 역사 여행〕, 정기 교육 프로그램인 〔만해학교〕, 〔만해문학 백일장〕이 있다.

자올한정식

자올한정식

10.8 Km    1     2023-02-06

경기도 하남시 산곡동로 35

경기도 하남에 있는 자올한정식집은 365일 비 내리는 분위기를 보여준다. 물, 흙, 돌, 그리고 나무 등 자연을 그대로 살려 낸 자연 친화적인 인테리어가 특징이다. 자연과 어우러진 푸르른 소나무 숲과 숲 속을 옮겨 놓은 듯한 실내공간에서 우리 전통 한정식을 즐길 수 있다. 솔향기 정식부터 포함되는 흑미삼계탕이 인기 메뉴이다. 흑미로 색을 내어 깔끔하고 담백한 맛을 낸다. 최대 90명이 한꺼번에 즐길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되어 있어 모임하기에도 적당하다. 식사 후 차를 마실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카페인신현리

카페인신현리

10.8 Km    2     2022-09-28

경기도 광주시 새말길167번길 68

카페인신현리는 경기도 광주 오포읍 신현리에 있는 브런치 카페이다. 카페 입구에 넓은 주차장이 있고 안내 직원이 있어 편하게 주차할 수 있다. 붉은 벽돌 3층 건물 전체가 카페이다. 층고가 높고 넓은 실내 좌석과 야외 좌석까지 있어 원하는 자리에서 즐길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단체석도 마련되어 있다. 2015년에 문을 연 이후, 2020년에 대대적인 브랜드 리뉴얼을 진행했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준비한 아티장 치즈와 다채로운 샤퀴테리, 다년간 경험으로 완성된 크래프트 비어와 아티장 베이커리 콘텐츠를 브랜드에 담아 선보이고 있다. 카페인신현리 매장에서는 커피 외에 치즈, 햄 등의 가공식품과 수제 맥주를 판매하며 해당 제품들을 이용한 다양한 식사류도 맛볼 수 있다. 이곳은 카페 뒤쪽에는 건물을 감싼 자작나무 숲이 있어 계절마다 다른 모습 느낄 수 있다.

고암남원추어탕

고암남원추어탕

10.8 Km    18511     2023-02-21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대로 597
031-742-5666

전라북도 부안에서 구매한 미꾸라지에 들깨, 부추, 열무를 첨가하고 구기자, 복분자, 당귀 등 10여 가지의 한약재료를 중탕하여 내어 놓는 추어탕은 독특하고 구수한 맛이 일품이며 원기회복과 피로, 스트레스 예방에 좋은 보양식이다. 미꾸라지 등뼈를 제거한 미꾸라지 숯불구이는 미식가들에게 최고의 별미다.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10.8 Km    19428     2023-06-12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마을로 257

분당 신도시, 수려한 대자연 속에 위치하여 전원적인 사회교육의 전당으로 660석 규모의 대강당을 비롯하여 중·소 강의실과 각종 토의실 및 도서관 등을 기능적으로 배치하여 각급 학교와 기업체, 공공기관과 단체의 교육은 물론 국제회의나 세미나를 개최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는 곳이다. 특히 생활관과 식당, 야외활동을 위한 잔디구장, 그리고 등산로 등 쾌적한 자연환경과 최적의 교육시설이 조화를 이룬 전원적인 인재 교육장임을 자부하는 곳이기도 하다.

둔촌이집묘역

둔촌이집묘역

10.8 Km    21725     2024-06-12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320

둔촌 이집 묘역은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문신 이집의 묘역으로, 부인 정화택주 영주 황 씨와의 원형 합장묘이다. 이집은 고려 후기 문신으로, 충목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해박한 지식과 고상한 지절로 이름이 높았다. 1368년 신돈의 비행을 비판한 후 화가 미칠 것을 예견해 아버지를 업고 도망하여 영천에서 은거하였다. 이후 신돈이 역모로 주살된 후 수양산 아래 현화리에 돌아왔다. 이어 판전교시사에 임명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독서와 농경으로 세월을 보냈다. 용미와 활개를 갖춘 봉분의 높이는 1.8m이고 지름은 6.6m이다. 석물로는 봉분 중앙에 혼유석, 상돌, 사각 향로석, 장명등이 있고, 상돌 좌우에 망주석, 문인석 한 쌍 외에 차양석 네 개와 2단의 계체석 및 봉분 좌우측에 신구 묘표가 각 1기씩 서향하고 있다. 이중 봉분 중앙에 위치하는 장명등은 화창공과 사모 지붕에 연봉 장식이 있다.

두코 광주신현점

두코 광주신현점

10.8 Km    0     2024-06-20

경기도 광주시 새말길 215

두코는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에 있는 두부 요리 전문점이다. 건물 앞에 넓은 주차장이 있어 편하게 주차할 수 있고 매장은 넓고 깔끔하다. 테이블마다 태블릿 메뉴판이 있어 편하게 주문할 수 있다. 3대에 걸쳐 변함없는 두부 맛을 이어오는 두코는 100% 강원도 인제 콩만을 사용하여 가마솥 전통 재래식으로 매일 직접 두부를 만들고 있다. 대표 메뉴는 짜박두부이고 두부전골, 두부구이, 모두부, 콩비지전이 있다. 전골류는 2인 이상부터 주문이 가능하고 추가 반찬은 직원에게 요청하면 된다. 식사 시간에는 항상 사람이 많지만, 테이블 회전율이 높아 오래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매장 입구에 당일 만든 콩비지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손가 숯불아나고꼼장어

10.8 Km    0     2024-01-11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대로 585-1

가게에 들어서자마자 숯불향이 가득한 숯불붕장어 곰장어는 성남 곰장어 맛집으로 알려진 곳이다. 꼬득꼬득한 식감과 특제 소스가 입맛을 사로잡는다. 곰장어가 대표메뉴일만큼 맛있긴 하지만, 닭근위와 돼지껍질 등 사이드로 판매하는 음식도 두말할 것 없이 맛있다. 깔끔하고 변함없는 곰장어 맛으로 식사시간이 되면 늘 만석인 곳이다.

2023 남한산성 역사문화명소화

2023 남한산성 역사문화명소화

10.8 Km    6     2023-08-24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02-482-7647

수많은 시간과 사람에 의해 탄생한 세계유산이자 숲속의 산성 도시인 남한산성에서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기 위한 지역 사회 행사를 준비한다. 복식 체험, 그림 그리기, 과거 체험, 전통차 문화 체험으로 옛것의 멋과 맛을 느끼고 아이들에게 자연의 아름다움을 담은 생태학교 체험으로 건강과 추억을 잡을 수 있으며 거리공연/농악공연, 한복 패션쇼 등 전통과 현대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공연 프로그램까지 진행한다. 책으로 익히지 못했던 것들을 직접 체험하면서 조금 더 알게 되는 우리 문화유산 남한산성. 올가을, 몸과 마음을 힐링할 수 있는 남한산성이 여러분들을 기다린다.

남한산성행궁

남한산성행궁

10.8 Km    8     2023-04-24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935-1

행궁은 한양도성을 임시로 대신할 용도로 조선 인조 4년 (1626)에 건립되었고 병자호란 때 아픈 역사를 품고 있으며, 일제 강점기 때 파괴되었다가 10여 년의 공사기간을 거쳐 현재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약 30,000㎡ 부지에 상궐, 하궐로 나뉘는데 정자, 좌전, 광주 유수의 집무사, 외행전, 임금의 처소인 내행전, 정문인 한남루 등이 있다. 행궁을 둘러보기 위해서는 행궁 매표소를 거쳐야 한다.